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800년대 말 1900년대 초 스웨덴 사가(Saga) 장르의 발전 양상과 대표 여성 작가의 작품 특징

        최선경 ( Sun-kyoung Choi ) 방정환연구소 2024 방정환연구 Vol.11 No.0

        스웨덴 아동문학을 통시적으로 볼 때 1800년대 말 그리고 1900년대 초는 아주 중요한 시기였다. 이 때는 아동문학의 패러다임 전환과 함께 제 일차 아동문학의 황금기를 이룩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180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 스웨덴 사가 장르의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스웨덴의 대표 여성 사가 작가와 그의 대표 작품의 특징을 소개한다. 먼저, 사가(Saga) 장르의 어원과 장르 형성의 배경을 살폈다. 사가의 어원은 ‘말하다’는 의미를 가진 “Säga” 즉 “말하다”, “이야기하다”라는 단어에서 기원한다. 사가 장르가 스웨덴 문학의 장(場)에서, 소위 일컬어지는 “고급 장르”로서 처음 소환된 때는 19세기 낭만주의 시기이다. 다음으로 스웨덴 사가 장르의 전개 과정을 도입기와 발전기로 구분하여 살폈다. 먼저 사가 장르의 도입기에는 “책 읽어주는 아버지”의 시기였다. 즉, 이러한 시기는 부르주아 계급의 계속적인 가족 존속을 위한 자식 훈육을 위한 것으로, 등불 아래에 모여 아버지의 이미지가 그 표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사가 장르의 발전기에는 “아동의 세기(Barnets Århundrade) 이야기꾼으로서 어머니”의 시기로 접어든다. 이 시기에는 권위와 복종의 훈육과 가르침을 아버지의 관계로 보여주기보다는 어머니와 아이들의 친밀한 관계를 암시하여 보여 준다. 끝으로 본고는 이 시기의 여성 사가 작가 중에 한 세기 남짓이 지난 지금까지 꾸준히 스웨덴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작가로 엘사 베스코브(Elsa Beskow, 1874-1953)와 헬레나 뉘블룸(Helena Nyblom, 1843-1926)을 소개하고 이들의 대표 작품들, 그리고 그 전반적 특징을 살폈다. Perioden kring sekelskiftet 1900 var en viktig tid i den svenska barnlitteraturens historia. Sagan blev då en hög genre och fick sin blomstringstid och därmed även barnlitteraturens. Den här studien undersöker till att börja med hur sagogenren återupptäcktes under Romantiken och sedan blev en hög genre som egentligen åstadskommits först och främst av de kvinnliga författarna. Studien börjar med att utforska om sagans benämning på svenska och dess etymologiska betydelse, “saga”. Vidare studeras hur genom tiderna sagogenren utvecklades i det litterära fältet i Sverige. Och sedan undersöks hur sagan kring sekelskiftet 1900 blev en kvinnogenre. Detta möjliggjorde barnlitteraturens guldålder i Sverige. Sagouppläsningen inom familjekretsen var en viktig del i sagogenrens utveckling i Sverige. Det gäller inte bara familjelfaderns uppläsning under senare delen av 1800-talet utan även modersuppläsning för barnen som starkt uppmuntrades kring sekelskiftet 1900. Inte minst Ellen Keys Barnets århundrade (1900) och Gurli Lidners Våra barns nöjesläsning (1902) predikade om detta. I sista delen av denna studie ges utrymme för två av sekelskiftets kända kvinnliga författare, Elsa Beskow (1874-1953) samt Helena Nyblom (1843-1926). Ett urval av deras sagor undersöks och där visas några karakteritiska drag som är stiltypiska för sagor skrivna av de svenska kvinnliga sagoförfattarna kring sekelskiftet 1900.

