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죤 애쉬베리의 일관성 패러디

        최문수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7 영어영문학연구 Vol.49 No.1

         Abstract John Ashbery’s Parody of Coherency Choi, Moonsoo (Yonsei University) John Ashbery brings about a wide variety of critical responses including ones contrary to each other. This is due to the difficulty of his works, which arises from his characteristic doubleness: his poetry mostly consists of normal sentences and familiar expressions while involved in uncertainty. His readers are induced to expect a coherent meaning, but this expectation is only to be frustrated. This doubleness is designed for his critique of the habitual way of experience looking for consistency and closure in spite of its irreducibility to a coherent interpretative frame. That is to say, Ashbery’s poetry parodies the habit of experience by imitating the style of the coherent discourse and at the same time mocking it with his actually incoherent discourse. This parody of coherency relies on his elaborated operation of discourse, which leads to uncertainty. He uses certain devices of disjuctiveness for creating uncertainty that can be described as “self-erasure” or “extravagance of connection that leads one nowhere.” As “‘They only dream of America’” and “Decoy” show, his poems make the reader have the impression of a coherent discourse with familiar expressions often typical to specific story genres or excerpted from well-known documents, etc. But the reader’s supposition of a consistent topic or theme cannot be confirmed because of the uncertainty resulted from the disjuctiveness intertwined with those familiar expressions. Ashbery’s poetry puts our way of experiencing discourse into question by foregrounding the convention of discourse itself through his strategy of parody. 우리는 여행일정 짜기를 좋아하고우리의 점증하는 기억들은, 수선화의 잔털처럼 민첩하여, 하나의 구실에서 다음 구실로 날아 다닌다사건들에서 새로운 기억의 근원을 찾으면서, 왜냐하면 기억은 이익이니까그것이 모든 그 누적을 삼각주처럼 평면위에 펼쳐 버리는 날 까지는그날엔 기억으로부터 아무 이익도 나올 수 없고, 이례적인 것들이 서로를 상쇄해 버리니까.그러나 그때까지는 단축된 기억들이 우리를 계속 활기 있게 하나에서 그 다음으로 움직이도록 할 것이다.To sum up: We are fond of plotting itinerariesAnd our pyramiding memories, alert as dandelion fuzz, dart from one pretext to the nextSeeking in occasions new sources of memories, for memory is profit Until the day it spreads out all its accumulation, delta-like, on the plainFor that day no good can come of remembering, and the anomalies cancel each other out.But until then foreshortened memories will keep us going, alive, one to the other.(Collected Poems 101)

      • KCI등재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의 자기지시성

        최문수 문학과영상학회 2019 문학과영상 Vol.20 No.1

        Godard’s early films are known as being much influenced by Brecht’s Epic Theatre, whose ‘estrangement effect’ aims at distancing the audience from the theater by means of unconventional devices. In this vein, Silvio Gaggi ascribes the self-referentiality of Godard’s Breathless to the Brechtian mode, which employs devices designed to foreground style and remind the audience that what it is experiencing is artifice. On the contrary, Allen Thiher takes Godard’s early works, including Breathless, as the pop mode—corresponding to Gaggi’s Pirandellian mode—which self-consciously creates works that are essentially ironic works about other works. The self-referentiality of Breathless however can be exactly explained in terms of neither of the two modes. For in Breathless Brechtian devices serve to present a world where fiction is mixed with reality, rather than to foreground style and hence differentiate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the parody working in Breathless is not that of other works or genres, that is, of fiction but that of reality in which Godard believes the mass media causes individuals to accept stereotyped fictions uncritically. The film is self-referential in that being a form of the mass media in itself, it parodies the role of the mass media and raises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films.

