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국어의 ‘–ㅁ(음), -기’ 이름마디 연구

        최대희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noun clause by finding out morphologic and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the 18th century Korean. Summary of the contents is as follow.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 confirmed a grammar category limitation relationship of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had appeared as similar features in morphologic limitation relationship. The syntactic characteristic confirmed function. Two types functioned as all kind of sentence components. Through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were confirmed to carry out function very well as noun clause and it was confirmed that a system of noun clauses based on these two types were firmed in the 18th century. The semantic characteristic confirmed a semantic limitation relation ship. Noun clause showed similar features in limitation relationship in semantic aspect when noun clause functioned as the subject but when it functioned as the object,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showed a little different feature. Through sematic limitation relationship,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carried out the functions as noun clauses but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 qualification of the two was different. 18세기의 이름마디는 현대국어에 준하는 체계를 확고하게 갖추게 되는데, 이를 검증하기 위해,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를 중심으로 형태·통어·의미론적 제약관계를 살펴보았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형태론적 특징은 18세기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의 문법범주 제약을 확인하였다. 확인한 결과, 두 유형의 이름마디는 문법 범주의 제약 정도가 유사하였는데, 둘 다 때매김법과 높임법의 안맺음씨끝을 앞세우고 있었다. 이것은 분명히 ‘-ㅁ’, ‘-기’가 굴곡의 가지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이름법 씨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즉, 17세기에 균형을 맞추기 시작했던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가 18세기에는 더욱 대등한 위치에서 이름마디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18세기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의 기능(통어론적 제약)을 확인하였다. 살펴본 결과, 두 유형의 이름마디는 모든 월성분으로 기능하였다. 이를 통해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는 이름마디로서의 기능을 온전하게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현대국어의 이름마디 체계와 비슷한 ‘-ㅁ’과 ‘-기’를 중심으로 한 이름마디의 체계가 17세기에 이미 완성되었음은 최대희(2010)에서 서술하였는데, 18세기에 이르러 더 확고해졌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의미론적 차원에서는 안은마디 풀이말(풀이말1)과 안긴마디의 풀이말(풀이말2) 간의 씨범주 제약관계를 파악하였다. 임자말로 기능하는 경우는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의 제약관계가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풀이말1은 그림씨가 많고, 풀이말2는 움직씨가 많았다. 부림말로 기능하는 경우는 ‘-ㅁ 이름마디’보다 ‘-기 이름마디’가 더 제약을 받았다. ‘-ㅁ 이름마디’는 풀이말2에 움직씨와 그림씨가 제약 없이 오는데, ‘-기 이름마디’는 풀이말2에 움직씨는 제약 없이 오나, 그림씨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기 이름마디’에서 풀이말2에 올 수 있는 그림씨가 매우 제한적인 까닭은 풀이말1의 대상이 되는 부림말이 동작성 풀이말에 한정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곧 풀이말2에 상태나 느낌의 풀이말이 올 경우 ‘-기’가 제약되는 것은 ‘-기’의 의미자질이 [-상태, -느낌]과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 KCI등재

        급성 담관성 췌장염의 치료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후 발생한 제대 탈장의 감돈 1예