      • KCI등재

        로렌스의 유령 이야기: 「국경선」과 「유쾌한 유령들」을 중심으로

        최선령 ( Sun Ryoung Choi ) 한국로렌스학회 2012 D.H. 로렌스 연구 Vol.20 No.3

        Focusing on "The Border-Line" and "Glad Ghosts", this paper aims to examine and reevaluate D. H. Lawrence`s ghost stories that have attracted relatively little critical attention. Lawrence`s ghost stories were written in the late phase of his literary career when the images of death were frequent in his short stories. Two overlapping backgrounds are behind this: the First World War was synonymous with death, and the devastated post world-war European countries were all engulfed by the tide of death; and around the same time, suffering from tuberculosis, Lawrence had to face the shadow of death hung upon his own life. Lawrence`s ghost stories were also inspired by the English ghost story tradition which achieved great popularity between 1850 and 1930. However, Lawrence radically deconstructed the fundamental hypothesis of this genre where the ambiguity of the ghost, that is, whether it really exists or it`s just a symptomatic phenomena of an unsettled and disturbed psyche, plays an pivotal role in arousing tension and suspense. Most of Lawrentian ghosts return without giving fear or suspense and with the purpose of fulfille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living people who expect and even waitfor their return. Both "The Border-Line" and "Glad Ghosts" partly fall a little short of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short story such as condensed atmosphere, economy in narrative, dramatic climax, and final reversal. However, "The Border-Line" presents a new concept of ghost, and "Glad Ghosts" goes beyond the spirit-body dichotomy and continues to search for more complex layers in the meaning of the ghost. Creating a subtle "varied tone" in the narrative, and interweaving the ghost theme with other realistic or exotic motifs like class and swapping, "Glad Ghosts" is highly probably an attractive Lawrentian ghost story.

