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급성호흡부전 환아에게 이중관 캐뉼라로 시행한 정맥간 체외막형산화장치

        최민석,양지혁,전태국,이영탁,안강모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2

        The number of case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has rapidly increased all over Korea since the introduction of peripheral cannulation catheters. However, the application of ECMO to children has been limited due to the shortage of pediatric equipment and difficulty in maintaining an ECMO system with peripheral cannulation.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only few reports of pediatric ECMO in Korea, and most of them pertained to the veno-arterial type ECMO for supporting the cardiac system in postcardiotomy patients. We report here on the successfully performing veno-venous ECMO, with using a double lumen percutaneous catheter, in a child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말초혈관 삽관을 통한 체외막형산화장치가 도입된 후, 국내에서도 체외막형산화장치의 적용 사례가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아에서는 아직까지 그 사용이 제한적인데, 그 이유는 소아에 적합한장비가 공급되지 않고, 소아의 특성 상 말초혈관을 통한 삽관으로 충분히 보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발표된 소아의 체외막형산화장치 적용 사례는 주로 심장수술 후 보조 목적으로,정맥-동맥 간에 사용된 것이었다. 최근 저자들은 호흡부전증후군 소아를 대상으로 하나의 이중관 캐뉼라를 경피적으로 내경정맥에 삽관하여 성공적으로 정맥간 체외막형산화장치를 시행하였기에 이를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3D Scanning Technique for Obtaining Road Surface and Its Applications

        최민석,김민혁,김관영,김세라,박상철,이수진 한국정밀공학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8 No.3

        A military vehicle is tested on the standard road surface, which is constructed to be similar to a cross country road surface, in order to evaluate its dynamic performance. The road profile can be changed slowly and continuously by erosion and vehicle movements so that the change might be a large effect on the vehicle performance te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and reshape the road surface regularly for the accuracy of the vehicle tests. In this work, the road surface has been obtained by a high-resolution 3D scanner and has been used for extracting road profiles along a direction of travel. Based on the road profile, PSD (Power Spectral Density) has been calcula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road surface. Here, the comparison of two road profiles with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showed that PSD can be a useful tool indicating the quality of roads. In addition, the generated road surface has been applied to MBD (Multi-Body Dynamics) simulations for obtaining a vehicle’s performance numerically.

      • KCI등재후보

        만주문자 인식을 위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최민석,이충호,Choi, Minseok,Lee, Choong-Ho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4 No.2

        만주문자로 기록된 문헌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본 논문은 만주문자의 인식을 위한 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만주문자의 전처리 단계는 세선화와 문자단위 분리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세선화 방법인 Hilditch 세선화 알고리듬을 개선하여 만주문자의 세선화 오류를 보완하고 각 문자단위를 좌우측으로 분류하지 않고 문자의 삐침이 존재하는 위치점 사이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내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실험을 통하여 만주문자로 이루어진 단어의 세선화와 문자단위 분류에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다. Research for Manchu character digitalization is at an early stage. This paper proposes a preprocessing algorithm for Manchu character recognition. This algorithm improves the existing Hilditch thinning algorithm so that it corrects thinning error for Manchu characters. The existing algorithm separates the characters into the left-hand side and right-hand side, while our alogorithm uses the central point between the points that strokes exist when it classifies each of characters. The experimentation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is valid for thinning and classification of Manchu characters.

      • KCI등재후보

        우유중 토륨 동위원소의 방사능농도 분포

        최민석,임수경,김완,강희동,김도성,도시홍,노병환,김창규 한국물리학회 2003 새물리 Vol.47 No.6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the naturally occurring radionuclides $^{228}$Th, $^{230}$Th, and $^{232}$Th in Korean milk were measured. The annual internal dose due to Korean milk was estimated from the annual intake of milk and the concentration of thorium. Twenty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en regions in Korea from 1998 to 1999.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228}$Th, $^{230}$Th, $^{232}$Th in the milk were 3.69, 0.73, and 0.33 mBq/kg-fresh, respectively. The level of thorium concentration in the milk was close to that of other countries. The average annual internal doses due to $^{228}$Th, $^{230}$Th, and $^{232}$Th were 0.007, 0.004 and 0.002 $\mu$Sv/yr, respectively, which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because of the low intake of milk by the Korean people. 국내산 우유중 자연방사성핵종인 토륨의 방사능농도 분포를 조사하고, 우유 섭취로 인하여 $^{228}$Th, $^{230}$Th, $^{232}$Th로부터 우리나라 국민들이 받게 되는 내부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1998년 $\sim$ 1999년에 전국 각지에서 20개의 우유시료를 채취하여 음이온교환법으로 토륨을 추출하였다. 우유시료중 $^{228}$Th, $^{230}$Th, $^{232}$Th의 평균 방사능농도는 각각 3.69, 0.73, 0.33 mBq/kg-fresh였으며, 외국에서의 측정결과와 비슷한 준위였다. 우유섭취로부터 $^{228}$Th, $^{230}$Th, $^{232}$Th에 의해 우리나라 국민들이 받게 되는 평균 내부피폭선량은 각각 0.007, 0.004, 0.002 $\mu$Sv/yr였으며, 외국에서의 측정결과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우유섭취량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장구간 예측 필터를 이용한 음성 신호에서의 돌발 잡음 제거

