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식 역사 교구상자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 개발

        최명림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동원학술논문집 Vol.16 No.-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ru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children since its opening in 2005, which are comprised of weekend family programs, kids programs, exhibition-specific programs, vacation programs, and programs connected with school curriculums. Since 2013, in particular, the museum has been running curriculum-oriented program named “A Beautiful Color, Goryeo Celadon,” which was independently developed using the portable history teaching-aid box. The curriculum-oriented program currently held in the Children’s Museum is a model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the artifacts housed in the museum. Another program enjoyed at the museum is titled “Mysterious World of Goryeo Celadon,” and aims to enhance children’s understanding towards Goryeo celadon and the lives of people during the Goryeo era, utilizing the theme of another school curriculum subject and the aforementioned teaching-aid box. “Mysterious World of Goryeo Celadon” stands apart from programs in other museums in that it uses the teaching-aid box titled, “A Beautiful Color, Goryeo Celadon”, the first of its kind developed by Children’s Museum. This program allows children to review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Goryeo celadon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box, and it is developed to provide non-destructive testing materials and various games as a means of not only simply delivering information, but also encouraging interest and enjoyment. Another distinctive feature of this education program is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object oriented education using exhibition materials. In this paper, the author compares school education with museum education, and studies the necessity of distinctiv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midst an abundance of virtually identical programs. In addition, it reviews the way in which the program using a history teaching-aid box on Goryeo celadon serves to provide curriculum-oriented educa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Children’s Museum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utilizing portable teaching-aid boxes by assessing the possibility of evolving existing programs into outreach educational programs.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2005년 개관 후, 현재까지 어린이와 가족을 대상으로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교육들을 진행하고 있다. 그 가운데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학교(교과) 연계 교육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학교 연계 교육은 박물관의 소장품을 활용한 대표적인 교육이다. 어린이박물관 학교 연계 교육은 국립중앙박물관만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으로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 ‘신비한 고려청자의 세계’란 제목으로 진행되는 학교 연계 교육은 국립박물관에서 만든 ‘아름다운 빛깔, 고려청자’ 교구상자를 활용해서 고려청자와 고려인들의 삶에 대해 이해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은 사전 교육과 본 교육, 그리고 사후 교육의 3단계 교육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박물관 교육의 완결성을 추구하고 있다. 교육을 신청한 학교의 학급에 사전 교육 자료를 보내서 미리 정보를 알고 온 학생들은 박물관에서 시청각 교육과 교구 체험 교육 그리고 고려청자 전시실에서 직접 유물을 관람하는 본 교육을 받게 된다. 그 후 학교로 돌아간 학생들은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활동지를 풀어봄으로써 사후 교육까지 교육이 완결되도록 하였다. ‘신비한 고려청자의 세계’ 교육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만든 최초의 교구상자인 ‘아름다운 빛깔, 고려청자’를 이용한다는 면에서 여타 박물관에서 운영되는 교육과는 변별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만의 정체성 있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 진행한 이동식 역사 교구상자를 활용한 교육이 어떤 방식을 통해 학교(교과) 연계 교육으로 자리잡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탐색-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교육의 설계 모형 개발-

        최명림 한국박물관학회 2018 博物館學報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ce education and ‘the free semester system’ education policy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2013 and to examine the trends of museum education through developing a model of museum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ases of National Folk Museum from 2016 to 2017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policy was ful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for the museum to provide education programmes through reconstructing contents in accordance with free semester so that schools can systematically interact with museum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policy will lead to the operation of systematic and consisten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modularize museum education which can represent local community through developing a design model which museums can suppo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is study suggests five elements of education model design: goal, theme, contents, activities, and evaluation. It analyzes the operation of museum education programmes such as career search activity and topic selection activity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reinforcing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museums) as a part of local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된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박물관 교육에서의 모형 개발을 통해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지속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진행했던 청소년 교육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창의적 융합인재상 개발 방향과 연계하여 박물관에서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라 학교와 박물관이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 정책에 따른 학교 교육과 연계한 박물관 교육의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박물관만의 특별한 교육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수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박물관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박물관에서의 교육을 모듈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교육 요소, 교육 주제와 목표, 교육 활동, 교육 내용, 교육 평가 등 5가지의 교육모형의 설계 원리와 5가지의 수업 설계 단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물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 교육, 문화체험 교육, 자율교육들이 어떤 형태로 만들어 지고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해서 교육 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모듈화 함으로써 자유학기제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하나이면서 자유학기제 연계 교육 제공처인 공공기관(박물관 등)에서 교육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디지털 미디어 테크놀로지(DMT)와 민속을 융합한 박물관 교육의 방향성 탐색