      • KCI등재

        安城 七長寺 木造地藏菩薩坐像과 彫刻僧 金文

        崔宣一(Choi, Sun-Il)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29

        본 논문은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金文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불상은 불상의 개금 작업으로 발원문이 조사되어 조선후기 불상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은 1706년에 칠장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성현이 증명을 맡고, 사간과 탄원이 化主가 되어 금문, 청윤, 묘성 등이 제작하였다. 조각승 금문은 1655년에 수화승 惠熙와 충북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1668년에 수화승 勝日과 경북 김천 직지사 비로전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1675년에 수화승 혜희와 전북 김제 금산사 대장전 불상을 제작하고, 1703년에 수화승으로 부산 기장 장안사 석조삼세불좌상을 중수?도금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를 중심으로 金文의 생애는 1640년을 전후하여 태어나 1655년 혜희와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보조화승으로 활약한 후, 1675년에 김제 금산사 대장전에 불상을 부화승으로 제작하였다. 금문은 1703년에 수화승으로 부산기장장안사 석조불상을 塗金하고, 1706년에 안성 칠장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등을 제작하여 오랜 기간 활동한 조각승이다. 금문이 제작한 불상의 특징은 17세기 중반에 제작된 불상에 비하여 신체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자락이 목에서 팔꿈치까지 완만하게 늘어져 있으며, 왼쪽 어깨에 수직으로 늘어진 옷자락의 윗부분이 사선으로 접혀 있다. 또한 하반신을 덮은 대의의 안쪽 자락이 S자로 도식적으로 펼쳐져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불상으로는 강원 강릉 백운사, 경북 봉화 중대사, 경북 고령 반룡사, 경북 문경 대성암와 혜국사, 충북 괴산 개심사과 제천 무암사 목조불좌상 등에 남아있어 금문을 위주로 한 彫刻僧들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충북을 중심으로 중부지역에 걸쳐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그들의 조각승 계보는 그의 계보는 太顚(1600~1615)→法靈(法令, 1615~1641)→惠熙(慧熙, 1640~1677)→金文(1655~1706), 淸允(1684~1706)으로 이어진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금문과 그 계보의 조각승들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불교조각사에 중요한 하나의 계보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about the Seated Wooden Ksitigarbha of Anseong Chiljangsa. This Seated Wooden Kstigarbha was rendered by monk sculpture Geummun(金文) in 1706. Its votive inscription, which was found during gilding process, helps to study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 style.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Seated Wooden Ksitigarbha, was enshrined in Chilojangsa in 1706. The main buddhist sculptor was Geummun. His name also reported other votive inscriptions. According to these inscriptions, he was participated in Hyehui(惠熙)’s works in 1655 and 1675. He also worked with Seungil(勝日) in 1668. In these three cases, the position of Geummun was subordinated to these two masters, Hyehui and Seungil. However, in 1703 Geummun became a head of a group of monk sculptors when he gilt the Stone Buddha Triad of Busan Jangansa. Based on these reported votive inscriptions, Geummun"s life can be traced. He was approximately born in 1640 and in 1655 joined Hyehui monk sculptor school. After 1655, he was involved in many Buddha creating projects for 50 years. The features of Geummun’s works were summarized to three. Compared with other Buddha sculpture, created in 17th century, in his works, the potion of Buddha head is increased. The second feature is the way for creating drapery. The drapery on the right shoulder gradually falls to the side by shaping a slant line. The drapery under the left shoulder is folded. The third feature is the "S" shape on the edge of the robe, which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se three features are easily recognized in Gangneung Baegunsa, Bonghwa Jungdaesa, Goryeong Bannyongsa, Mungyeong Haegoksa and Daeseongam, Guisan Gaeshimsa, and Jaecheon Muamsa Buddhas. Based on these Buddhas’ stylistic similarities in above temples, I can conclude that Geummun and his associated monk sculptors mainly engaged in Chungbug province Buddha creating projects from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The Seated Wooden Ksitigarbha of Chiljangsa is a reliable source to fill Taewon(太願) monk sculptor school"s genealogy. Taewon school"s genealogy is summarized like this: Taewon(太願, 1600~1615)-Beopyeong(法靈, 法令, 1615~1641)-Hyehui(慧熙, 1640~1677)-Geummun(金文, 1665~1706), Chengyun(淸允, 1684-1706). Geummun and his associated monk sculptors played a critical role for shaping one of the important monk sculptor school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 KCI등재

