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일제 하 소시모리(曾尸茂梨) 비정을 둘러싼 논챙사(論爭史)에 대한 소고

        최석영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8 중앙민속학 Vol.- No.13

        일제 강점 하에서 식민지 지배담론은 조선총독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생산되었다. 그것은 일정하게 조선총독부가 생산한 통치기조 안에서 생산된 것이었다. 이는 식민지 각 지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재해석을 동반한 것이었지만 그 재해석은 또한 왜곡과 억지의 과정이기도 하였다. 일본신화에 나오는 스사노오노 미코토의 행적을 찾는데 관심이 많았던 사람들에게 일본의 강점에 의하여 그들의 영토가 된 조선에서 일본서기에 기록된 소시모리 (曾P茂梨) 가 어디인가를 비정하는 일은 일선동조론 (日鮮同祖鮮)과 내선일체 (內鮮一體)라는 기조 안에서 큰 과제가 아닐 수 없었다. 소시 모리를 ``소의 머리``로 언어학적으로 해결한 그들은 그것의 한자 표기인 우두(牛頭) 산을 찾아 나섰고 조선 전국에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이 존재한 데에서 그들의 재해석과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른 바 경주설, 가야설, 춘천설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재해석이 거듭되어 오다가 1930년대 후반에는 일제의 신사정책의 강화 속에서 춘천 우두산에 소시모리신사를 건립하기에 이르면서 현실적으로 결론이 난 듯이 보였다. 그러나 광복 후 춘천에서는 그것이 일제의 통치를 위한 선전에 불과했다는데 의견 일치를 보고 그 해체와 지역문화 복원에 노력하고 있는 반면에 경남 거창에서는 이와는 다른 각도에서 그들 지역이 바로 일본 신들의 "본향" 이라고 새롭게 해석하고 테마관광단지를 조성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은 또 다시 한번 식민지 후 담론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 Governing Discourses were produced in the situation in which Japan Occupied Chosun. They were in support for the governing lines, which were known as 日鮮同祖論(IIIseondongjoron) and 內鮮一體 (Naesonillfche). Based on the records in 日本畵紀(Nihonshouki, Japanese interpreted the Socimori(會尸茂梨) as ``the head of cow``(牛頭), and tried to search for the site in Chosun where Susanoonomikoto(素盞鳴尊 또는 수左之男命) came with his son and lived during short time, They proposed that the site should be Gyoengju(慶州), or Gaya(伽倻) or Cheunoheon(春川). In the middle of 1930``, they built the shrine in Mountain Udo(牛頭山) of Cheuncheon(春川) where they performed a sacrifice to Susanoonomikoto.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e movement in both Cheuncheon(居昌) The former tries to criticize its performing as the propaganda to govern Chosun, while the latter is planning to make a tour site themed as the native town of Japanese Gods. Still, even now the controversy is continued in Korea.

      • Effects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on the Liver Excretory Function in Rats

        최석영,양규환,Choe, S.Y.,Yang, K.H.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1 한국생화학회지 Vol.14 No.1

        Effects of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on plasma disapperance and biliary excretion of sulfobromophthalein (BSP), procaineamide ethobromide (PAEB), and ouabain were studie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the powdered diet containing various doses of BHT for 2, 4 or 10 days. Plasma concentration of BSP in BHT-treated rats tend to be lower than that of control, wheares biliary excretion of BSP was increased at all doses (0.1, 0.25 and 0.75%) of BHT especially in first 20 min collection periods. BHT treatment also increased in biliary excretion of PAEB especialy in the unconjugated free form. Effect of BHT on plasma concentration and biliary excretion of ouabain was different from that of BSP and PAEB. In rats treated with 0.75% BHT plasma concentration was similar to control. Biliary ouabain excretion was increased at first 10 min but total amounts ouabain excreted into bile for 60 min was similar to control. Bile flow and liver wet weight were increased in BHT treated ra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d biliary excretion of BSP and PAEB may be due to the increased canalicular bile formation by BHT. 식품의 산화방지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BHT(butylated hydroxytoluene)가 간의 배설기능에미치는 영향을 혈관에 주입시킨 BSP (sulfobromophthalein), 와베인 (ouabain)의 담즙을 통한 배설량을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백쥐(rat)에 일정기간 (2,4 또는 10일)동안 여러용량의 BHT를 섞은 사료를 먹이고 나서 백쥐를 마취시킨 후 총담관, 대퇴부동맥과 정맥에 폴리에틸렌관을 연결시킨후 약물을 정맥으로 주입시켜 한시간 동안 혈액내의 농도와 담즙에 배설된 량을 단계적으로 조사하였다. BHT의 처리는 혈액내에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냄과 동시에 담즙으로 배설된 BSP 양을 현격히 증가시켰다. 이 영향은 0.1% BHT를 2일 동안 먹인 동물에서도 나타났으며 특히 처음 20분 동안에 배설량이 크게 증가시켰는데 이는 이 물질의 간에서 대사작용을 촉진시킨 것이 아니고 단순한 배설과정의 촉진현상으로 밝혀졌다. TBHT의 처리가 와베인의 배설작용에 주는 영향은 BSP와 PAEB와는 달리 미약하였다. BHT의 처리는 또한 매분당 배설되는 담즙의 량과 간의 무게도 크게 증가시켰다. 이들 결과는 항산화제안 BHT가 외부물질의 간을 통한 담즙으로의 배설을 크게 증가시키며 이 효과는 물질들이 혈액에서 간으로 유입단계나 간 속에서의 대사단계에는 영향이 없고 간에서 담즙으로의 분비단계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하며 담즙량을 증가 시키는 것과 동일한 원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궁귀조혈음가미방(芎歸調血飮加味方)을 복용한 여성의 산욕 초기 증상과 어혈 변화에 대한 연구

