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inetobacter sp.에 의한 액체,고체 알칸의 미생물 분해특성 비교연구

        최동혁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 지하수토양환경 Vol.4 No.3

        소수성 오염물질인 원유성분의 분해메카니즘을 규면하기 위하여 원유중 알칸성분의 동시분해능을 지닌 Acinetobacte sp.를 단리하여 액체/고체알칸, 서로다른 고체알칸을 단일 또는 복합기질로 하여 비교분해연구를 행하였다. 또한 비분해성 유기액상성분인 pristane을 원유매체, 고체알칸인 heneicosane을 유효기질로 하는 실험계를 확립하여 원유성분의 분해모델로서 연구를 행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Acinetobacter sp. 는 기질의 물리적 상태가 다른 액체/고체 성분의 분해특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고 소수성기질의 표면에 직접접촉하여 분해할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서로 다른 고체알칸의 단일 또는 복합 분해연구와 탄화수소에 대한 미생물의 부착성 결과가 이를 밑받침하였다. 또한 고체성분이 원유중에서는 유기상내에 용존상태로 존재함에 착안한 heneicosane/pristane 계의 연구결과 원유매체는 매생물로 ??유효기질 전달을 억제함을 밝혔으며, 단일성분으로 존재할때에 비하여 분해가 일어나기위한 미생물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유효기질의 비표면적 저하가 주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Comparative biodegradation studies of liquid and solid alkanes and of two different solid alkanes were conducted by an isolated Acinetobacter sp., which degraded crude oil alkanes simultaneously, for the determination of degradation mechanism of hydrophobic crude oil constituents. Also a model oil experimental system composed of a solid alkane, heneicosane, as a dubstrate and a non-degradable non-aqueous phase liquid, pristane, as an oil matrix was a substrate and a non-deradable non-aqueous phase liquid, pristane, as an oil was established and studied. It was proposed that the Acinetobacter sp. utilized hydrophobic substrates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m with no difference in the degradation rates between the liquid and solid alkan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e heneicosane/pristane system which imitates crude oil matrix containing solid constituents, the crude oil matrix was considered to reduce the bioavailability of contained substrates by reduc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substrates to contact with microorganisms.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 개발에 따른 수문 및 오염부하 변화 연구

        최동혁,전지홍,김태동 한국도시환경학회 2017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proposed Low Impact Development (LID) ways responsive to climate change until 2100 to mitigate the adverse effect of urban development on hydrology and pollutant load. We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retention would be most preferable both on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RCP4.5) scenario, supposing mitigating efforts for green house gases, and RCP 8.5 scenario, supposing none for those, by analysing the changes in precipitation an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The Site Evaluation Tool (SET V3.3, 2005.12) showed less impact of development in retention increase, applied with RCP 8.5,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lternatives promoting infiltration or retention as best management practices(BMPs). Thse results suggested that retention facilities like bioretention, with making the best use of green area, would be the effective ways to attenuate changes in hydrology and pollutant load by new town construction, coping with climate change. 본 연구는 도시 개발이 수문 및 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도청 신도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2100년까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방향을 제시하였다. 온실가스 저감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RCP4.5)와 온실가스 저감 없이 현재 추세로 배출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CP8.5) 에서 강수량과 기준증발산량의 변화를 토대로 강수 저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으로서 침투증대와 저류증대 대안을 Site Evaluation Tool(SET V3.3, 2005.12)로 모의하여 저류증대를 도모할 경우 RCP 8.5 에서도 큰 저감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식생체류지와 같은 저류형 시설이 침투형 시설보다 저감효과가 크고 기후변화를고려할 때에도 유리하므로 녹지를 활용하고 적극적인 식생체류지를 조성하는 등 저류시설을 확보하면 수문과 오염부하저감율을 높이고 기후변화에도 효율적인 대응 방안이 됨을 보였다.

      • KCI등재

        생물막 공정에서 염분함유 폐수의 질산화에 관한 연구

        최동혁,김기용,권중천,김태동 한국도시환경학회 2017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7 No.4

        Biologically advanced treatment process is widely used for high 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and it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removal of nutrients flowing into the water environment. However, the research for food wastewater, fish processing wastewater, landfill leachate and the like, their high salinity adversely affecting the biological treatment efficiency, has rarely been conduc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alinity on the nitrification of wastewater carrying high organic concentration using the Biofilter Process. Nitrification was not affected with low salinity concentration of 2,000~55,000 mg·NaCl/L, however, it was affected with salinity concentration of 80,000 mg·NaCl/L, resulting the reduction of nitrification rate to 11.4%. The initial neutral pH of the wastewater, including NaCl 30,000 mg/ L and TN 500 mg/L, dropped to 6 or less as nitrification went along and reduced to 50%. In the case of basic region, the pH of the reactor was maintained at about 7.0 despite the nitrification reaction and the nitrification rate was about 80% or more. In the acidic region, the pH of the reactor was greatly decreased and nitrification was hardly achieved. As the pH level during the operation period was adjusted to the neutral region,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was higher than 99%. It could be postulated that for the effective nitrification, the pH of influent water needed to be adjusted to neutral or higher and maintained during nitrification process. 생물학적 고도처리공법은 수계에 유입되는 영양물질 제거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고농도의 염분으로 생물학적 처리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음식물폐수, 수산물가공폐수, 매립지 침출수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Biofilter Process을 이용하여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수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염분 농도, pH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염분 농도 2,000~55,000 mg·NaCl/L에서는 질산화가 염분의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염분 농도 80,000 mg·NaCl/L에서는 질산화율이 11.4%에 그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NaCl 30,000 mg/L, T-N 500 mg/L의 조건하에서 질산화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중성영역의 경우 질산화 반응으로 인한 반응기의 pH가 약 6이하로 감소되고 질산화율이 약 50% 이하를 나타내었다. 염기성영역의 경우는질산화 반응에도 불구하고 반응기의 pH는 약 7.0으로 유지되고 질산화율이 약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산성영역의 경우에는 반응기의 pH가 크게 감소하고 질산화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운전기간 동안 pH를 중성영역으로 조절한 결과 질산화 효율이 99%이상으로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운전기간 동안에 중성이상의 pH로 유지하는 것이 질산화에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 KCI등재