        최대희,이상협,박주경,유지원,우상명,류지곤,김용태,윤용범,박규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4 No.6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a safe procedure with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rarely occurring after the procedure. There are several reports of complications with ERCP, including bleeding, perforation, pancreatitis,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In our case, an umbilical hernia was strangulated after therapeutic ERCP had been performed in a patient with acute pancreatitis by a biliary stone, which required a surgical resec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uch a case in Korea. This case highlights the need for close and careful observations for the early detection of possible complications after ERCP.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4:351-355)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은 췌담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필수적이며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는 술기이다. 주요한 합병증으로 출혈, 천공, 췌장염, 담관염 및 담낭염 등이 있으며 이의 빈도와 경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급성 담관성 췌장염 환자에서 치료 목적의 ERCP 시행 후, 증가된 복압으로 인해 제대 탈장이 감돈되어 수술 치료를 한 예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상기의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최대희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17th Korea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et up the list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17th Korean. The list setting is listed in the existing study which first classified dependent nouns by function. And then, were verified a dependent nouns functioning mainly as adjectives in this list. After the selection, the list is classified into the annihilated, maintained, and generated by comparison with dependent noun appearing in the previous and subsequent periods. As a result, set up a list such as ‘(시), 대(로), 듕, 만1, 만2, 적(제), 죡죡(족족), 즉, 톄(체)’. Secondly, consider that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related to the changes, and examine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17th-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generally not much constrained, and no major changes have occurred. Morphological constraints seem to play a role in classifying adverbial dependent nouns, and syntactic constraint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gree of dependent noun transitions. In conclusion, the constrained environment is considered to be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이 연구에서는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를 대상으로, 변천과 상관성이 있다는 전제 하에 형태․통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먼저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목록을 설정하였다. 어찌말 매인이름씨 의 목록 설정은 우선, 기존의 연구에서 설정한 목록을 먼저 살펴본 후, 이들 목록에 서 어찌말의 기능이 있는 매인이름씨를 모두 선별한 다음, 주 기능이 어찌말처럼 기능하는 매인이름씨를 선별하여 목록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목록으로 설정한 매 인이름씨를 이전 시기, 이후 시기에 나타나는 매인이름씨와 비교하여 소멸된 것, 유 지되고 있는 것, 생성된 것으로 나누어 목록을 분류하였다. 설정한 목록은 ‘(시), 대(로), 듕, 만1, 만2, 적(제), 죡죡(족족), 즉, 톄(체)’이다. 다음으로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형태․통사적 특성과 변천이 연관성이 있다는 전 제 하에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형태․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매인이름씨 는 대체로 제약이 많지는 않아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형태적 제약은 매인이 름씨를 분류하는 기준의 역할을 하는 듯하고, 통사적 제약은 매인이름씨 변천의 정 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듯하였다. 형태적 제약으로 주로 영형태소가 결합하거나, ‘-의, -에, -, -브터’ 등이 결합하면 대체로 어찌말 매인이름씨로 분류되고, 통사적 제약으로 선행 요소의 통합, 즉 임자씨나 매김법이 통합하느냐에 따라 변화의 정도 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설정한 목록을 검증한 결과, 매김법 제약이 없을수록 변화의 정도가 크지 않고, 매김법 제약이 있거나, 임자씨가 통합하는 경우에는 변화의 정도 가 매김법 제약이 없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정리하면, 제약적 환경은 어찌말 매인이름씨의 변천과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20년대 모스크바 노동자가족의 의식주 생활

        최대희 한국러시아문학회 2008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li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basis for everyday life of the Moscow factory worker's family in the period of the New Economic Policy. At first, it analyses the statistics of their budget, in order to ge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material basis of their living. It is not confined to it, but extended to the analysis of observations of contemporaries on their everyday life. This certainly helps to prove the statistical analysis from the intro-perspective of workers themselves and to vitalize the abstract statistics. The living standard of the Moscow factory workers in the 1920's steadily increased, especially compared to the critical years of 1918-1921. The standard of their wag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20's surpassed that of prewar days, while the index in expenses for food and clothes caught up with that of prewar days. Especially the nutrition for the workers demonstrated a substantial improvement. Generally speaking, the income and expense of workers' family in the second half of 1920's improved without any doubt, compared to those of pre-revolutionary Russia. However, a careful analysis on the household budget of worker's family as well as contemporary observations prove that worker's families in the big cities still suffered from the poverty. The tangible improvement did not help much to solving the nutrition problems nor overcoming the necessities. It did not even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workers after the 7 years of war. The condition of housing in the cities was especially the case. Many of workers were disappointed with these everyday problems, therefore it deepened their discontents to the political system in those days.

