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李珥의 정치 개혁 사상

        최복희 한국철학사연구회 2006 한국 철학논집 Vol.0 No.18

        李珥는 주희의 사회문화개혁론과 조광조의 至治主義를 계승하여 정치력을 기반으로 현실적인 개혁의 대안을 제출하였다. 그는 정치, 경제, 국방, 교육 등 전 방면에 걸쳐 도덕적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을 광범위하게 제안하였다. 현실적 제안들을 통하여 그는 이상적 요순정치의 틀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실질적 성과”와 “때를 아는 것”[知時]이라고 하였다. 그는 자신의 역사관에 비추어 당대는 바로 更張期, 즉 개혁의 시대라고 보고, 理通氣局論을 토대로 이상과 현실의 통합을 시도하였다.그의 정치적 이상이었던 王道政治는 단순히 도덕적인 군주를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군주가 도덕정치를 행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군주의 도덕성이라는 내용이 담지되면 자연스럽게 민심과 인정이 따라올 것이라는 낙관주의에서 벗어나, 그는 실질적으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군주가 도덕적일 수밖에 없도록 강제하는, 더 나아가 도덕적이지 못한 군주라 해도 정치는 도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그래서 그는 현명한 신하들을 등용할 것, 정치조직을 간소화시킬 것, 언론구조[言路]의 개혁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민심에 따르고 당쟁의 근원을 척결하기 위하여, 세금징수 제도의 개선과 세금 징수와 관련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감사기구 설치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이의 정치구조와 경제 개혁에서 그는 유학에서의 전통적 과제였던 의(義)와 리(利)를 하나의 문제로 지향했으며 그것을 유학과 주자학의 중심과제였던 실(實)로 통합해냈다. 이이의 개혁 시도는 비록 동인과 서인의 갈등 사이에서 그의 노력이 열매를 맺지는 못했지만, 사림파의 義理論이 주희의 정치이상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실질적 정치개혁으로서 역할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성리학의 ‘감성’ 개념에 대한 고찰

        최복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3 No.-

        The ‘sensibility’ covered in this paper is a term not commonly used in Neo-Confucianism. Although it is not a major category, I would like to introduce an explanation of how the senses and acceptance of the outside world are achieved when explaining the actions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I point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planation of the mi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studies. For Zhu Xi, who was in the period of debate about inner and outer culture, Mind theory w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theory of internal discipline and practical discipline. He fused static and dynamic discipline into something consistent and unified through Jing. Lee Hwang argued for a cult to strengthen the practical influence of moral nature. So, He tried to prove the manifestation of active and active nature. For him, the realistic mind is governed by moral nature, and the discipline that makes it manifest itself well has practical effect. Strictly speaking, Lee Hwang saw the bal(發) of nature as expression and the bal(發) of temperament as triggering. Unlike Lee Hwang, who argued for "expression" in the sense of bal(發), Lee Yi saw all the actions of the mind as trigger in which Gi(氣) reacts to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Since the purpose of his studies was the realization of mo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realistic forms of existence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he took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exploration of the mind not limited to its moral nature. The views of the Neo-Confucianis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ir studies, but in the process, the exploration of the mind was all an important key, and revealed an important difference in how to interpret the sensibility, in the search of the mind. Thus, although sensibility was not a category that was noted in Neo-Confucianism, I evaluates that the corresponding concepts and interpretations have formed the core of their ideas. 본 논문에서 다루는 ‘감성’은 성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주요한 범주는 아니지만, 성리학에서 마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할 때 외부세계에 대한 감각과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해명한 내용을 정리해서 소개하고자한다. 필자는 성리학자들의 학문의 목적에 따라 마음에 대한 설명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지적하였다. 마음의 내면과 외면 수양에 대한 논쟁의 시기에 있었던 주희에게 있어서 마음 이론은 근본에 대한 내면 수양과 실천에 관련된 일상적 마음 수양을 융합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수양론을 설명하는 중요한 기반이었다. 그는 마음의 미발과이발 수양은 상호보완적인 것이고 상호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정적 수양과 동적 수양을 경(敬)의 마음가짐을 통해 일관적이고 통일적인 것으로 융합시켰다. 이황은 도덕적 본성의 실질적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수양론을 목적으로 했기때문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본성의 발현을 논증하려 했다. 그에게 있어서 현실적인 마음은 도덕적 본성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 본성을 잘 발현하도록 하는 수양이실제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려고 하였다. 엄밀히 말하면 이황은 본성의 발(發)은 발현, 기질의 발(發)은 촉발로 보았다고 할 수 있다. 발(發)의 의미에서 ‘발현’을 논증했던 이황과 달리, 이이는 모든 마음의 작용을 기(氣)가 외부세계와의 접촉에 반응하는 ‘촉발’로 보았다. 그의 학문의 목적은 세계와인간의 현실적 존재양태에 따른 도덕의 실현이었기 때문에, 도덕적 본성에 국한되지 않은 마음의 탐구를 경험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성리학자들의 견해는 그들의 학문의 목적에 따라 전개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모두마음에 대한 탐구가 중요한 관건이었고, 마음의 탐구에 있어서 발(發), 즉 감성을어떻게 해석하는가에서 중요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에, 감성은 성리학에서 주목했던 범주가 아니었지만, 필자는 그에 상응하는 개념과 해석이 그들 사상의 핵심을 이루었다고 평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戴震의 善」에 대한 논평문

        최복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5 철학논집 Vol.9 No.-

        이호영 박사는 논문에서 대진의 철학을 "중국철학의 원천인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윤리학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세워진 형이상학"이라고 정의하면서, 대진 철학의 목적은 바로 성인, 즉 종래의 성리학에서 말하는 리(理)의 담지자로서의 성인과는 다른 형식의 새로운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제시하려는 것이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천도와 인도의연관성을 밝히고, 인간은 신체, 혈기(血氣), 심지(心知)라는 세가지 성질을 공통적으로 지니는 유적 존재로서 다른 동물과는 달리 도덕행위의 주체임을 지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