        최명림 국립중앙박물관 2019 박물관 교육 Vol.3 No.-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최근 디지털 매체의 등장은 인간 활동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박물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새로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진화, 발전으로 인해 전시관 내 관람객과 전시물 그리고 공간 등의 상호작용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있고, 이러한 변화는 박물관 교육에까지 영향을 미쳐 박물관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특히, 디지털 매체를 통한 박물관 전시와 교육의 변화는 디지털이라는 테크놀로지 매개체를 통해 관람객에게 보다 더 큰 흥미로움을 제공하고, 보다 더 강한 몰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속이라는 콘텐츠와 디지털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융합하여 개발 운영되고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교육 가운데 민속놀이를 활용한 ‘AR로 즐기는 민속놀이 색칠하기’ 와 ‘추억의 거리에서 보물찾기’ 디지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시대가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민속을 융합한 박물관 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개발되고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지속가능 발전을 향한 박물관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았다. Enter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digital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further emphasizing and influencing all aspects of human activity. The advent,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s also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museum's exhibition and education. In particular, communication through greater interest to visitors and stronger immersion was achieved through technology medium called digital. Media theorists such as Mcluhan said that digital media creates communication of human senses, seeing the media as an important player that can extend human senses.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combined with various parts of the real world and formed a new culture caused by digital media by providing a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Among digital media, smart phones equipped with camera functions equivalent to smart media have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o create an era of mobile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entioned the advantages of digital education by presenting examples of digital technology media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museum education that combines digital media technology called augmented reality with folklore, coloring folk games enjoyed by AR, and searching for treasures in the distance of memories. In addition, a measure was proposed to enable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to become a continuously developed education as a future education.

      • KCI등재

        문(門)을 둘러싼 의례와 신앙

        최명림 ( Myung Lim Choi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Gate(mun) is a kind of physical indicator to distinct the inner and outer spaces and here and there as well as a passageway for comings and goings. In case of house, there are a series of gates ranging from the main gate making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o specific inner-house doors such as Anbangmun(door of lady’s quarter), Bueokmun(kitchen door), Darangmun(attic door) and so on. In addition, Donggu, village gate is considered as a village gate although it does not have a specific installation required. We can also include gates of the castle town in this category. In other words mun has had a fundamental concept as a way in-and-out. This concept, however, implies comings in-and-out not only by human beings but by invisible existences such as ghosts and diseases. Gate gods so-called Munsin appear in various ritual and religious events and play different role in each case. In Yeongje, a national shamanic ritual, mu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aying for a peaceful reign by holding a ritual to the godof nature(Sancheonsin) at one of the major national gates; in cases of childbirth, funerary or wedding ceremonies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s, mun functions not only as a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ut as a symbol to expel evil spirits. This paper also show how the gate god came to be settled in this context by examining some literal records such as stories of ``Cheoyong`` and ``Dohwanyeo and Obirang’, and Munjeonbonpuri from Jeju island. As described earlier, mun carries out protective mission to keep bad things such as diseases and disasters off as well as its authentic function. Mun has been expected to have munsin who is believed to accept good things and expel bad things by reflecting Byeoksajingyeong in folk beliefs. Also through protecting the inner space, it reinforce the inside solidarity. If we take a look at mun or munsin in various sourc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s senses as it was in the previous classification. All things considered, we can conclude that mun and munsin with different measures reflect sincere desires for living happier lives. With this physical indicator, mun, Korea has reinforced its solidarity of different communities such as local villages and sometimes the nation itself. Concerning munsin, it has become a cultural tradition rather than an object of religious adoration. Even though it is true that this awareness of munsin has been gradually fading away as other folk phenomena, it does exist invisibly or visibly in the modern times.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reestablish awareness of munsin by examining existing materials abou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