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에 대한 태도 척도 한국판 (K-BEACS) 타당화 연구

        최성인(崔誠仁),김창대(金昌大)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서비스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상담에 대한 신념과 평가 척도- 한국판” (Korean version of Beliefs and Evaluations about Counseling Scale; K-BEACS)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담에 대한 신념과 평가” 척도(BEACS; Choi, 2008) 는 마케팅을 비롯한 사회심리학의 여러 응용분야에 널리 쓰이는 태도이론 중 하나인 다속성 태도이론과 합리적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개발된 척도이다. 기존 연구에서 주로 쓰인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척도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 ATSPPH)가 일반적으로 심리적 도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성향을 측정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 반면 BEACS는 상담이라는 서비스 자체의 속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는 점에 차별적 유용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ACS의 한국판 보급을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 대학생들 195명에게 BEACS의 번역판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상담결과에 대한 기대, 부정적 상담결과 가능성에 대한 내인성, 상담에 대한 사회적 지지 기대 등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성별과 상담 이용 유무에 따른 태도수준을 확인해 본 결과, 상담 유무에 따른 K-BEACS 점수의 차이는 남녀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담의도척도와 회귀분석 결과, K-BEACS의 세 요인이 상담의도를 예측하는 데에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K-BEACS는 상담서비스에 대한 한국대학생들의 인식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도구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의 한계점과 합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roject introduces a new inventory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Beliefs and Evaluations about Counseling Scale (K-BEACS) and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original version of ‘Beliefs and Evaluations about Counseling Scale (BEACS; Choi, 2008)" was designed to measure America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e BEACS was developed based on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of attitudes, including the Multiattribute Model of Attitudes (MMA)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pplying a MMA formula, two scales (beliefs and evaluations) linked with the BEACS were constructed. The BEACS was also designed to incorporate both personal and social belief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norms (SN) from the TRA. In the current study, a translated version of BEACS was given to 195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of factor analyses yielded three factor solutions that seemed valide. Each of the factors was named as Expectancy for Positive Outcomes, Tolerance for Negative Outcomes and Expectancy for Social Support. Results from 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MANOVA showed that K-BEACS has acceptable level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Strengh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학적 Aspartate Aminotransferase 함량 측정법의 개발

        최성아,김동준,최의열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목적: 간질환 진단을 위한 많은 종류의 혈액 내표지자들 중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alanine aminotransferase, AST/ALT)가 간세포 손상의 민감한 표지자로서 현재 임상검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AST/ALT 검사법은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효소가 그 활성을 잃어 버린다거나 효소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 등에 의해 효소 활성도 측정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는 기존의 측정법을 보완 또는 대체하여 호소의 농도를 정량할 수 있는 면역학적 진단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대상과 방법: AST 효소 활성 대신 혈액 내에서의 효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형광으로 표지된 인간 AST 특이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적용하였다. 면역 진단 카트리지는 형광 검출 용액, 일회용 카트리지 안의 AST 검사 스트립, 그리고 형광 판독기로 구성하였고, 면역 진단 카트리지의 측정은 형광분석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전혈 시료 20 μL를 검사용액과 섞어서 검사 카트리지에 적하하고 12분 경과 후 형광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계산을 위하여 내부 계산 프로그램을 설계하엮고 시료 내 AST 농도를 제시하도록 고안하여 경도곡선의 직선성과 검출한계 그리고 검사내 정밀도 등을 계산하였다. 결과: 정상인 243명과 43명의 간질환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형광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시료 내의 AST를 검출하고 그 농도를 정량 하였다. 시료 내의 AST는 0-1 mg/L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형광세기 비율(A_T/A_c)이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R=0.995), AST의 최소 검출한계는 12 μg/L이며 측정가능 범위에서의 평균 회복률은 102.4%이었다. 검사 내 정밀도는 intra-, inter-assay로 50-800 μg/L 농도에서 검사되었는데 그 결과 변이계수가 각각 CV_s<7%, CV_s<6%로 신뢰할 만한 측정결과를 산출하였다. 정상군에서 평균 AST농도는 35.5 μg/L이고 간질 환자들에서는 평균 266.5 μg/L이었다. 또한 형광 면역 크로마트그래피 측정법은 그 결과가 ELISA나 생화학적인 측정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각각 R=0.92, 0.88; N=43).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간 AST 특히 항체와 면역학적인 방법을 응용하여 혈액 내에서 AST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형광면역 크로마트그래피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이 AST 농도 측정법은 소량의 전혈을 이용하여 높은 재현성을 보여 주어 AST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는 현재의 일반적인 검사방법을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간편하고 빠른 현장검사법으로 판단되며 다른 혈액화학검사 항목에 대해서도 새로운 접근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Aims: For laboratory diagnostics in liver diseases, many enzymes have been used for the assessment of hepatocellular function. Among them, two transaminases,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have been regarded as the most sensitive indicators of hepatocellular damage. However, the enhanced enzyme activites of the enzymes do not exactly indicate or represent the cause and progression of diseases in the patients with liver disease.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immunological methods have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the replacement or supplement of the conventional enzymatic analysis. Methods: In the hope of developing a new assay system for measuring the AST concentration rather than its activity, we have developed a new assay using fluorescence labeled anti-AST monoclonal antibodies. Blood was obtained from a normal population of 234 patients and 43 liver disease patients. The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and performance of the new assay system were tested and evaluated. The comparability of assay was examined with an ELISA and biochemical assays. Results: The linearity fell in the range of 0-1 mg/L of AST (R=0.995), and the analytical detection limit was 12 μg/L of AST. The mean recovery of the control was 102.4% in a working range. The precision of the intra- and inter-assay in a range of 50-800 μg/L was CVs<7% and CVs<6%, respectively. In the normal population, the mean AST concentration was 35.5 μg/L. The mean AST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was 266.5 μg/L. The new assay system correlated well with an ELISA and biochemical assay for quantification of AST concentration (R=0.92 and 0.88, respectively; N=43). Conclusions: We have developed a new immunological assay using generated monoclonal antibodies to human cytosolic AST and used them for the development of a fluorescent assay measuring the enzyme mass. Cytosolic AST mass in sera could be measured reproducibly by the immunological method.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ided us with a new type of tool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the enzyme amount in 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