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격강의의 학습집중도 평가 시스템

        최병도,현철상,정진욱,김동학,김욱현,김종근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2 No.2

        웹 기반 원격교육 환경의 발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원격교육 환경에서 교육미디어 자체의 발전에 비해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약하다. 현재 대부분의 원격강의 시스템에서 학습평가를 위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을 통한 중간, 기말 시험 등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원격강의에서 학습효과의 평가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원격강의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학습평가에 있어 학습자들의 실제 학습태도나 학습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이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있다. 원격강의에서 학습자의 성실한 학습태도는 학습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강의에서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피드백해 주어 학습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과 및 가능성을 확인한다. The development of web-based distance education surroundings is steadily achieving. However the studying on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s still weak against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itself. At present, most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showing limits in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effect because the learning evaluation depends on mid or final-term exams by on-line or off-line. There is a strong point that the distance education is free from space and time. One of present weak points is limitation of evaluating learner's attitude which can estimate learning effects. Earnest learning attitude at distance educ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for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s by forcing real-time evaluation and returning feedback to learners at the cyber lectures. The developed experimental system is verified its possibilities.

      • KCI등재

        원격강의의 학습집중도 평가 시스템

        최병도,현철상,정진욱,김동학,김욱현,김종근,Choi Byung-Do,Hyun Chul-Sang,Jung Jin-Uk,Kim Dong-Hak,Kim Wook-Hyun,Kim Chong-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2

        웹 기반 원격교육 환경의 발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원격교육 환경에서 교육미디어 자체의 발전에 비해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약하다. 현재 대부분의 원격강의 시스템에서 학습평가를 위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을 통한 중간, 기말 시험 등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원격강의에서 학습효과의 평가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원격강의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학습평가에 있어 학습자들의 실제 학습태도나 학습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이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있다. 원격강의에서 학습자의 성실한 학습태도는 학습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강의에서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피드백해 주어 학습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과 및 가능성을 확인한다. The development of web-based distance education surroundings is steadily achieving. However the studying on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s still weak against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itself. At present, most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showing limits in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effect because the teaming evaluation depends on mid or final-term exams by on-line or off-line. There is a strong point that the distance education is free from space and time. One of present weak points is limitation of evaluating learner's attitude which can estimate learning effects. Earnest teaming attitude at distance educ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for improving the teaming effects by forcing real-time evaluation and returning feedback to learners at the cyber lectures. The developed experimental system is verified its possibilities.

