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호 수질의 계절적 및 공간적 특성 분석

        최선희 ( Sunhee Choi ),배요섭 ( Yoseop Pae ),이태호 ( Taeho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새만금방조제 끝막이 공사 이후 새만금호는 여건변화에 따라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수질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현재, 새만금호는 수위 및 수질관리를 위하여 배수갑문 조작을 통한 해수의 유 · 출입을 이용하여 혼합 · 희석시키는 대규모 수질관리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만금호는 일반적인 호소와는 다른 수질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수온 변화, 강우영향 및 하천수의 유입량과 영향범위,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과 해수의 영향범위에 따라 매우 복잡한 형태의 수질변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사업단이 지속적으로 실시해 온 수질모니터링 결과(‘08~’09)를 통하여 수집 · 확보된 자료를 기반으로 새만금호 수질의 계절, 공간적 변화 특성 및 경향을 살펴보고, 향후 새만금호 수질환경변화를 감시하고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Due to the Saemangeum lake created by the completion of the sea dike in 2006, its water qualities have been urgently required to be monitored. Therefore the comprehensive monitoring, intensive parameter analysis, and optimum management strategies on the lake have been sought. Surveys have been executed during 2008~2009. The most distinct pattern of water quality in the lake was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at the river mouth and gradual decrease to the dike. And fluvial impact are greatest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and shrunk during the winter. The objectives of the investigation are monitoring on the present status of water qualities of the lake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 especially on the water.

      • KCI등재

        국어과 글쓰기 방법에 기반한 사회과 쓰기 활동 개선 방향 탐색

        최선희(Choi sunhee),구본관(Koo bonk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이 논문은 국어과의 쓰기 방법에 비추어 사회과의 쓰기 활동을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 및 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습자와 교사가 사회과 글쓰기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설문조사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고등학교 학습자가 행한 사회과 글쓰기 자료를 쓰기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대체적으로 사회과에서의 쓰기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글쓰기에서는 해결되어야 할 문제적 현상들이 나타났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으로 사회 교과서에 구현된 쓰기 활동에 주목하였다. 쓰기 활동 분석을 위해 먼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사회 교과서에서의 쓰기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국어과 쓰기 방법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과 쓰기 활동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riting activities found in social studies and find out the necessity and points of convergence with those found in the Korean subject.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investigate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convergent education and writing in social studies. Next, this researcher looked into materials written by high school learners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writing. The results have shown that learners mostly regard writing in social studies to be important; however, there are problematic phenomena found in their actual written materials to be solved. Based on the causes of those problems, this author paid attention to writing activities embodi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Concretely, this researcher examined writing activities suggested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analyzed writing activities includ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at. Summing up the discussion above, this author has found there is possibility to improve writing activities in social studies through convergence with those in the Korean subject and actually suggested here how to enhance them.

      • KCI등재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쓰기활동 과업 분석

        최선희(Choi, Sunhee),유호정(Yu, Ho-Jung)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영어어문교육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tasks included in the newly develope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he aspects of genre, rhetorical structure, task type, and authenticit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se task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Korean EFL students' writing skills. A total of nine textbook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every writing task in each textbook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types of genres were incorporated in the tasks, but very few opportunities were provided for students to acquir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enres. In terms of rhetorical structure of text, narration, illustration, and transaction were required most, whereas not a single writing task asked students to use classification or cause and effect. Many of the writing tasks analyzed offered linguistic and/or content support through the use of models, which displays traces of the product-based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Lastly, most of the tasks lacked authenticity represented by explicit discussion of purpose and audience. Implications for L2 writing task development and writing instruction in the Korean EFL context are discussed.

