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산지계류 수변지역에서 산림벌채 후 토양의 물리적·수문학적 특성 변화

        최병구 ( Byoung Koo Choi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3

        본 연구는 산림유역의 일시하천과 간헐천이 상존하는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산림벌채로 인한 토양의 교란 정 도를 평가하고, 물리적·수문학적 특성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총 12개 소유역에서 4개의 처리구(BMP1, BMP2, 개벌구, 대조구)를 적용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벌채 전·후 1년 동안의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벌채 후 산정된 교란등급은 벌채강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된 토양의 물리적·수문학적 특성 변 화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용적밀도 및 공극률의 변화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전면개벌은 강도 높은 지 표교란을 야기 시켰으며, 이로 인해 조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감소, 토양강도는 증가하였고, 이는 토양의 침식의 간 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개벌구에서 강도 높은 지표 교란으로 야기된 토양의 물리적·수문학적 특성 변화는 BMP1과 BMP2에서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벌채 후 BMP2에 남겨진 벌채잔재물은 지표의 피복기능으로 서의 침식을 완화하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ddressed soil disturbances following harvesting as well as soil physical and hydrological properties within three first-order headwater catchments characterized by ephemeral-intermittent streams. Four treatments representing a range of potential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for ephemeral-intermittent streams were used; BMP1, BMP2, clearcut and reference, This study includes 1 year of pre- and post-harvest observations Results showed that post-harvest disturbances were closely related with harvesting intensity and generally tended to reflect changes in soil physical and hydrological properties following harvest with the except of bulk density and porosity. Forest clearcutting decreased macroporosity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increased soil resistence as a result of severe soil disturbances thereby increasing soil erosion. These impacts were reduced by implementing two BMP treatments during harvesting activities. The finding support the use of either BMP treatments for ephemeral-intermittent streams, however, the additional measure of leaving logging debris in BMP2 did not cover enough soil surface to reduce erosion.

      • KCI등재
      • KCI등재

        Landsat TM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변화탐지 및 파편화 분석 -강원도 고성군의 DMZ지역 일원을 대상으로-

        최병구 ( Byoung Koo Choi ),박정묵 ( Jung Mook Park ),이정수 ( Jung Soo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quantify the changes of land-cover and fragmentation pattern during 9 years from 2000 to 2009, using Landsat TM images in eastern DMZ of Gosung-gun, Gangwon province. Landcover classification map was derived from 3 types(Maximum likelihood(ML), minimum distance(MD), support vector machine(SVM))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 ML metho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curacy than the MD and SVM method, and overall accuracy(OA) and k-hat of ML method was 95% and 0.94. Occurrence of deforestation was highe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CCL) than that of southern part. Semi-forest area changed to forest and bare land. forest area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9 years period. the size of forest patches became smaller and complexity and irregularity of forest patches decreased during period.

      • KCI등재

        산지계류 수변지역에서 산림벌채 후 지하수위의 계절 변화

        최병구 ( Byoung Koo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산림유역의 최상류지역에 위치한 일시하천(ephemeral stream)과 간헐천(intermittent stream)이 상존하는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위의 계절적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3곳의 산림유역(총 12개 소유역)에서 일시하천 및 간헐천의 수변구역 보호를 위한 최적관리기법을 포함하는 4개의 처리구(BMP1, BMP2, clearcut, reference)를 적용하였다. 지하수위는 각 소유역별 25개소(총 300개소)에서 2주 간격으로 측정되었으며, 벌채 전 1년과 벌채 후 2년, 총3년 동안 관측되었다. 전체적으로 지하수위의 반응은 강우량의 영향이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산림벌채전과 비교하여, 벌채 후 2년 동안 지하수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벌채 1년 후(2008) 개벌처리구에서 28.2㎝, 벌채 2년 후(2009) BMP2에서 54.2㎝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개벌처리구와 BMP2의 지하수위 변화 특성을 비교할때, 벌채된 목재의 재적과 지하수위의 변화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벌채로 인한 지하수위의 증가는 슙윤기간 보다 건조기간 동안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계절적인 추이는 산림벌채 후 식생구조의 차이에서 야기되는 증발산양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ddressed the influence of forest harvesting on seasonal water table dynamics in small headwater riparian areas. Four treatments including potential Best Management Practices(BMPs) for ephemeral and intermittent streams were implemented(BMP1, BMP2, clearcut and reference). Water table measurements were obtained at bi-monthly intervals for 3 years including one year of pre- and two years of post-harvest observations. Overall, water table responses affected largely by rainfall amount. In addition, significant increases in water table levels following harvesting occurred throughout the two post-harvest years. Water table levels increased up to 28.2cm in the clearcut treatment during 2008 and up to 54.2cm in BMP2 during 2009. However, increase in water table eleva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basal area removal despit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basal area removed between BMP2 and clearcut treatments. Water table rises were apparent in that water table were more elevated during dry season (June through November) than during wet season (December through May). These seasonal fluctuations were presumably driven by changes in evapotranspiration caused by differences in leaf area of overstory canopy and understory following harvest.

