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뢰는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가?

        최민식,곽새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3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nd to what extent trust among members of community as an essential factor of social capital contributes to overcome a social dilemma such as “the tragedy of the commons”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the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community. In so doing, we also tr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n promoting the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community. We ran an economic experiment called the tragedy of the commons with 450 female student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o measure the degree of cooperation. We also collected the data on various measures of trust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ocial studies by surveying the same 45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general trust level among community members indeed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the degree of cooperation among members a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We also find that cooperation occurs more frequently among those wh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ragedy of the commons clearly than those who do not. Regarding the effec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n promoting cooper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we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student's scores on social studies tests and her level of responsibility and tolerance, which in turn affect her general level of trust toward the other members of her groups. ‘공유지의 비극’과 같은 사회적 딜레마 현상이 이론적 예측과는 다르게 개인의 상호적인 (reciprocal) 행동이나 협력에 기반하여 공동체 자율적으로 해결되는 사례는 많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공동체 구성원간의 신뢰가 이러한 개인의 상호적인(reciprocal) 행동 또는 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제실험을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개인의 상호적인 행동 혹은 협력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경제실험 모형을 바탕으로 피실험 대 상인 고등학생에 맞게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와 협력 정도가 사회과 학업성취도나 사회 적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신뢰가 사회적 딜 레마 상황에서의 협력정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사 회교과 학업성취도가 신뢰 및 책임감과 관용성지수 같은 사회적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유의 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시대의 정체성의 위기와 象의 문제 - 몸적 자기(the bodily self)의 관점에서 -

        최민식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69 No.2

        현대인들의 정체성을 논함에 있어서 ‘자기’에 대해 왜곡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향들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첫째는 ‘자기’에로의 도피이며, 둘째는 ‘자기’로부터 도피이다. ‘자기’에로의 도피는 내적 자기로의 편향성(신비주의적 심리주의)과 외양적 자기로의 편향성(성형, 다이어트 등 몸적 속성을 자기와 동일시)을 짚어 보고, ‘자기’로부터의 도피는 마조히즘, 중독, 신경증 증상, 사이버 공간의 다중자아의 문제들로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제반 현상들은 어느 시대에나 있을 수 있는 것들이지만, 일부 현상들은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발달 -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요구하는 주체 해체와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상의 관점에서 현대인들의 정체성을 위기로 이끄는 국면들을 분석해 보았다. 오늘날 자본주의 문화는 이러한 상을 이용하여 현대인들의 몸과 욕망을 통제한다. 왜곡된 문화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는 상을 넘어서서 몸과 정신이 통합된 <몸적 자기>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I try to classify tendencies with two kinds which is distorted when modern’s identity is discussed. The first is the escaping toward the self and the second is the escaping from the self. The former is a propensity toward the inner self(mystical psychologism) and a propensity toward outward appearance self(a plastic operation, diet etc.) and the latter is on mazochism, toxication, neurosis symptoms and the problems of the multi-egos of cyber space. Although such various actual conditions is the thing which in any era can happen, some phenomenon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ubject which postmodernism request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especially the advancement of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I analyse the situations which in the view of image draw crisis on the identity of moderns. Today’s capitalism culture control the bodies and desires of moderns using the image.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bodily self> which is integrated into one mind-body beyond the image in order not to be controlled by today’s distorted culture.

      • KCI등재

        국내 발달장애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연구동향 및 중재요소 고찰: 2000년~2021년 연구를 중심으로

        최민식,이정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5 No.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towards family empowerment intervention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studies regard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aim at strengthen the family empower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1 was col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of 20 papers were analyzed for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participant characteristics, dependent variables, and intervention program elem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rting from 2010, studies on family 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s were growing. Second, most of the experimental studies used the pre-post experimental control group design. Third, the age groups for the family 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early childhood to transition age, and most of them only included parents or mothers. Fourth, the family empowerment scale was the most frequent dependent variable and the majority of the intervention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parental education. Implications for service, policy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family empowerment program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된 발달장애 가족의 역량강화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중재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발달장애학생 가족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중재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연구를 수집하였다. 선정 및 배제 준거에 따라 선정된 총 2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출판연도,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 특성, 종속변인, 중재 프로그램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을 기점으로 가족역량강화 중재 프로그램의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부분 연구에서 실험연구 중 사전-사후 실험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셋째, 가족역량강화 중재 프로그램의 장애인 대상 연령대는 영유아기에서 전환기에 이르기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대부분이 부모만 참여하는 형태를 보였다. 넷째, 종속변인의 경우 가족역량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독립변인의 경우 부모교육 형태로 진행된 것이 다수였다. 다섯째, 가족역량강화 중재 프로그램은 연령대에 따라 다른 중재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이를 토대로 가족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에 있어 서비스 구축, 정책 개발 및 추후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가짜 정보 대응과 법제 개선 방안 연구

