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표(一瓢) 최석만 교수와의 대담:

        최석,정학섭,우실하,유승무,박수호,정승안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4

        최근 들어 한국 사회는 소통과 상호이해의 부재, 다양한 사회문제와 갈등으로 인해 사회해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우리 학회에서는 한국 사회의 원로들을 모시고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과제를 풀어 가기 위한 혜안을 구하는 장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최석만 교수와의 대담은 월주 큰스님에 이어 두 번째 기획이다. 일표 최석만 교수는 한국사회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이어 실증주의적 사회학의 위기에 대한 대안 모색과 실천적 작업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창립을 주도하였다. 30여 편의 논문들과 10여 권의 저서들은 한국사회의 여러 가지 현안과 문제들에 대한 동양사회사상적 대안 모색과 비전 제시에 집중되고 있다. 전남대에서 정년을 앞두고 독립 연구가로서의 삶을 준비하시는 최석만 교수의 삶과 학문세계에 대한 대담을 통해 오늘날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현안에 대한 동양사회사상적 대안 모색과 실천적 지식인의 본을 세우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일표 최석만 교수와의 대담에는 학회장인 정학섭 교수와 우실하, 유승무, 박수호, 정승안 교수, 이민정 편집간사 등 여러분이 함께 했다. 몇 가지 미진한 부분은 서면 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음도 밝혀둔다. 앞으로도 우리 학회에서는 한국사회의 원로들을 찾아뵙고 혼탁한 세상을 밝혀줄 지혜의 말씀을 청하는 시간을 이어갈 계획이다. 많은 관심과 질정을 부탁드린다.

      • 건설동향브리핑 831호

        최석인,손태홍,성유경,박용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1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1 No.-

        경기도는 지난 9월 14일 발표한 ‘건설공사 3대 예산 절감 정책’의 주요 실행안을 수록한 ‘경기도 공공건설사업 총사업비 관리지침’을 발표하였음. 본 지침을 통해 사업 추진단계마다 총사업비, 규모, 기간 등을 반드시 사업관리기관(부서)과 협의하도록 해 사업 시행기관의 임의 사업계획 변경을 원칙적으로 차단함. - 적용 범위는 경기도의 예산과 기금으로 시행하는 총사업비 5억원 이상, 사업기간 2년 이상 공공 건설사업으로, 경기도 본청 및 사업소, 도 예산 지원으로 대행하는 시군이나 도 소속기관도 포함됨. 참고로 경기도는 건설공사 3대 예산 절감 정책으로 ① 공사비의 합리적 결정, ② 공사지연 간접비 해소, ③ 무분별한 설계변경 방지를 제시함. - 공사비 합리적 결정: 100억원 미만까지 표준시장단가 확대 적용을 통해 연간 약 100억원 절감을 기대함. 도 건설공사 원가계산시 표준시장단가 금액에 맞추기 위해 이윤 등 재량항목을 조정하도록 함. - 공사지연 간접비 해소 : 보상 완료 후 착공 의무화를 통해 59개 사업에서 약 885억원을 절감을 목표함. 토지 사용권 확보 및 지장물 제거 후 공사를 착공토록 함. - 무분별한 설계변경 방지 : 총사업비 관리지침 운용을 통해 연간 약 100억원 절감을 기대함. 이는 엄격한 설계변경 기준을 마련을 통해 달성하고자 함. ● 발주자 권한이지만 일반관리비와 이윤의 무리한 삭감 조항(제12조)의 재검토 필요 경기도 총사업비 관리지침 제12조 3항 설계검토 부문에서 100억원 미만 공사에 대해 사실상 공사비를 삭감하는 방법과 조치를 수록함.

      • 2030 건설산업의 미래와 수요

        최석인,이승우,손태홍,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0 건설이슈포커스 Vol.2020 No.-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30년 건설산업의 수요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설문조사를 2020년 3월 3일부터 3월 10일까지 수행함. ․일반 국민은 200명, 서울시 소재 종합건설업체는 150곳, 공공 발주기관 50곳이 본 설문조사에 응답함. - 본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장별로 다음과 같이 제시함. ․ 2장에서는 향후 건설시장의 전망과 인프라 만족도, 향후 정책 방향, 해외건설시장, 남북시장 등의 사업 전망과 정책 등의 조사 내용을 제시 ․ 3장에서는 향후 주택시장과 가격의 영향 요인, 필요 정책 등을 제시 ․ 4장에서는 미래 건설산업의 정책과 제도, 규제 강도 등을 제시 ․ 5장에서도 미래 건설기술에 대한 수요와 전망, 영향 등을 제시 제2장 인프라 투자 및 주요 시장 전망 - 인프라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는 ‘보통 이하’ 응답률이 71.5%를 차지하여 1/3 정도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서울을 포함한 6대 광역시에서는 ‘만족한다’는 비율이 45.1%로 높게 나타났으나, 도 지역에서는 ‘만족한다’는 비율이 13.8%에 불과함. - 인프라 투자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인식에서는 과거 국가 및 지역 경제성장을 위한 토대로서 의미가 컸던 반면 최근에는 ‘안전하고 편리한 일상생활’에 대해 가장 큰 중요성과 의미를 부여함. - 향후 10년 동안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한 의견은 전체의 69.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9.0%에 그침. ․최근 인프라 투자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된 노후 인프라와 생활 인프라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60% 이상이 ‘개선과 확충이 필요하다’고 응답함. ․향후 10년 동안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가장 시급한 부분으로는 노후 인프라에서는 ‘철도 및 지하철’, 생활 인프라에서는 ‘복지시설’로 조사됨. - 향후 10년 동안 4차 산업혁명 및 신기술 등이 반영된 인프라 상품 중 투자가 시급한 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새로운 간선 교통시설에 대한 수요’가 54%로 가장 높았으며, ‘에너지 소비 효율화 인프라(47.5%)’, ‘공공 인프라 스마트화(46%)’에 대한 수요가 다음으로 높게 나타남. - 주요 인프라 시장별로 해외 인프라 시장, 민간투자사업은 건설기업의 경우 현재 수준 유지로 전망하고 있으나 공공 발주기관은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봄. ․북한 건설시장 진출에 대해서는 건설기업과 공공 발주기관 모두 진출 확대를 예상하고 있음.