      • KCI우수등재

        보론 - 도핑된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 특성

        강은아(Eun-A Kang),최병구(Byoung-Koo Choi),노승정(Sung-Jung Noh) 한국진공학회(ASCT) 200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9 No.2

        열-필라멘트 CVD 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박막의 증착 조건을 최적화시켰다. B₄C 고체 펠렛을 사용하여 보론-도핑된 다이아몬드 박막을 제조하여 그 질적 특성을 알아보고, 전류전압 특성과 전계 방출 측정을 통해 박막의 전계방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론 도핑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다이아몬드 결정의 평균 입자 크기가 조금씩 감소하지만 다이아몬드의 질은 소량 도핑인 경우에 크게 바뀌지 않았다. Al/Diamond/p-Si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조사한 결과 도핑된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류는 도핑되지 않은 박막의 전류에 비해 10⁴~10^5배 정도 증가하였다. 전계방출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보론-도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낮은 전기장에서 전자를 방출하며, 또한 높은 방출 전류를 나다냈다. 전자가 방출되기 시작하는 onset-field는 펠렛의 수가 2개일 때 15.5 V/㎛, 3개일 때 13.6 V/㎛, 4개일 때는 11.1 V㎛로 체계적으로 감소하였다. 도핑의 강도가 세어짐에 따라 Fowler-Nordheim 그래프의 기울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서 보론 도핑으로 인해 유효 방벽 에너지가 감소되어 전자 방출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Deposition conditions of diamond thin films were optimized using hot-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 (HFCVD). Boron-doped diamond thin films with varying boron densities were then fabricated using B4C solid pellets. Current-voltage responses and field emission currents were measured to test the characteristics of fileld emission display (FED). With the increase of boron doping, the crystal size of diamond decreased slightly, but its qualit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case of small doping. The I-V characterization was performed for Al/diamond/p-Si, and the current of doped diamond film was increased 10⁴~10^5 times as compared with that of undoped film. In the fileld emission properties, the electrons were emitted with low electric field with the increase of doping, while the emission current increased. The onset-field of electron emission was 15.5 V/㎛ for 2 pellets, 13.6 V/㎛ for 3 pellets and 11.1 V/㎛ for 4 pellets. With the incorporation of boron, the slope of Fowler-Nordheim graph was decreased, revealing that the electron emission behavior was improved with the decrease of the effective barrier energy.

      • 강원도 양구군 DMZ일원 산림훼손지의 특성

        백승안 ( Seung An Baek ),지병윤 ( Byeon Yun Ji ),최병구 ( Byoung Koo Choi ),차두송 ( Du Song Cha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강원도 양구군 DMZ일원 민북지역을 대상으로 산림훼손지 유형구분과 피해요인을 조사하여 산림복원 대책 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림훼손지 유형은 군작전도로와 폐군사시설지역의 2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산림훼손지는 총 3.71ha(184개소)로, 군작전도로의 절토사면(2.27ha, 138개소), 성토사면 (1.43ha, 44개소), 폐군사시설지 (0.01ha, 2개소)로 구분되었으며, 훼손면적은 평균 204㎡(4.3 ∼ 2420㎡)였다. 산림훼손지는 사면길이가 절토사면에서 11m 이하, 성토사면에서 11m 이상인 지역에서 발생되었으며, 절·성토 사면경사 35°이상, 계곡부 사면, 북동사면, 일반토사, 사면안정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산림훼손지가 대부분 발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forest restoration plan by investigating the type of forest damage area and factors related to forest damage within the DMZs in Yanggu-gun Gangwon. Forest damage was divided into two types (army road and abandoned military) facilities. Total forest damage area were 3.71ha(184 sites), of which were occurred at cut slope (2.27ha, 138sites), fill slope (1.43ha, 44sites), abandoned military (0.01ha, 2sites). Average area of forest damage was 2,547m2(4.3m2 ∼ 2,420m2). Forest damage was occurred at <11m of slope length in cut slope while it was occurred at > 11m of slope length in fill slope. Most forest damage was occurred at average slope gradient over 35°, valley-slopes, northeast-facing slopes, general soil, areas without slope stabilization measures.