        고성 옥천사 대웅전 석조불상 연구 : 조성시기와 조각승을 중심으로

        최선일(Choi, Sun Il)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5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duction date and Monk sculptor about the Stone seated Amitabha triad enshrined in Daewoongjeon Hall of Okcheonsa Temple at Goseong. As the Sacred Objects Stored in Stone seated Amitabha triad has not been investigated, so it cannot reveal the specific timing of its creation and the author. However,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construction of Okcheonsa temple s pavilions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statu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id-late 17th century Buddhas. In a comparative study like this, I found that the Stone triad Buddha statue was made around 1654 when the Buddha Hall was built and it was built in the early days of the Guekrakjeon and was renamed Daewoongjeon in 1745. This Stone Buddha statue is similar to the Stone Ksitigarbha Bodhisattva made by a monk sculptor Gyeongok(敬玉) in 1670, which was created in 1670. A monk sculptor Gyeongok made the Wooden seated triad of JeonNam Gangjin Jeongsoosa temple with leading monk sculptor Suengil in 1648, the Wooden seated Buddha triad of GyeongBuk Gumi Sudasa temple in 1649 and the Wooden seated Amitabha triad of JeonBuk Jinan Guemdangsa temple in 1650 with leading sculptor Huijang. Also he produced the Wooden seated Buddha triad of Deagu Dalseong Woonheungsa temple in 1653 with eading sculptor Dowoo and the Stone seated Amitabha triad in 1655. When he created the Buddha statue at Songrimsa Temple in Chilgok,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1655, he played a pivotal role, becoming the third to fourth of the sculptors to be mentioned, and is believed to be at least in his 40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Buddha statue of Okcheonsa Temple, which was built by Gyeongok in 1670, was made in his 60s. The Buddha statue he produced features a nearly perpendicular line from the eye to the nose, a cylindrical nose and a large philtrum. Also, the tip of the robes over the right shoulder forms a V shape, and the fold of the garment feels flat overall. The statues unknown production date of Yeongnam, which have such stylistic features, include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of Yonghwasa Temple in Tongyeong, the Stone seated Sakhamuni triad of Yongmunsa Temple in Namhae, the stone statue of Buddha in Yongmunsa Temple in Namhae, the stone statue of Stone seated Amitabha triad of of Uiryeong Monksa Temple. These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by Gyeong-ok or his pedigree Sculptor around 1680 본 논문은 옥천사 대웅전에 봉안된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의 제작연대와 조각승을 구체적으로 밝힐 것이다. 석조아미타여래좌상은 복장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체적인 조성 시기와 작가 등을 밝힐 수 없지만. 임란 이후 옥천사 전각의 건립과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17세기 중・후반에 제작된 기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 연구를 통하여 석조삼존불좌상은 법당이 건립된 1654년경에 조성되었는데. 건물 초창 때 극락전으로 건립되어 1745년에 대웅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석조불상은 이목구비에서 풍기는 인상이나 착의법 등이 1670년에 경옥이 만든 석조지장보살좌상과 유사하다. 조각승 경옥은 1648년에 수화승 승일과 전남 강진 정수사 목조삼세불좌상을, 수화승 희장과 1649년에 경북 구미 수다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과 1650년에 전북 진안 금당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조성했다. 또한 수화승 도우와 1653년에 대구 달성 운흥사 목조삼존불좌상과 1655년에 달성 용연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1655년에 경북 칠곡 송림사 불상을 조성할 때 조각승 가운데 3~4번째로 언급될 정도로 중추적인 역할을 하여 최소한 40대 전후의 나이였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670년에 경옥이 주도해서 만든 옥천사 명부전 불상은 60대 정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승 경옥이 제작한 불상은 눈두덩이에서 코로 이어지는 선이 거의 직각을 이루고, 원통형의 코, 인중이 넓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끝자락은 V자형을 이루고, 옷주름은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느낌이 든다. 이와 같은 양식적인 특징을 가진 영남의 무기년명(無紀年銘) 불상은 통영 용화사 석조삼존불좌상, 남해 용문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 의령 수도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등으로 1680년경에 경옥이나 그 계보 조각승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역사적 상상력으로 접근하는 독일의 역사와 문화 : 「오르페우스의 창」 콘텐츠를 중심으로

        최선아(Sun Ah, Choi) 한국독일사학회 2021 독일연구 Vol.- No.47

        역사 교육 분야는 수업시수 부족과 입시위주 교육 등 여러 교육 환경의한계 및 학습지도 방법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학습자와 대중에게 역사적 상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오르페우스의 창」은 그리스․로마 신화의 ‘오르페우스오 에우리디케’ 신화를 가톨릭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 독일 레겐스부르크를 배경으로 창작되었다. 「오르페우스의 창」은 그리스․로마 신화의‘오르페우스’ 신화 코드를 접목하여 독일 제국 시기부터 1차 세계대전 시기를 배경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오르페우스의 창」저자는 「베르사이유의장미」라는 작품을 통해 일본과 한국 및 세계에 프랑스 혁명을 널리 알린바 있고, 또한 「오르페우스의 창」을 통해 많은 독자들에게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오르페우스의창」은 주인공 율리우스가 독일 민족의 신화 『니벨룽겐의 노래』, 비스마르크의 정책, 드레퓌스 사건의 여파, 독일 시민계급과 사회문제, 독일의 산업화와 계급, 독일의 음악과 시민사회 등 1차 대전 전․후로 겪게 되는 독일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역사적 추체험에 대해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전개를 진행하고 있다. 오늘날 역사를 탐구하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고, 대중에게 소통되고 있는 만화를 포함한 역사․문화콘텐츠는 역사학자의 검증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역사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고 있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주로 다룬 시대배경은 「오르페우스의 창」전반부로 독일-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한1차대전 전․후의 유럽 사회의 역사 전개상황이다.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ere are many limitations of the educaional enviroment, such as lack of number of clsses and admission-oriented education, and various methods ot teachinh. The Window of Orpheus strongly influences the Greek and Roman mythologly’s ‘Orpheuso Eurydice’ myth. Various ways to explore history are being sought today, including cartoons communicating with the pubic. cartoons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history and cul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and mass media. When using cartoons in history education, first of all, history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artoons.