        어태치먼트 모드를 적용한 레이돔 원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이득 해석

        최동혁,박경빈,정영배,박성욱,문영찬,전순익 한국전자파학회 200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2 No.4

        프로브로 급전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경우 급전점에서 급격히 변하는 전류 성분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패치와 프로브 간의 전류의 연속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어태치먼트 모드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표현될수 있다. 본 논문은 프로브 급전구조를 정확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모드를 사용하여 레이돔이 올려진 원형 마아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해석하여 반사 계수 및 이득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the case of the microstrip antenna with the coaxial probe-feeding, there is rapidly-varying patch current near the point where the probe feed is connected to the patch. We represent this current distribution using the attachment mode that insures continuity of currents from the feed to the patch. In this paper, we can accurately analyze the effect of a cover layer or radome for an antenna with the attachment which model rigorous probe feed.

      • KCI등재

        정확한 급전 구조를 고려한 레이돔 원형 패치 안테나 해석

        최동혁,박경빈,박성욱 한국전자파학회 200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논문에서는 프로브로 급전되는 단일 원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위에 게이돔과 같은 또 다른 유전체가 씌어져 있는 구조에 대해서 모멘트 법을 이용하여 해석을 하였다. 급전 구조의 정확한 해석을 위하여 어태치먼트 모드를 이용하여 패치와 급전겅에서의 전류의 연속성을 보장해 줌으로써, 급전점에서 급격히 변하는 전류성분들을 표현할 수 있었다. 해석된 결과는 실험을 통하여 검증되었고,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a cover layer or radome for an antenna, the moment method i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circ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dielectric superstrate fed by coaxial probe. The probe feed is modeled as a attachment mode method which can solve more exact analysis. In case of a ideal probe feed modeling, the probe self-impedance as well as the rapidly-varying patch current at the vicinity of the feed point was neglected. But a rigorous probe feed model which overcomes these deficiencies are developed, and used in the analysis of isolated circular patche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validate the numerical results. These are good agreement with each other.

      • KCI등재

        하폐수처리시설 2차 처리수의 잔존 유기물과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전해여과 영향 인자

        최동혁,박종웅 한국도시환경학회 2019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elicited the operation factors of electrolytic oxidation-filtration to remove residual organics and nutrients in stabilized wastewater. The carbon fiber (CF) was more effective than stainless steel (SUS) as cathode in removing chemical oxygen demand (CODCr) at φ100 mm reactors. The CODCr removal with electrolytic oxidation-filtration (EOF), showed 71% removal, was higher than that with activated carbon filtration or electrolytic oxidation. The removal of total phosphorus (T-P) was higher with zeolite and that of CODCr was higher with activated carbon in both filtration and EOF at φ150 mm reactors. The reinforcement of electricity field was essential in reactor scaleup and the quantity of filtration media and the retention time of reactor were important factors. Additive concentric cylindrical SUS anode reinforced electricity field for 1.4 times in inner layer and 3.3 times in outer layer and increased CODCr removal in EOF both with zeolite and activated carbon. Under reinforced electricity field the increase of hydraulic retention time from 15min to 30min showed slight inCrease of removal efficiency, except with zeolite EOF, both in CODCr and nutrients. 본 연구는 기존 처리 폐수의 잔존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해 여과의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전극 재질을 비교한 결과 음극에 탄소섬유(CF) 전극을 이용하였을 때 스테인리스강(SUS) 전극보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Cr) 제거율이 높았다. 전해 활성탄 여과로 CODCr 제거율이 71%를 보여 활성탄 여과나 전해산화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여과 또는 전해 여과 모두 총인은 제올라이트를 여재로 이용하였을 때, CODCr는 활성탄을 여재로 이용하였을 때 높은 제거율을 얻었다. 반응조 규모 확장 시 전기장 보강은 필수적이며 여과작용을 위한 여재의 양과 체류 시간이 중요한인자로 도출되었다. 동심 원통형 SUS 전극을 양극으로 추가하여 보강 전극을 기준으로 전기장 세기가 내측은 1.4배, 외측은 3.3배 강화됨으로써 전해 활성탄 여과와 잔해제올라이트여과 모두 CODCr 제거율이 향상되었다. 전극보강 조건에서체류 시간을 15 min에서 30 min으로 증가시킨 효과는 전해제올라이트여과 외에는 CODCr와 영양염류인 T-N, T-P 모두제거율의 향상이 미미하였다.

      • 소형 특장차량 보조축의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최동혁,유영상,이상호 한국기계기술학회 2017 한국기계기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uxiliary shaft system in a compact special vehicle. Stress and deformation distributions with safe factor in the auxiliary axle system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maximum stress happens near the local axle position and deformation at the air spring is also predict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applicable for optimal design of variable shaft system in the compact special veh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