      • KCI등재

        朝鮮共産黨 滿洲總局 東滿區域局 조직과 제1차 間島共産黨事件

        최병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0

        東滿區域局은 1926년 10월 28일 龍井에서 朝鮮共産黨 滿洲總局 하부조직으로 만들어졌다. 구역국에는 책임비서 아래 조직부ㆍ선전부ㆍ표면부ㆍ입당검열부를 두었고 지역별로 야체이카를 설치했다. 조직정비에 노력한 결과 당원은 100명 안팎에 이르렀는데 이들은 주로 함북 출신 20ㆍ30대 지식인층이었다. 구역국에서는 이를 토대로 민족당 건립 운동, 항일무장부대 조직을 위한 기초조사, 민립중학건립운동, 일제가 전개한 관세부가세반대운동 저지투쟁, 在滿朝鮮人 생존권투쟁 등 여러 활동을 전개하였다. 동만구역국에서는 내부적으로 화요파ㆍ상해파ㆍ공청 세력이 서로 대립ㆍ갈등 관계에 있었다. 이들은 동만구역국이라는 통일된 조직에 합류하였지만 이들 사이의 대립ㆍ갈등은 한순간에 해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대립ㆍ갈등은 충분한 소통을 통해 해소될 수 있는 것이었고 구역국에서는 그러한 의지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제1차 간도공산당사건 발생으로 인해 갈등을 해소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동만구역국은 제1차 간도공산당사건으로 조직이 붕괴되었다. 일제는 구역국 설립 초창기부터 밀정을 고용하고 지속적인 감시를 벌이고 있었다. 그러던 중 조선공산당사건재판을 공개하라고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지자 1927년 10월 3일부터 間島日本總領事館警察署에서 구역국 구성원들을 체포했다. 일제는 이 사건을 間島에서 재판하지 않고 재판관할을 경성지방법원으로 옮겨 재판을 진행하고자 했다. 이는 “피의자”를 사건발생지역에서 분리하여 그들의 의도대로 처리하려는 편의성에 기인한 조치였다. 제1차 간도공산당사건에 대한 재판절차가 시작되자 무료변론에 나선 변호인단은 일제사법당국에 대한 투쟁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변호인단은 재판부가 결정한 재판 비공개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였다. 비록 공판과정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변호인단은 특별방청금지라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또한 검사가 1928년 개정된 치안유지법을 적용하여 구형하자 변호인단은 검사 구형이 법리에 맞지 않는다며 크게 반발하였다. 결국 변호인단 주장이 판결에 반영되어 구형보다 낮은 刑期가 결정되었다. 검사 측에서는 무리한 구형을 인정하고 공소를 포기함으로써 제1차 간도공산당사건에 대한 재판은 종결되었다. Dongmanguyeokguk was established in Longjing on October 28, 1926 as a lower organization of the Joseon Communist Party Manju Chongguk. Guyeokguk had the organization division, the propaganda division, the front division, and the political party joining and censorship division under the responsible secretary, and Yacheika was established by each region. Efforts for organization alignment resulted in 100 or so party members, who were largely intellectuals in their 20s or 30s from Hamgyeongbuk-do. Based on them, Guyeokguk performed different activities such as movement to establish the national party, basic investigation to organize anti-Japanese armed forces, movement to establish privately funded middle schools, struggles for opposing tariff and surtax the Japanese imperialists attempted to levy, and struggles for survival rights of Joseon people living in Manchuria. Within Dongmanguyeokguk, Whayo Group, Shanghai Group, and the Government Office Group were in confrontation and conflicts. They had joined a unified organization Dongmanguyeokguk but confrontation and conflicts among them were not able to be resolved in a moment. Such confrontation and conflicts were able to be resolved through sufficient communications and Guyeokguk had such intention. Nonetheless, opportunities to resolve such conflicts were lost due to the first round of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Dongmanguyeokguk collapsed after the first round of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The Japanese Imperialists hired secret agents from the initial stage of Guyeokguk and continuously monitored it. Amid such circumstances, a demonstration to demand making trials on Joseon Communist Party Incident public was waged and the Japanese consulate-general police station in Gando arrested members of Guyeokguk from October 3, 1927. The Japanese imperialists attempted to proceed with trials on this incident not in Gando but move the trial jurisdiction to Gyeongseong district court. This was a measure based on convenience separating the "suspects" from the area where the incident had occurred and attempting to treat it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As the trial proceedings for the first round of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were initiated, the defense counsel who engaged in pro bono work actively struggled against the Japanese judicial authorities. The defense counsel strongly protested against the Justice Department that made the trials closed. The process of the trial was not open but the defense counsel produced achievements of the trials being conducted under the special closed door. In addition, as the prosecutor demanded a penalty by applying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ct revised in 1928, the defense counsel severely resisted arguing that the demand by the prosecutor did not fit the legal principles. Finally, the defense counsel's argument was reflected in the ruling and a shorter prison term was determined than the original demand. The prosecution recognized excessive demand and gave up indictment and the first round of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ended.