      • KCI등재

        Easy FAST:건설 VE 프로젝트의 효과적 FAST 작성모델

        최석인,박찬식 대한건축학회 2002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18 No.4

        In construction VE practices, FAST(Function Analysis System Technique) is not properly applied or even omitted, due to misunderstanding on its objective as well as difficulty of its diagramming. This study is initiated with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the FAST diagramming is originated from CPM(Critical Path Method) networking concept and with the belief that the networking logic might be applied for solving some problems concerning FAST application. The study presents a prototype of computerized FAST diagramming model, called Easy-FAST, by using MS Project 2000, a CPM software. And also the study suggests the FAST diagramming method and procedure. The overall structure of Easy-FAST is formed with two modules- FAST diagramming module and database module. The FAST diagramming module consists of function worksheet and FAST diagram box. FAST diagram is generated by simply entering function ID number(s) that represent preceding relations between functions. The diagram can be modified through adjusting the relations of preceding functions or re-classifying function type on the function work sheet. The fun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is model is stored in function database for future VE study. The database is designed with special breakdown structure that is classified and coded according to project, space and element, element and component. The function database module is developed by using MS Access and MS Visual 6.0. It is expected that the Easy-FAST and its diagramming procedure can greatly improve the time-consuming diagramming practice by enabling concentration on function analysis and enhancing time-limited VE activities. The usefulness of the Easy-FAST was validated with interview with VE experts.

      • KCI등재
      • 건설동향브리핑 855호

        최석인,최수영,성유경,빈재익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2 No.-

        국내 건설산업의 안전관리비용은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건설기술 진흥법」의 안전관리비로 구분할 수 있음. -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사업장 내부 근로자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용이며, 안전관리비는 시설물 안전 및 사업장 외부 시민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용으로 차이가 있음. - 건설산업에서 안전관리비용은 대부분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인식되며, 안전점검비를 제외한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관리비의 인식도와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현실임. 두 안전관리비용의 주요 내용을 단계별로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음. - (계상) 두 안전관리비용 모두 건설공사 발주자가 계상할 의무가 있음. 그러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일괄 요율화되어 있는 반면, 안전관리비는 안전점검비용만이 요율화되어 있어 차이가 있음. - (계획 및 승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 안전관리비 집행계획은 안전관리계획서에 포함됨. - (사용 및 확인)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사용 가능항목, 사용 불가 내역, 공사진척에 따른 사용기준이 명시되어 있지만, 안전관리비는 사용 가능 항목만이 포괄적으로 명시되어 있어 차이가 있음. ● 공공사업 안전관리비성 비용 계상실태 58개 공공사업 공사내역(설계내역 또는 도급내역) 분석 결과, 안전관리비성 비용 안전관리비성 비용이란 경비 안전관리비와 직접공사비에 포함된 안전관리비 성격의 비용을 종합한 비용을 의미함. 이 미계상된 사업이 34%(20건)로 나타남. - 공종별로는 건축사업 50%(28개 사업 중 14개), 토목사업 14%(28개 사업 중 4개), 조경사업 100%(2개 사업 중 2개)에서 안전관리비성 비용이 설계단계에서 계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됨. - 총공사비에서 안전관리비성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건축이 0.149%, 토목은 1.649%로 나타나 토목사업에서 높게 분석됨.

      • 건설동향브리핑 826호

        최석인,박철한,최은정,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1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1 No.-

        2020년 건설업 사고사망자수는 458명(전체 대비 51.9%)으로 전년 대비 30명 증가함. - 사고사망만인율은 1억원 미만(5.17‱), 1억~20억원(3.36‱), 20억~120억원(1.99‱), 120억원 이상(0.80‱) 순임. 공사금액이 적을수록 사고사망만인율이 높은 경향을 보임. - 1억~20억원에서 170명(37.1%), 20억~120억원에서 81명(17.7%) 발생, 120억원 이상에서는 91명이 발생함(19.9%). 재해 유형별로 살펴보면 떨어짐(236명), 물체에 맞음(42명), 부딪힘(38명), 화재(36명), 깔림‧뒤집힘(33명), 끼임(14명) 순으로 사고사망자가 다수 발생함. - 전년 대비, ‘떨어짐’ 사고사망자는 29명 감소했으나(비중 61.9 → 51.5%), 화재(30명↑), 물체에 맞음(16명↑) 사고사망자는 증가함. (연령별) 사고사망자의 77.2%(354/458명)가 50세 이상이며, 41.9%(192/458명)가 60세 이상 고령층으로 나타남. - 전년 대비, 모든 연령층에서 사고사망자가 감소했으나, 60세 이상 사고사망자는 대폭 증가(144 → 192명, 48명↑)함. ● 대형종합건설기업 A사의 문제 대처 사례 정책의 양적 강화보다는 과거 10년 동안의 대형 건설사의 사고와 A사의 사고를 분석함. - 사고의 원인으로 ①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반에 가까움), ② 시공품질, ③ 건설장비, ④ 안전시설물/보호구, ⑤ 건설자재/재료의 부적절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