      • KCI등재

        『한금신보』 (1724) 편찬자의 음악적 배경

        최선아 ( Sun A Choi ) 한국음악사학회 2013 한국음악사학보 Vol.51 No.-

        『한금신보』는 1724년 응천(凝川) 후인(後人)에 의해서 한립(韓笠 또는 韓立)의 악보를 토대로 편찬된 거문고보이다. 이 악보는 『금보신증가령』(1680)과 18세기 후반 『유예지』 사이의 거문고 음악의 변천을 밝혀주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거문고보로 주목되었다. 그러나 『한금신보』를 편찬한 응천 후인이 어떤 집안 출신이며, 어떤 역사적·사회적·음악적 배경을 가진 인물인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응천 후인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그의 집안을 찾고, 다음으로 그를 둘러싼 음악적 배경이 『한금신보』 편찬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응천 후인이 어렸을 때 거주한 수명정은 소북에 속한 박이서가 1616년 마포 강가에 창건한 정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박이서의 본관이 밀양 즉 응천이므로 응천 후인은 박이서의 후손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명정은 밀양 박씨 집안의 수신과 풍류의 공간이었는데, 응천 후인이 거문고 음악에 처음 뜻을 둔 장소이기도 하다. 그리고 수명정이 위치한 한강의 삼포는 17세기 후반에 거문고 연주가인 한립과 김성기의 음악활동의 장소이기도 하다. 응천 후인 집안은 당시의 정계에서 소외받던 소북임에도 불구하고 장악원 및 성균관의 음악을 관장한 관리를 계속해서 배출하였다. 이것은 악(樂)을 애호하는 집안의 분위기와 더불어 악(樂)의 중요성을 알고 항상 가까이 하며 직접 익히고자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응천 후인이 『한금신보』를 편찬하면서 『악학궤범』을 상당량 인용할 수 있었던 점도 장악원 관리를 배출한 집안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 응천 후인의 선조인 박노는 당시 청나라 통으로 수년간 청나라를 다녀왔고, 청에서 들여온 서적을 집안에 소장하였다. 그래서 응천 후인은 『형천패편』과 『만보전서』의 음악 관련 기록을 『한금신보』에 직접 인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금신보』에는 이전의 악서와 거문고보에 수록된 금론 외에 다양한 중국의 악론과 금론까지 수용될 수 있었다. 한편 응천 후인은 『한금신보』를 편찬하면서 『양금신보』의 금론을 다수 인용하였다. 이것은 『양금신보』의 간행을 담당한 김두남과 박노의 음악적 교유가 있었고, 후대에 집안 간의 혼인으로 이어진 인맥을 통해서 응천 후인이 『양금신보』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었고 인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까지 응천 후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친필 자료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 밀양 박씨 충헌공파 집안의 문헌자료가 활발하게 정리·공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한금신보』는 응천 후인이 직접 작성한 친필본이기 때문에 친필 비교를 통해서 머지않아 응천 후인이 누구인지 분명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Effects of Chungkookjang Extract on Growth Hormone Secretion from GH3 Mouse Pituitary Cell and Growth Hormone Receptor Signaling Pathway