      • KCI등재
      • KCI등재

        倡義團의 의열투쟁과 일제의 사법처리

        최병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5

        1919년 7월 間島에서 조직된 창의단은 간도참변 이후 南滿洲 奉天에서 조직을 정비하고 한반도 내에서 일제 기관을 공격한다는 의열투쟁을 계획하였다. 창의단에서는 1925년 무렵부터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독립 의지를 고취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선총독부 신청사, 朝鮮神宮, 경성부청 신청사, 조선은행, 종로경찰서에 동시다발적으로 폭탄을 투척하고 포고문을 배포하기로 하였다. 의거 주동 인물인 金應先·桂義山·全佐漢·黃二根 등은 의거에 사용할 폭탄을 한반도 내에서 제조하기로 하였고 폭탄을 제조하여 성능시험까지 마쳤다. 이들은 1926년 1월 31일 의거를 실행하기로 하였다. 창의단의거 계획을 탐지한 일제는 의거 실행 직전에 참여 인물 일부를 체포하였고 이로써 의거는 실행되지 못했다. 이후 서울·봉천·北京에서 의거 관련 인물들이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재판에 넘겨졌다. 이들은 재판 과정에서 의거 참여와 폭탄 제조에 관해 대부분 부인하였다. 재판장이 의거 핵심 인물인 전좌한을 신문하는 과정에서는 전좌한이 경기도경찰부의 밀정으로 활동했다는 내용이 밝혀지면서 창의단의거가 실행되지 못한 원인은 ‘밀정 활동’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재판 시작과 동시에 당시 언론에는 ‘전좌한 밀정설’이 보도되었고 재판이 마무리 될 무렵 언론 뿐만 아니라 재판부와 담당 검사 모두 전좌한을 밀정으로 지목하였다. 이는 재판 과정에서 전좌한이 밀정임을 시인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는 사망 직전 언론인터뷰에서 자신이 밀정이 아니었다고 주장하였다. 창의단의거에서 전좌한의 밀정 행위는 명백히 드러났지만 밀정 행위만으로 그가 밀정이었다고 규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밀정은 개인의 영달과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하지만 밀정 활동을 독립운동에 활용한 독립운동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전좌한을 밀정으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밀정 행위 뿐만 아니라 일제에 밀정으로 고용된 전후 시기의 활동과 동향, 인적 관계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전좌한이 밀정이 아님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밀정 활동의 목적, 독립운동 단체 참여 정황, 출옥 이후의 행적 등이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다. 창의단의거는 ‘밀정 활동’으로 실행되지 못한 의열투쟁이다. 의거가 실행되지 못하여 일제 기관에 타격을 주지는 못했으나 의거 준비 과정과 내용이 언론 보도로 세간에 알려지게 되면서 반제항일 투지와 독립 의지를 고취하는데는 기여한 측면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열투쟁에 주목하고 의거에 참여한 인물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의열투쟁의 전체상을 규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Changuidan that was organized in Jiandao of July 1919, aligned its organization in Shenyang, South Manchuria after the Jiandao Massacre, and then planned a heroic struggle of attacking Japanese institu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Changuidan that established its concrete plan from around 1925, decided to simultaneously throw bombs at the new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Joseon Shinto Shrine, the new building of Gyeongseong-bu Office, Joseon Bank, and Jongno Police Station, and then to distribute a declaration for the purpose of inspiring the will for independence and raising funds for independence movement. The leaders of the movement such as Eungseon Kim, Uisan Gye, Jwahan Jeon, and Eigeun Hwang decided to make bombs for the movement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 completed the performance test after producing the bombs. They planned to carry out the movement on January 31, 1926. The Japanese Empire that detected the movement plan of Changuidan arrested some of the participants right before the movement, so the movement was not put into practice. After that, the people related to the movement were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in Seoul, Shenyang, and Beijing, and then handed over to the trial. In the trial process, they mostly denied the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and production of bombs. When the chief justice questioned Jwahan Jeon as the key person, it was revealed that Jwahan Jeon worked as a spy under the Gyeonggi Provincial Police Department, so the cause for not being able to carry out the movement of Changuidan was revealed as ‘spy activities’. As soon as the trial began, the media of the time reported the ‘rumor of Jwahan Jeon as a spy’. When the trial was about to end, everyone including the media, court, and prosecutor in charge pointed out Jwahan Jeon as a spy because jwahan Jeon admitted himself as a spy in the trial process. However, Jwahan Jeon argued that he was not a spy in a media interview right before his death. Even though Jwahan Jeon’s spying action in the movement of Changuidan was clearly revealed, the spying action was not good enough to define him as a spy because spies generally aimed for their own distinction and pursuit of profit, but there were also independence activists who used their spying activities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order to define Jwahan Jeon as a spy, we should consider not only spying action, but also all the activities, move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 around the time when he was hired as a spy by the Japanese Empire. Also, to determine that Jwahan Jeon was not a spy, the purpose of spying activities, circumstance of participat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group, and the trail after released from prison should be clearly revealed. The movement of Changuidan was a patriotic struggle that was not carried out because of ‘spying activities’. Because the movement was not carried out, it could not give a blow to the Japanese institutions. As the content about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movement was known to the public by the media report, it largely contributed to inspiring the fighting spirit against Japan and a will for independence. If there is a further study on the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atriotic struggle, it would be great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whole image of patriotic struggle.