      • KCI등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등 교사의 요구 분석

        최선희 ( Choi Sunhee ),이관희 ( Lee Kwanhee ),최영인 ( Choi Young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고는 디지털 교과서 과목 확대의 필요성을 토대로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선제적으로 정립하고자 하는바, 디지털 교과서 활용 주체인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향후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주요 방향과 기능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정책과 방향’, ‘디지털 교과서 프로토타입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등 디지털 교과서 제반 연구를 살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주요 기능이 국어과 하위 영역별로 명확히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논구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전반에 대한 공통 질문과 국어과 하위 영역별 특정 질문으로 대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는 총 12명이며, 3명의 교사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여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요구되는 기능’, ‘국어과 하위 영역별로 요구되는 방향 및 기능’, ‘대표 단원별 디지털 교과서 구현 방안’ 등에 대해 질문하고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개진된 교사 의견을 ‘개방 코딩→범주 형성 →추상화’ 절차에 따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에 대한 세부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국어과 전반에 대한 공통 질문에서는 교사의 의견이 ‘디지털 교과서’, ‘교사’, ‘학습자’의 상위 범주로, ‘기능 영역’에서는 ‘수업 설계’와 ‘수업 운영’으로, ‘문학 영역’에서는 ‘작품 수용’, ‘작품 창작’, ‘문학 태도 형성’으로, ‘문법 영역’에서는 ‘문법 개념 이해’, ‘문법 자원 활용’, ‘문법 태도 형성’으로 관련 요구가 수렴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결론에서는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구현 시 고려해야 할 ‘뷰어 영역’, ‘콘텐츠 영역’의 기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는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구체적 실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교육 주체의 요구를 분석하여 향후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방향과 기능을 요목화하여 보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digital Korea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preemptively understand the necessity of increasing the subjects’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study multilaterally analyzed the demand of teachers and agents using digital textbooks in the field and examined the major functions that digital Korean textbooks should be equipped with. As a result, Chapter II of this study explored digital textbook research and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esenting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and the main functions that should be incorporated in digital Korean textbooks by the sub-domain of Korean. Chapter III outlined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with teachers working in the field, using common questions about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both general and specific questions on the sub-domain of Korean. A total of 12 teach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 teachers in a group and they discussed about ‘elements of consideration for developing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functions demanded in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direction and functions demanded by sub-domains of Korean’,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digital textbooks by representative unit’. In Chapter Ⅳ, the study categorized the teachers’ opinions from the interview through an inductive procedure like ‘open coding→category formation→abstraction’ and presented detailed contents about each category.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functions of ‘viewer domains’ and ‘content domain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realizing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needs of agents of educati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and essential function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digital Korean textbooks.

      • KCI등재

        학습자 특성과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이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 ARCS동기 이론을 중심으로

        최선희(Sunhee Choi),김성태(Sungta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성인들의 스피치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관련성에 있어서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자의 특성, 멀티미디어 활용으로 구분하여 학습몰입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학습자 요인은 Keller가 제시한 ARCS학습동기를 바탕으로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으로 구성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21일부터 6월 6일까지 3주간 서울 수도권 지역과 대구 경북 지역 등의 스피치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362명을 대상으로 스피치 교육의 다양한 속성이 학습몰입과 교육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학습자특성,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 내생변인으로서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효과를 선정하였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고 교수역량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역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이어 멀티미디어 활용과 관련된 가설의 경우, 하위 변수별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몰입이 스피치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 되었으며 학습몰입이 향상되면 스피치 교육효과가 높아질 것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효과를 높이는데 학습자의 특성,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다시 한 번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스피치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ts releva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fter selecti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peech education. This research classifies its relevance as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and identifies its impa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Learner factors consist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presented by Keller in ARCS model of motivation. Methods To this end, for three weeks from May 21st to June 6th, 2020,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62 adult learners who have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speech edu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aegu Gyeongbuk area. Data was process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4.0 and AMOS 24.0. In this model, as for the exogenous variable,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were chosen, and as for the endogenous variable, learning flow and speech education effect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learning flow was adopted. Second, hypothesis 2 that instructor characteristics would have influence on learning flow was partially adopted. Third, hypothesis 3 which is related to multimedia use was also partially adopted for each sub-variable. Lastly, hypothesis 4 that learning flow would affect speech education effect was adopted. Moreover,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learning effect will be increased if the learning flow is improv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sitively proved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could improve the education effec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fact that multimedia utilization is very crucial to increase the effect of speech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선희 ( Sunhee Choi ),강성률 ( Sunglyul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현장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소진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직무를 수행하게 하는 힘을 살핌으로써,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확보함에 있다. 연구참여자는 2년 이상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경험이 있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 총 7명이었다. 분석결과, 총 185문장, 일반화된 문장 64개, 소주제 20개, 8개의 주제로 범주화 하였으며, ‘파도를 견디는 부표처럼’, ‘쉽게 타오르지 않는 희나리’, ‘누군가에게 무엇이 되어’의 3가지를 연구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스스로의 권익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본인 스스로도 불안정한 고용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를 하면서 제공하려는 정책과 서비스가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충분히 해줄 수 없는 한계를 지니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정신질환자를 위한 목소리를 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basic data to lay the foundation for fulfilling a role in a better environment by specifically exploring the stress and exhaustion experienced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t the job site and examining the power to perform their duties. In securing.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2 years experience in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s, totaling 7 peo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85 sentences, 64 generalized sentences, 20 sub-themes, and 8 themes were categorized. It was derived as an essential topic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ve not been able to find their own rights and interests, and they themselves struggle to provide and maintain services in an un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y have limitations that cannot be sufficiently provided because the policies and services they intend to provide are not properly equipped. He was speaking out for the mentally ill in order to realize his knowledge and values. It is hoped that these studies will help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mprove their jobs.