      • KCI등재

        ◇ 3분과 : 임업기능인 임금조사를 통한 직종별 기준임금 산정에 관한 연구

        한상균 ( Sang Kyun Han ),한한섭 ( Han Sup Han ),우희성 ( Hee Sung Woo ),최병구 ( Byoung Koo Choi ),조민재 ( Min Jae Cho ),차두송 ( Du Song Cha ) 한국임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4

        산림작업은 험준한 산악지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임업노동자에게 높은 위험수준을 부담하는 노동형태를 띠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노동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 품셈을 바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임금체계의 적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작업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임업기능인의 노동생산성도 점차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사유림 임업기능인 영림단을 대상으로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과 합리적인 임금체계 수립을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임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직종별 적정 임금체계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19문항으로, 총 659명에게 우편을 통하여 실시하였고, 이 중28.5%의 회신율을 보였다. 조사된 영림단의 평균 적정임금은 지역별로 다소차이를 보였으나, 보통인부가 97,680원/일, 특별인부 127,559원/일, 벌목부는 152,403원/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협회의 노임단가와 비교했을 때, 적정한 수준이라 판단된다. 또한 현재 분류되고 있는 3개 직종(보통인부, 특별인부, 벌목부)구분 보다는 좀 더 산림작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5개 직종(산림환경작업부, 초급산림작업인, 중급산림작업인, 고급산림작업인, 산림장비운전사)으로 구분한다면 임업기능인을 위한 현실적이고 안정된 임금체계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orking in the forest would require a wide range of skills and experience for specific tasks which involve with a high level of risks to worker’s safety. However, there has been a concern on the current standard wage system for forest workers because it does not effect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working conditions in the forest. In addition, the current standard wages for forestry workers was estimated based on the construction industry``s wage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 current wage system through the mail survey method and to develop a new wage system for forest worker which effectively reflects skill sets and experience required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work in the forest. We mail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9 questions to 659 forest workers and received 188 responses resulting in a 28.5% response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average optimal wages of forest worker, special worker and feller were 97,680won/day, 127,559won/day and 152,403won/day, respectively though there wer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regions. In developing the new standard wage system, this study suggest the current work types(worker, special worker and feller) could be divided into 5 work types (forest-environment workers, forest operations in beginner, forest operations in intermediate, forest operations in advanced and forest equipment operator) reflecting specialty of forest operation thereby stabilizing the new wage system for forest workers.

      • A_2 BO_4-형 결정에서의 pretransition 현상

        최병구 단국대학교 1998 論文集 Vol.33 No.-

        The ionic conductivity and dielectric constant measurements on single crystals of K2SO4, K2CrO4 and Na2SO4 have been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transition phenomenon just before the onset of high­temperature phase transition. Comparing K2SO4 (T_c=587℃), K2CrO4 (T_c=669℃) and Na2SO4 (T_c=240℃). the slope of conductivity curve deviates the Arrhenius law from 540, 620 and 430℃, respectively. It is attributed to the existence of a pretransitional region which may be a consequence of the onset of significant reorientational motions of sulfate or chromate tetrahedrons below its phase transition. The rotational disorder of tetrahedral ions enhances the ionic conductivity and has a role of precusor trigging the phase transition. The dielectric constant data show that K_2SO_4 and K_2CrO_4 crystals do not exhibit intermediate phase or dipole glass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