      • KCI등재

        채권양도인이 채권양도의 대항요건 미충족 상태에서 채무자로부터 채권을 추심하여 수령한 금전을 임의로 사용한 경우 횡령죄의 성립 여부

        최문수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1

        The gist of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rime of embezzlement, which are that: (1) the embezzled property must be in possession of another person; and (2) the embezzler must be in the position of the custodian of the property,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fulfilled in a case where the assignor of a claim collected the claim from the obligor, received money, and arbitrarily disposed of the money received before giving a notice of assignment. Previously,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97Do666 Decided April 15, 1999 (hereinafter “precedent”) determined that in a case such as the above, the crime of embezzlement is established, by viewing that: (1) the money received by the assignor of a claim belongs to the possession of the assignee of a claim; and (2) the assignor of a claim is in the position of a person who administers the preservation of a claim for the assignee of a claim, thereby constituting a custodian for the assignee. However, subsequent to the pronouncement of the precedent, the Supreme Court delivered a number of decisions concerning double disposition of movable property, such as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08Do10479 Decided January 20, 2011, in which it rejected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of breach of trust with regard to the acts assessed as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in an ordinary contractual relationship like a contract of rights transfer and a security agreement.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tance of the precedent concerning the crime of embezzlement could be maintained as it is, in light of the orientat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mainly established in cases concerning a criminal breach of trust, has been at dispute, and this became a direct point of contention in the subject decision dealing with the same matter as in the precedent. There are three possible views on the abovementioned gist of the case: (1) the view affirm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embezzlement, as an extension of the precedent (first theory); (2) the view deny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embezzlement, as a reversal of the precedent (second theory); and (3) the view advocating for the adherence to the precedent, with an exception to the case where the assignor of a claim has a justifiable ground for defence, in which case the precedent does not apply and the crime of embezzlement is not established (third theory). The first theory is based on the reasoning as follows: (a) the money that the assignor of a claim collected and received from the obligor is an outcome of the exercise of a money claim, the ownership of which must naturally be reverted to the assignee, among the parties involved in the assignment of a claim, and therefore, the requirement that the property in question must be in possession of another person is satisfied; and (b) since the assignor of a claim is in the position of taking care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another person’s property that was already reverted to the assignee, the entrustment relationship based on trust and confidence can be recognized between the assignor and assignee of a claim, which serves as the basis for the assignor’s position as a custodian. In the meantime, the second theory argues as follows: (a) the reversion of the ownership of a claim and the reversion of the ownership of the money received by collection of a claim are a separate issue, and since there are no grounds for viewing that the ownership of the money received by the assignor of a claim is reverted to the assignee of a claim, the requirement that the property in question should be in possession of another person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fulfilled; and (b) in a regular contractual relationship, such as the agreement to transfer a right, where the customary an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es concerned are not related to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property of the con... 대상판결의 쟁점은 채권양도인이 채권양도 통지를 하기 전에 채무자로부터 채권을 추심하여 금전을 수령하고 임의로 소비한 경우 횡령죄의 구성요건으로서 재물의 타인성과 보관자 지위를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종전 대법원 1999. 4. 15. 선고 97도666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종전 판례’라 한다)은 이때 채권양도인이 수령한 금전은 채권양수인의 소유에 속하고, 채권양도인이 채권양수인을 위하여 채권보전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지위에 있다고 보아 보관자 지위를 인정하여 횡령죄의 성립을 긍정하였다. 그러나 종전 판례 이후 대법원은 동산 이중양도에 관한 대법원 2011. 1. 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 판결 등 다양한 이중처분 사안에서 권리이전계약·담보계약과 같은 통상적인 계약관계의 채무불이행으로 평가되는 행위에 대하여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는 여러 건의 판결들을 선고하였다. 주로 배임죄에서 확립된 위와 같은 대법원 판례의 방향성에 비추어 횡령죄에 관한 종전 판례의 입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지가 문제 되었고, 종전 판례와 사안이 동일한 대상판결에서 직접적인 쟁점이 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종전 판례를 유지하여 횡령죄 성립을 긍정하는 견해(제1설), 종전 판례를 변경하여 횡령죄 성립을 부정하는 견해(제2설), 종전 판례를 유지하되 채권양도인에게 정당한 항변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종전 판례가 적용되지 아니하고 이때는 횡령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는 견해(제3설)를 상정할 수 있다. 제1설은 채권양도인이 채무자로부터 추심하여 수령한 금전은 금전채권 행사의 결과물로서 채권양도의 당사자 사이에서 당연히 양수인에게 귀속되어야 하므로 재물의 타인성을 인정할 수 있고, 채권양도인이 이미 양수인에게 귀속된 타인의 재산에 관하여 관리 내지 보호를 대행하는 지위에 있으므로 보관자 지위의 전제가 되는 위탁신임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는 점을 주된 논거로 한다. 제2설은 채권의 귀속과 이를 추심하여 수령한 금전의 소유권 귀속은 별개의 문제인데 채권양도인이 수령한 금전의 소유권이 채권양수인에게 귀속된다고 볼 근거가 없어 재물의 타인성을 인정할 수 없고, 권리이전계약과 같이 당사자 관계의 전형적·본질적 내용이 신임관계에 기초하여 계약 상대방의 재산을 보호·관리하는 데 있지 않은 통상의 계약관계에 있어서 횡령죄의 위탁신임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주된 논거로 한다. 제3설은 채권양도인이 양도의 대가를 확정적으로 지급받았는지 여부 등 개별적 법률관계에 따라서 완전한 권리를 이전하지 못한 채권양도인에게 정당한 항변사유가 인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행위의 배신성과 양수인의 재산권 침해 정도에 분명한 차이가 있으므로, 횡령죄의 성립에 있어서도 달리 취급되어야 한다는 취지이다. 대상판결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제2설을 다수의견으로 채택하고, 종전 판례를 변경하였다. 매매 등 권리이전계약이나 담보계약과 같이 타인의 재산 보호·관리가 본질적 의무라고 보기 어려운 계약에 관한 민사적 채무불이행으로 평가할 수 있는 행위를 형사처벌 대상으로 포섭하는 것을 배제해온 지난 10여 년간 대법원 판례의 방향성과 종전 판례를 유지할 경우 본질적으로 동일한 채무불이행 행위에 대하여 횡령죄와 배임죄의 성립을 달리 인정하게 되는 불합리를 중요하게 고려한 결과이다. 대상판결은 채권양도 ...