        최민식 대한교육법학회 2018 敎育 法學 硏究 Vol.30 No.3

        In Korea, regulations that impose legal responsibility on online service provider(OSP)’s for distributing fake information are being proposed as a measure to control the posting policy of Internet portal sites and the flood of fake information, such as manipulating comments using macro-programs. If a fake information is illegal or dangerous, judicial authorities and other agencies should make judgment and take legal action. Excessive regulations on information can infringe upo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fake information by imposing proactive responsibilities such as judgment and monitoring of fake information by OSP, which are intermediaries of information distribution.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ecosystem, information generation is organiz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o if one is suppressed, reverse discrimination occurs between online service providers at home and abroad. Regulations on fake information need to be taken a cautious approach as they will not only put a burden on domestic online service providers, but also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For profound chang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improve media(information) literacy by learning the right information from adults, and to respond and evolve with lifelong learning. To respond to false information and improve media understanding as a democratic citizen, media(information) training for adults should be accompanied by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legislation is needed to prepare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providing education for media(information) literacy, special agencies, administrative systems, and others. 우리나라에서는 ‘드루킹 사건’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댓글 조작 등 인터넷포털의 댓글 정책과 가짜 정보 범람에 대한 규제방안으로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 Online Service Provider)에게 가짜 정보 유통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우는 법안들이 발의되고 있다. 가짜 정보가 위법하거나 위험한 내용이라면 사법기관 등에서 판단하고 법률로 조치해야한다. 정보에 대한 과도한 규제는 언론자유를 침해할 수 있고 정보유통 매개자인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가짜 정보 판단, 모니터링 등 사전적인 책임 부과로는 가짜 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국가, 언론기관,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참여하는 자율규제기구 형태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팩트 체크(fact check) 결과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근본적인 방안으로 정보이용자가 가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학교교육은 물론 평생교육 강화를 위해 관련 법제를 개선하여야 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와 고용주의 취업준비 및 고용유지에 관한 인식 비교

        최민식,신현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4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review the perspectives of employer and parents in regard to the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reer retention, employment preparation, and systemic national supports and to suggest a plan that develop a desirable employment competenc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ith three general business employers with years of employmen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periencing changes of perception, two directors of sheltered workshop, and six parents of transition-age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focus on the study purpose, researchers provide a pre-interview document including a research description, a consent form,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Further, a special education professor and three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data analysis to validate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nd the interview data. Researchers found a total of six main themes, 20 categories, and 30 sub-categories. From the analysis, employers and parents perceived the following themes: (1)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e., employment definition, employment characteristic, employment reason, employment recognition); (2) Rewards and difficulties; (3) Power of career retention (i.e., employer’s willingness to hire, occupational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ployee-centered support, cooperation); (4) Career retention risk factors (i.e., individual, business, family); (5) Employment preparation (i.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repare for employment, a common preparation among family and school); and (6) National level supports (i.e., national responsibilities for career, financial·facility·human resources support, employment polic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related to the six main themes will be used as a based data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e employment polic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arent support, and career readines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발달장애인의 직업, 취업준비, 고용유지, 국가지원 등에 관한 내용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직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내용을 정리하고,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년간 발달장애인 고용과 인식전환 경험을 가진 일반사업체 고용주 3명, 장애인보호작업장 원장 2명, 그리고 고등·전공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현상학 연구의 이론적 관점에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주제에 집중하기 위해 연구 설명문, 참여 동의서 및 면담 기초정보조사지와 같은 사전 면담 요청 문서를 제공하였고 반구조화 된 면담 질문 및 면담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특수교육학과 교수 1인, 직업특수교사 3명이 자료 분석에 참여하였으며, 6개 영역의 주제어, 20개의 범주, 4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부모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각 주제와 범주는 1)발달장애인의 직업(직업의미, 직업특성, 고용이유, 고용인식) 2)보람과 고충 3)고용유지의 힘(고용주의 고용의지, 발달장애 근로인의 직업능력, 근로자중심의 지원, 협력) 4)고용유지 위험요인(개인, 사업체, 가족) 5)취업준비(발달장애 취업준비생, 가족·학교·공통의 준비) 6)국가차원의 지원(진로에 대한 국가적 책임, 재정·시설·인력 지원, 발달장애인 고용정책)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6가지 주제와 관련한 연구결과는 발달장애인 고용 정책, 특수교육과정, 학부모 지원, 그리고 발달장애 학생 본인의 직업준비를 위한 기반자료와 후속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교 전공과 교원학습공동체 참여실행연구를 통한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의 인식과 경험