        최민석,강홍구,Choi, Min-Seok,Kang, Hong-Goo 한국음향학회 2012 韓國音響學會誌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음성 신호에 더해진 돌발 잡음을 제거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돌발 잡음 제거 시스템은 중앙값 필터를 이용하여 돌발 잡음을 제거한다. 중앙값 필터는 잡음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음성을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성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장구간 예측 필터를 전처리단으로 사용한다. 장구간 예측 필터로 보존된 음성 정보는 잡음이 제거된 후 다시 합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돌발 잡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음성의 정보를 보존하는데 있어 단구간 예측 필터의 문제점을 밝히고 장구간 예측 필터의 우수함을 보인다. 제안한 돌발 잡음 제거 시스템의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에 비해 음성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신호 대 잡음비가 약 8dB 향상 되었으며, PESQ 점수가 약 1점 증가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transient noise reduction system in a speech signal. The proposed transient noise reduction system utilizes a median filter to reduce the transient noise. Since the median filter can distort speech during the noise reduction, a long-term prediction (LTP) filter is adopted as a pre-processor to minimize speech distortion. The speech information preserved by the LTP filter is re-synthesized after reducing the noise. This paper verifies the weakness of a linear prediction (LP) filter and the superiority of the LTP filter for preserving the speech component in transient noise presence environment. Applying the proposed system, the signal-to-noise ratio (SNR) of output is improved by 8dB in both speech and noise presence region, and PESQ score is increased by 1 point comparing with noisy input.

      • KCI등재

        수변공원의 은신 공간 형성계획에 관한 연구

        최민석,김지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The waterfront park is an open space for those who want to relax and enjoy leisure time in a natural environment that boasts both water and forests. Visitors prefer a private space that allows them to have their own stable, personal area. The psychology of people’s spatial preferences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prospect––refuse theory, which is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theory. In other words, the preferred spatial structure can be seen as a refuse spatial structure, perceived as an unconscious response from human evolutionary psychological mechani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preferred spatial structure in waterfront parks as a refuse spatial structure in order to extract the physical structures and factors that create a comfortable, stable refuse spatial for visitors and present specific planning methods accordingly. (Method)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theoretical consideration via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The waterfront park was examined based on the prospect––refuse theory, and the factors that make it a refuse spatial were extracted accordingly. Second, detailed plans were drawn, incorporating physical, visual, and social aspects toward recognizing the extracted factors in the context of a refuse spatial in a waterfront park. Third,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a waterfront park in Vancouver, Canada was selected a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is study’s researchers’ finding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structure that visitors prefer and the refuse spatial structure was analyzed to verify the planning method. In sum, we revealed differences in waterfront park plan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visitors’ preferred space structure. (Results) In order to provide visitors with a stable waterfront park experience, the parks should be planned as refuse spatial structures in the spaces where movement and staying occur. A refuse spatial in a waterfront park should be accompanied by an open-view environment, consisting of a visual composition that can give users the privacy they desire while enhancing the area of the space. (Conclusions) We learned that creating a refuse spatial will give users personal privacy and a secure sense of personal territory, even in public spaces that are designated for large-scale public utility; this is a major factor in creating a stable pattern of use and user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fuse spatial at the waterfront park does not encourage a disconnect among individual visitors; rather, it offers time in which visitors can observe unfamiliar objects, make safety assessments, and plan their next steps. When creating a refuse spatial in a waterfront park, only the physical, visual, and social aspects should be give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수변공원은 물과 수림이 어우러진 자연환경에서 편안한 안식과 여가를 즐기고자 하는 이들에게 열려 있는 공간이 된다. 수변공원 이용자들은 자신들만의 안정감 있는 공간 영위가 가능하도록 프라이버시가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을 선호한다. 사람들의 공간 선호에 대한 심리는 진화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조망-은신 이론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즉, 선호되는 공간구조는 인간의 진화론적 심리 기제에 의해 무의식적인 반응으로 지각되는 은신 공간구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변공원에서 선호되는 공간구조가 은신 공간으로 지각되는 구조로 간주하여, 은신 공간을 형성하는 물리적 구조와 이를 형성시키는 요인을 추출하고 구체적인 계획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고찰 단계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로 진행한다. 수변공원에 대한 고찰과 은신 공간이 되는 요인을 조망과 은신처 이론을 바탕으로 추출한다. 둘째, 추출된 요인을 수변공원에 은신 공간으로 인식되기 위한 물리적, 시각적, 사회적 측면으로 세부 계획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세부 계획을 분석의 틀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사례대상지인 캐나다 벤쿠버 시에 조성된 수변공원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현장을 답사하여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선호되는 공간구조와 은신 공간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계획방법을 검증한다. 이를 종합하여, 주변 환경에 따른 수변공원 계획방법의 차이와 이용자들에게 선호되는 공간구조를 밝힌다. (결과) 이용자에게 안정감 있는 수변공원에서의 경험을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이동과 머무름의 행태가 발생되는 공간에 은신 공간 구조로 계획되어야 한다. 수변공원에서 은신 공간은 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공간에 영역성을 높일 수 있는 시각적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개방감 있는 조망환경이 수반되어야 한다. (결론) 공공의 이용성을 갖은 공공공간이라도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영역을 확보해는 주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이용자에게 안정감과 이용의 만족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수변공원에서 은신 공간은 이용자들 간에 단절이 아닌 이용자에게 낯선 대상을 관찰하고 안전 여부를 판단하여 그다음의 행동을 이어갈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수변공원에 은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측면, 시각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