        최석영,김찬우,김남훈,박경선,황덕상,이진무,이창훈,장준복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8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1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arly puerperium symptoms and Blood Stasis Index in women during the first two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38 women staying at Korean postpartum management facilities were studied.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on the date of arrival and departure. Changes in overall physical conditions including neuropsychiatric, circulatory, digestive, musculoskeletal, and urogenital and breast symptoms as well as Blood Stasis Pattern were studied. Results: 1. Neuropsychiatric symptoms were shown in order of Depressed Feeling, Insomnia, Dizziness, Headache, and Easy to Anger and Nervous on arrival. All symptoms showed improvement after two weeks, without significance. 2. Circulatory symptoms were shown in order of Excessive Sweating, Edema, Fatigue, Hot Flash, Anemic Feeling, Alternating Chills and Fever, Cold Hypersensitivity, Chills, Oppression in the Chest, and Palpitation on arrival. Hot Flash, Excessive Sweating, and Edem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wo weeks. 3. Digestive symptoms were shown in order of Dyspepsia, Dry Mouth, Constipation, and Loss of Appetite. All symptoms showed improvement after two weeks, without significance. 4. Pain of Muscles & Joints showed improvement after two weeks, without significance. Pain of Teeth & Gingiva showed slight worsening after two weeks, without significance. 5. Urogenital and Breast symptoms were shown in order of Wound Pain, Fever and Distending Pain in the Breast, and Lower Abdominal Pain on arrival. All symptom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wo weeks. 6. Blood Stasis Index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wo weeks. Conclusion: Most symptoms were improved in women staying at Korean postpartum management facilities for two weeks. Hot Flash, Excessive Sweating, Edema, Wound Pain, Lower Abdominal Pain, Fever and Distending Pain in the Breast and Blood Stasis Index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목적: 궁귀조혈음가미방을 복용하며 한방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를 시행한 여성들의 산욕초기증상과 어혈변증지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주간 한방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를 한 여성 3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입실일과 퇴실일에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근골격계, 비뇨생식기계 및 유방 증상과 함께 어혈 증상의 정도를 표기하도록 하였다. 결과: 1. 출산 후 산후조리원 입실 시 정신신경계 증상으로 우울감(3.03±1.684), 수면장애(2.76±1.567), 어지럼증(2.68±1.817), 두통(2.42±1.750), 신경예민(2.29±1.450) 순으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입실 당시에 비해 퇴실 시 증상이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순환기계 증상으로 입실 시 다한(4.63±1.807), 부종(4.32±2.157), 피로감(3.39±1.868), 상열감(3.05±1.754) 순으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그 중 상열감, 다한, 부종은 퇴실 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3. 소화기계 증상으로 입실 시 소화불량(4.76±1.651), 구건(3.79±1.975), 변비(3.16±1.763), 식욕저하(3.05±1.627) 순으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퇴실 시 증상이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근골격계 증상으로는 입실 시 근육관절통증(3.87±1.920)을 심하게 호소하였으며 퇴실 시 약간 감소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치아잇몸통증(2.37±1.441)은 퇴실 시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5. 비뇨생식기계 및 유방 증상으로는 입실 시 봉합부위통증(4.47±1.797), 유방창통(3.71±2.012), 하복통(3.58±1.718), 냉대하(2.47±1.390) 순이었고 퇴실 시 증상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그 중 봉합부위통증, 하복통, 유방창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6. 어혈변증설문지에 의한 어혈변증지수는 입실 시 32.47±11.535에서 퇴실 시 26.55±10.516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결론: 한방산후조리원에서 궁귀조혈음가미방을 복용하며 2주간 산후조리를 시행한 여성의 산욕초기 증상 대부분이 호전을 보였으며 특히 상열감, 다한, 부종, 봉합부위통증, 유방창통과 어혈변증지수에서는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