      • KCI등재

        제1차 間島共産黨事件 관련 인물들의 활동과 동향

        최병도 한국근현대사학회 2024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8 No.-

        제1차 간도공산당사건 발생 당시 관련 인물들은 대다수가 20~30대의 연령이었고 함경도 출신이 가장 많았다. 이들은 한반도 · 간도에서 교육을 받았고중국 · 러시아 · 일본에서 유학한 인물들도 있었다. 사건 관련 인물들은 교육계· 언론계에 종사하면서 다양한 사회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간도참변직후 한인사회 안정에 노력하기도 하였다. 사건 관련 인물들은 3.1운동 당시부터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한반도 · 간도에서 3.1운동에 참가하였고 여러 민족운동 단체와 사회주의운동 단체에 참여하여 한반도 내외에서 독립운동자금 모집, 항일무장투쟁, 사회주의운동 등을 전개하면서 1920년대 초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제1차 간도공산당사건 이후 해방 직전 시기까지 사건 관련 인물들은 다양한방면에서 독립운동을 이어 나갔다. 이들 중에는 옥고를 치르다가 사망한 인물들도 있었고 옥중투쟁을 전개한 인물들도 있었다. 출옥 이후 사건 관련 인물들은 혁명적 노동 · 농민조합운동, 조선공산당재건운동, 항일무장투쟁 등 독립운동을지속하였고 간도 교육계에서 민족교육을 위해 노력한 이들도 있었다. 사건 관련 인물 중 민족운동을 전개하던 독립운동가들은 조선공산당의 하부조직인 東滿區域局이 조직되자 동만구역국에 참여하여 민족협동전선을 기반으로 한 민족유일당 조직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동만구역국은 다양한 사회주의그룹의 통합 단체였을 뿐만 아니라 민족운동을 전개하던 독립운동가들도 참여한 동만지역의 민족유일당 성격을 가진 단체였다고 할 수 있다. At the time of the First Round of the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the majority of the individuals involved were in their 20s to 30s, with a significant number hailing from Hamgyeong Province. They received edu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Gando, and some had studied abroad in China, Russia, and Japan. Many of these individuals engaged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while working in the fields of education and media. Some of them also made efforts to stabilize the Korean community following The Gando Massacre. Those involved in this incident had been actively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They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Gando, and subsequently joined various organizations of National Movement and Socialist Movement, lea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arly 1920s through activities such as independence movement fund-raising, anti-Japan armed struggle, and socialist movement both within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From immediately after the First Round of the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until liberation, they continued their independence movement in various ways. Some of them died while enduring hardships in prison, and some also persisted in their struggle even while incarcerated. Independence activists involved in the incident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of Dongmanguyeokguk, a subordinate organization of the Korean Communist, and actively engaged in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United Party based on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 In other words, Dongmanguyeokguk was not only an integrated organization for various socialist groups but also a group with the character of the National United Party in the Dongman area, involving independence activists engaged in the national movement.