      • 코스닥 시장 신규등록기업(IPO)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미래이익 예측행태와 부실분석에 관한 연구

        최문수,김웅겸 한국재무학회 200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05

        본 연구는 신규공개기업에 대한 주관회사의 미래이익 예측행태와 이에 따른 장기성과와 관련된 실증분석이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일반 재무분석가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신규공개기업의 경우에도 주관회사의 재무분석가들의 미래이익 예측치는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1 차년도 이익에 대한 예측오차와 2 차년도 이익에 대한 예측오차는 상향 편의적으로 예측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측오차의 정도는 신규공개기업이 아닌 일반기업의 예측오차를 분석한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해 결코 작은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규공개기업의 1 차년도 보다는 2 차년도의 이익을 더 낙관적으로 예측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추정연도의 과대예측오차 차이는 2 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예측행태는 과대예측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용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즉 신규공개기업을 과대포장하려는 경우, 주관회사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고려할 때 1 차 추정년도보다는 2 차 추정년도에 대한 미래이익을 과대하게 추정하는 것이 주관회사에게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장기성과에 대한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신규공개기업은 장기적으로 유의한 저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장기 저성과는 예측오차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예측된 이익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이 장기성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주관회사는 신규공개기업이 미래이익을 너무 낙관적으로 예측하는 경향이 있어 왔으며 이는 신규공개기업의 측면에서는 주가를 장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주관회사의 측면에서는 직․ 간접적인 비용을 부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코스닥시장의 효율성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 KCI등재후보

        영업이익과 조정영업이익의 기업가치 관련성

        최문수,정재원 한국전산회계학회 2018 電算會計硏究 Vol.16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lue relevance of the operating profit disclosed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and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disclosed in the note and th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profit and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income of each sample and the adjusted operating income of the sample using the consolidated financial information and the separat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sample listed on the KOSPI mark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profit and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in both the consolidation and the separate financi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and the operating profit has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operating profit using the consolidated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sample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and the operating profit does not have any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suggest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isclose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in the note. This implies that the annotation disclosure system of adjusted operating profit introduced only by Korea is not desirable.

      • KCI등재후보

        폐쇄형 뮤추얼펀드의 유동성제고 효과와 프리미엄현상에 대한 실증연구 : 채권형을 중심으로

        최문수,구자삼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8 금융지식연구 Vol.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end bond mutual funds in Korea. We firstly explore the current regulations, taxation and the market mechanism of closed-end mutual fund and review empirical and theoretical studies regarding the closed-end mutual funds. In general, they found that closed-end funds were traded at a discount when their investment is focused on stock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closed-end bond funds were traded at a premium, although its ext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found the similar results for the bond fund. The liquidity enhancement made by the bond fund may cause the premium of bond funds,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lso find that the premium of bond funds can be explained by an institutional feature of the fund, the investment strategy of the fund manager, and a liquidity shock.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채권형·폐쇄형 뮤추얼펀드의 프리미엄은 새로운 펀드의 시장진입으로 인하여 기존 펀드에 대한 수요가 감소되고 이는 프리미엄의 감소로 이어진다는 Cherkes외 2인(2007)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리미엄이 펀드매니저의 운용능력을 나타내는 변수들과 정의 관계를 보임으로써 Cakici외 2인(2002)과 Berk와 Stanton(2007)의 펀드매니저 운용능력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채권형·폐쇄형 뮤추얼펀드의 프리미엄은 그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Cherkes외 2인(2007)이 주장한 바와 같이 폐쇄형펀드가 국공채나 회사채와 같이 유동성이 적은 유가증권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증권화를 통한 자산유동화로 인하여 간접적으로 유동성제고의 효과를 가져 옴으로써 펀드의 프리미엄 증대효과를 보인다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지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채권형펀드가 주식형펀드처럼 할인되어 거래되지 않고 프리미엄을 갖고 거래된다는 점은 Cherkes외 2인(2007)이 주장한 유동성제고의 효과가 어느 정도는 존재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