        최민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로 구성된 교원학습공동체의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고 특수교육 현장에 실천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참여를 강조하는 참여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 6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문제의 진단과 주제의 범위설정 이후 나선형의 자기반성적 실행절차(계획→실행→관찰→반성)에 따라 총 2사이클이 진행되었다. 참여실행연구의 전 과정에서 일지, 관찰, 면담, 문서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징적상호작용론의 관점과 지속적 비교 방법에 기반한 분류분석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과 전문교과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한 다차원적인 어려움과 교사와 학생 측면의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원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전공과 전문교과 교육과정 구성의 중요 내용 요소를 발견하고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고취하였으며, 활동 과정에서 함께 성장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교원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제시된 전문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 방안은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목표의 점검과 전공과 담당 교사의 역량강화이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로 구성하여 활동한 교원학습공동체는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의 현안과 현상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특수교사로서의정체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실천적 사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rticipatory practic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nsisting of teachers majoring in special school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pecialized curriculum and to present practice case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participatory practice research method that emphasizes practical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as used, and six teachers majoring in special schools participated. After diagnosing the problem and setting the scope of the subject, a total of two cycl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piral self-reflection execution procedure (planning→execution→observation→reflection). Diary, observation, interview, and document data were collected in the entire process of participatory execution research,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ymbolic interaction theory and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dimension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major 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discovered important content elem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major and professional curriculum, encouraged teachers' self-efficacy, and experienced growing together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Third, the plan to revitalize the operation of the professional curriculum present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to check the operation goals of the major curriculum and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the teacher in charge.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ich consisted of teachers majoring in special schools, not only helps solve the issues and phenomena of major and curriculum operation, but also serves as a practical example to strengthen identity and expertise as special teachers.

      • KCI등재

        고등 및 전공과 중도장애 학부모의 학교기반 진로·직업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최민식,김원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career and vocation self-help group meetings for parents who have high school and colleg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and needs.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hich allow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March to July in 2018, two focus groups were compos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out of 14 parents who voluntarily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self-help groups at S Special-Education School to prepare for adulthood transition of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objective analysis, the research team and the supervisor team participated in the data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9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emes and categories are 1) Adult transition period that is recognized as a problem—Aggravation of parenting, Challenges of transition, Poor environment for adult transition, 2) Process and results of the parent self-help groups—Motive for participation, Difficulty of participation, Meaning of self-help group: Empowerment, Change in parent’s attitude, and 3) Tasks for self-help group hereafter and implications—Need for school-based career and vocational parental self-help groups, Clear purpose of the meeting and operation method.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ckground data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needs that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in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o develop specific action plans for parental self-help groups in further studies.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 및 전공과 진로·직업 자조모임에 참석한 중도장애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자조모임의 실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기초로 자조모임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이에 대한 해석 및 요구를 단기간에 심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2018년 3~7월까지 ○○지역 소재 S 특수학교에서 중도장애 자녀들의 성인전환기 준비를 위해 학부모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운영한 자조모임 참석자 총 14명 중 6명을 대상으로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분석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그 결과 ‘주제 1) 문제로 인식되는 성인전환기-가중되는 양육의 무게, 열악한 성인전환기 환경, 전환의 과제’, ‘주제 2) 학부모 자조모임의 과정과 결과-참여 동기, 참여의 어려움, 자조모임의 의미: 임파워먼트, 학부모의 태도변화’, ‘주제 3) 향후 자조모임 과제와 시사점-학교기반 진로·직업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성, 명확한 모임목적과 운영방식’이라는 3개의 주제와 9개의 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전환기 어려움과 지원에 관한 사항들을 이해하고 학교를 기반으로 한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와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관한 기반자료 및 후속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