      • KCI등재

        고려공산청년회 滿洲總局 東滿道의 활동과 일제의 탄압

        최병도 역사와교육학회 2023 역사와 교육 Vol.37 No.-

        Park, Yunseo, Lee, Giseok, and Lee, Jeongman (朴允瑞·李基錫·李正萬) who had been active in the All~Union Leninist Young Communist League organized the Manchuria Secretary Division (滿洲祕書部), the Korean Communist Youth League having been active in Kando (間島) since 1923. However, the central committee, the Korean Communist Party ordered them to organize the public Manchuria administration office based on various communist forces that were active in Manchuria. As the Public Manchuria Administration Office (滿洲總局) was organized at the initiative of Kim, Jijong (金知宗) sent to Manchuria in May 1926, Aspects of conflicts between it and the the Manchuria Secretary Division got to appear.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forces were soon solved by discussion of the both sides and by October of the same year, Dongmando (東滿道), a subordinate office, was organized and got to be active. After the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the members of Dongmando led the socialist movement. The expansion committee of public Manchuria administration office in November 1926 and the Manchuria Group Council in January 1927 came up with future activity plans. Contents of realizing tasks having the party’s guidance, aiming at the public office’s popularization, and integrating the movement forces through the National United Front were decided in these meetings. Dongmando distributed propaganda documents with contents of complete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evelopment of armed struggles against Japan and held mass rallies on all kinds of anniversaries according to these plan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gainst tariffs and surtaxes, so~called “the movement against the movement against tariffs and surtaxes (反反對運動)”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Dongman region by Japan. In addition, Dongmando organized all kinds of legal groups for the public office’s popularization and made them pushed ahead with organizing the only national party, solving problems of oppressing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在滿同胞), making a solidary struggle with oppressed people all over the world, and implementing national education. There was the 2nd Gando Communist Party Incident, the incident that Japan oppressed Dongamdo in September 1928. The then arrested people were sent to the Korean Peninsula under escort and underwent the preliminary hearing (豫審) after being questioned by the Prosecutors’ Office, Gyeongseong District Court. As the preliminary hearing came to a close in June 1930, 49 people were brought to trial. The trial was held total 5 times and 48 people were convicted except one person. Examining history of the people who went to trial, majority of them were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in their 10s and 20s and the people who were born in Manchuria and the Russian Coast were included in them. This means that a new generation appeared in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Dongman region in the mid and late 1920s. All the people related to the incident participated in the socialist movement, the youth movement, and the education movement before in the Korean Peninsula, Kando, and the Russian Coast. Among them, there were the people who developed struggles in prison after the trial and continued to develop anti~Japanese movements participating in the armed struggles against Japan, the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and the revolutionary labor movement. 전연방레닌주의청년공산주의자동맹에서 활동하던 朴允瑞·李基錫·李 正萬 등은 1923년부터 間島에서 활동하면서 고려공산청년회 滿洲祕書部 를 조직하였다. 그러나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는 만주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공산주의 세력들을 기반으로 공청 滿洲總局을 새롭게 조직하라고 지시하였다. 1926년 5월 만주로 파견된 金知宗의 주도로 공청 만주총국이 조직되면서 만주비서부와 갈등 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두 세력의 갈등 은 양측의 협의로 곧 해결되었고 같은 해 10월 공청 만주총국의 하부기관 인 東滿道가 조직되어 활동하게 되었다. 1927년 10월 제1차 간도공산당사 건 이후 동만도 구성원들은 동만의 사회주의운동을 주도하였다. 1926년 11월 공청 만주총국 확대위원회와 1927년 1월 공청 만주단체협의 회에서는 향후 활동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들 회의에서는 공청은 당의 지도 를 받아 과업을 실현하고 공청의 대중화를 지향하며 민족협동전선을 통해 운동 세력을 통합한다는 등의 내용이 결정되었다. 동만도에서는 이러한 계 획에 따라 각종 기념일에 한반도의 완전한 독립과 항일무장투쟁 전개 등을 내용으로 하는 선전문을 배포하고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일제가 동만에서 전개하였던 관세부가세반대운동에 반대하는 “反反對運動”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아울러 동만도에서는 공청 대중화를 위해 각종 합법단체 를 결성하고 이들 단체를 통해 민족유일당 조직, 在滿同胞 박해 문제 해결, 전 세계 피압박민족과의 연대투쟁, 민족교육 실시 등을 추진하였다. 1928년 9월 일제의 동만도 탄압사건인 제2차 간도공산당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체포된 이들은 한반도로 압송되었고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의 조사를 받은 후 豫審에 넘겨졌다. 1930년 6월 예심이 종결되어 49명이 재 판에 회부되었다. 공판은 총 5차례 진행되었으며 1명을 제외하고 48명이 유죄판결을 받았다. 재판에 회부된 인물들의 이력을 살펴보면 다수가 10~20대의 교원과 학생들이었고 만주와 노령 등지에서 출생한 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1920년대 중후반 동만 사회주의운동에서 새 로운 세대가 등장했음을 의미하였다. 사건 관련 인물들은 동만도 참여 이 전에는 한반도·간도·노령에서 사회주의운동·청년운동·교육운동에 참여하 였다. 이들 중에는 재판 이후 옥중투쟁을 전개한 인물들도 있었고 출옥 후 항일무장투쟁, 조선공산당재건운동,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등에 참여하며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한 인물들도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