      • 강수량을 이용한 새만금호 염분농도 예측모델

        최선희 ( Sunhee Choi ),김석휘 ( Seokhwi Kim ),김원장 ( Wonjang Kim ),강창현 ( Changhyun Kang ),김강주 ( Kangjoo Ki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새만금수역에서의 영양염류와 염분농도의 관계에서 볼 때 만경강과 동진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와 해수의 혼합 정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즉, 담수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담수의 양에 의해 영양염류의 농도가 상당부분 결정되는 것으로 해수-담수 혼합효과가 가장 중요한 영양염 농도 제어인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한 영향이 제대로 평가된다면 새만금수질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 해결된 것이고 이후에는 플랑크톤의 활동과 저층 영양염 용출 효과만을 생각 하면 될 것이다. 그런데, 담수유입에 의한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상류의 유입유량, 새만금호내의 저수량, 그리고 배수갑문의 통수유량 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배수갑문의 개폐에 따른 통수 유량 데이터는 산출되어 있지 않고, 상류하천으로부터의 유입되는 유량모델도 담수유입에 의해 급변하는 새만금호의 수질변화를 적절하게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강수량을 기준으로 새만금호의 염분농도가 얼마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염분농도는 곧 담수의 유입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변수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담수에 의한 수질영향 부분은 근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영양염의 저층용출부분과 플랑크톤에 의한 영향을 추가적으로 정량화한다면 이에 더하여 종합적인 수질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We coul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ole of factors controlling the temporal variation of nutrient concentrations in a saline lake recently constructed by tideland reclamati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Factors affecting water quality were identified from factor analysi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species were estimated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objectives of the investigation are monitoring on the present status of water qualities of the lake and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s, especially on the water qualities. From the factor-analysis to identify the key parameters on the water qualities, fresh-water input and biological activiti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the surface water qualities, but in addition to the fluvial water, underground water should be considered as another important factor on the bottom water quality.

      • KCI등재

        ≪신편교정서상기(新編校正西廂記)≫의 판화적 특징(特徵)과 도문관계 재분석

        崔善喜 ( Choi Sunhee ) 중국어문연구회 2022 中國語文論叢 Vol.- No.108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新編校正西廂記), the illustrated edition of the first book was discovered in four fragmented pages (殘葉), which mad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content and publ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of publication, scholars agreed that it was during the years of Chenghua (1457-1464) when Shuochang Cihuaben (說唱詞話集) was published and earlier than the Hongzhiben (弘治本). However, scholars’ opinions were divided several opinions on the publication venue. Examination of both the textual and the illustration areas revealed that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is the one with the most original form close to editions published during the Yuan period among all the existing editions. In terms of the style of the illustrations, it preserves the style of Yuan-era engravings, which makes the edition one of the most precious copies closest to the original form of Xixiangji. Regarding the time and venue of publication, the style of the illustrations in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is diachronically linked with Quanxiang Pinghua Wuzhong (全相平話五種) Jianan print (建安版画) of the Yuan Dynasty, Shuochang Cihuaben in the early Ming Dynasty, and the Jianan edition (建安本) of Xixiangji of the mid-Ming period. Thus, it cannot be ruled out that it may have been published in Jianan Yeongsun publisher. The text-image relations of The New Revised Edition of Xixiangji are ‘parallel’ placement relationship and ‘imitation and response’ content relationship.

      • KCI등재

        중학교 영어듣기능력평가의 의사소통기능 활용 분석

        최선희 ( Choi Sunhee ),배지영 ( Bae Jiyoung ),박상복 ( Park Sangbok )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024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Middle School English Listening Test utilizes the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test is the only nationwide English test that assesses all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except those under the jurisdiction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se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 the dialogues included in the tests administered in September 2022 and April 2023. A total of 1258 T-units were extracted from 100 dialogues, and then each unit was compared with the expressions exemplifying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changing information’ function was used most, which was followed by ‘persuading and making suggestions’ and ‘expressing one’s will’. However, some of the functions such as ‘repairing communication’ and ‘expressing knowledge, memory, and assurance’ were rarely used. In addition, there was some inconsistency in the use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 different grade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a more balanced English listening test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