        Sun Il Choi(최선일),Ji Eun Kim(김지은),In Sik Hwang(황인식),Hye Ryun Lee(이혜련),Young Ju Lee(이영주),Hong Joo Son(손홍주),Dong Seob Kim(김동섭),Kyu Min Park(박규민),Dae Youn Hwang(황대연)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9

        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장호르몬의 생산과 분비는 세포의 분열과 분화 그리고 이동을 조절하는 몇 가지 천연물질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발효과정을 통해 제조된 청국장이 성장호르몬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성장호르몬 분비능과 반응성을 뇌하수체 세포와 성장호르몬 표적세포에서 관찰하였다. 6가지 종류의 콩 품종으로 제조된 청국장 추출물 중에서, 대원, 대풍, 태광의 3종류 청국장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GH3 세포로부터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였다. 비록 세포 생존능은 이러한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인 변화가 유도되지 않았으나, 성장호르몬의 분비량은 청국장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성장호르몬의 표적 기관으로부터 유래된 MG63과 HepG2 세포는 GH3로부터 수집된 조건적 배양액에 의해 유의적으로 활성화되었다. 또한 이러한 세포에서 STAT5 발현은 대원 청국장 추출물을 처리 후, 15분 혹은 30분부터 세포질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STAT5는 핵에서 30분 혹은 60분부터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3가지 종류의 청국장 추출물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청국장의 조건적 배양액은 성장호르몬 표적세포에서 신호전달을 유도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growth hormone (GH) in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can be induced by several natural products to control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hungkookjang (CKJ) produced by the fermentation process affects GH-related metabolism, the secretion and the response of GH were observed in pituitary cells and GH target cells. Among six CKJs manufactured by different strains of glycine max, only three CKJs, including Daewon (DW), Daepung (DP), and Taegwang (TG), induced GH secretion from GH3 cells at 5.0 mg/ml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etected in the viability of any of the cells treated with these CKJ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GH secretion from the GH3 cells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the three types of CKJs. The proliferation of cell lines, including MG63 and HepG2 cells, that originated from those derived from the GH target organs was significantly activated by treatment with the GH-containing conditional medium (GCM) harvested from the three CKJ-treated GH3 cells, although their induction rat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se cells, p-STAT5 was maximally translocated into the nucleus of MG63 cells 30 min after DW treatment, while it was translocated in HepG2 cells at 60 m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three types of CKJ could enhance the secretion of GH, as well as the GCM-derived response, in the two target organs.

      • KCI등재

        로렌스의 「섬을 사랑한 사람」 -세 번째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읽기

        최선령 ( Sun Ryoung Choi ) 영미문학연구회 2013 영미문학연구 Vol.25 No.-

        This paper proposes to examine the hero`s extreme search for the absolute isolation in "The Man Who Loved Islands" as an antithesis of "active life" which, according to Hannah Arendt, modernity approved as a supreme means for truth and knowledge. In his own small islands, Cathcart, the hero, firs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n epitomized human society operated by his own "personality", and after its failure, becomes only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with a woman. However, with disillusionment from the experimental society and human relationships, his withdrawal from the world drastically accelerates into an absolute isolation in the third island. It is noticeable and noteworthy as well that the narrator`s attitude toward Cathcart which have been tinged with occasional ruthless ironies in the first two episodes changes in this third episode. Now, the narrator just shows the readers what Cathcart does and thinks making them see the world the same way as the hero does. This significant change in the narrative tone implies that to some extent, the narrator is also sympathetic to Cathcart`s desire for the isolation that was partly triggered by the realization of the negativity and futileness of modern "active life". Nevertheless, the hero`s search for the isolation is finally converged into pure self-assertion or self-expansion. This limits the other possible adventure which Cathcart`s search for the absolute isolation could lead to, that is, the achievement of do-nothingness or Buddhistic emptiness. Even though his freedom from all human desires, his complete uninterestedness in anything exterior, and his vivid realization of natural universe could have enabled him to achieve it, it was just out of Lawrentian sc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