      • KCI등재

        ‘평행사회’와 이주자의 통합 이해

        최대희 한국유럽학회 2014 유럽연구 Vol.32 No.4

        The definition of “Parallelgesellschaften (Parallel Societies)” attained a negativemeaning in the following way: The German dominant society of majority shiftsthe responsibility for the delay of the German integration onto the migrants, insistingthat the migrants resist to be integrated into the German society by establishingtheir own castle. This paper discusses the premises of such an argument. The“Parallelgesellschaften” in classical meaning is not yet established in Germany. Even though the division of social spaces for the migrants exists, then it is notdue to their voluntary retreat as the dominant society blames, but due to an enforcedretreat caused by the exclusion. To the contrary, the migrants have strong willto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and they primarily comprehend the integrationas the structural integration. If the number of the migrants who do not want tobe integrated increases, then it does not come from their religious or culturaldifference, but it is surely attributed to their economic or social context. Therefore, in the migrating society where the redistritubtion of social resourcesbecame the fundamental issue, the definition which serves the purpose of thedominant society of majority, shifting the responsibility onto the minority groupand excluding of the latter from the society is the “Parallelgesellschaften”. ‘평행사회’라는 개념이 부정적 의미연관을 획득하게 된 것은 독일 다수사회가 이주자들이자기들만의 성을 구축해 의식적으로 독일사회로 통합되길 거부한다며, 독일통합의 지체 책임을 이주자에게 전가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와 같은 식의 책임전가가 가정하고 있는, 인종적 소수파가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그럼으로써 독일 사회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전제를 검토했다. 독일에서 고전적 의미의 ‘평행사회’는 결코 형성되지 않았다. 설사 이주자의 사회공간적 분리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수사회의 비난과는 달리 이주자의 자발적 퇴각이 아니라, 강요된 퇴각일 뿐이다. 이주자들은 통합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그들이 이해하는 통합은 일차적으로 구조적 통합이다. 통합을 바라지 않는 이주자들이 증가한다면, 그것은 종교적인 또는 문화적인 차이에서가 아니라 무엇보다 그들이 처해 있는 경제적 및 사회적 맥락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이주자사회에서 평행사회 존재를 기정사실화함으로써 이주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다수사회의 논리가 바로 ‘평행사회’개념이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 현장에서의 ‘다문화아이’와 타자화

        최대희 대한정치학회 2018 大韓政治學會報 Vol.26 No.1

        When we recognize that a multicultural society is composed of Koreans, Chinese, Vietnamese, etc., this recognition will face a paradox of not only preserving, but also strengthening the distinctions and differences in individual ethnic groups. This study focuses on the “paradox of recognition” in which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in relation to ethnicity leads to the essentialization of difference, and consequently, differences and stereotypes are reinforced. In addition, the overemphasis on “cultural difference,” a kind of construction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sequently activates the “culturalization” mechanism and leads to the “othering”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damunhwa-ai.”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ridiculous situation in which teacher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do not understand how to deal with the “cultural differences,” but only “discover” a “cultural differen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elf-refl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ultural difference.” 우리는 다문화사회가 한국인, 중국인, 베트남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인정할 때, 이러한 인정을 통해 개별 민족집단들의 상이성 또는 차이점들이 계속해서 보존되게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강화되는 역설과 마주하게 된다. 본 연구는 민족(ethnicity)과 연계된 차이에 대한 인정이 차이의 실체화(essentialization)를 가져오고, 그럼으로써 거꾸로 차이와 고정관념이 강화되는 ‘인정의 역설’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현장에서 일종의 구성물인 ‘문화적 차이(cultural difference)’를 과도하게 강조하는 것은 ‘문화화(culturalization)’ 기제를 작동시키며 그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가 ‘다문화아이’로서 ‘타자화(othering)’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다문화교육현장의 교사들 역시 ‘문화적 차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의 다문화 현실에서는 존재하지도 않은 ‘문화적 차이’를 ‘발굴’하는 우스꽝스런 상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문화적 차이’에 초점을 맞춘 다문화교육의 자기성찰에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매인이름씨 ‘만’의 변천

        최대희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transition of dependent noun ‘Ma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morphology. However, in the case of ‘Man2’, there is an example of combining with postposition in modern Korean. Next, confirmed the integration constraint of the preceding element and the trailing verb constraint. In the integration constraint of the preceding element, an adnominal ending was integrated only with ‘-(으)ㄹ’, and the trailing predicate was mainly integrated with ‘하다’. Thus, an adnominal ending constraint and repetitive integration with ‘do’ are directly related to change. Fin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factors of ‘Man2’, examined the various uses of ‘Man’, and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onstraint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an adnominal ending and ‘d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grammaticalization. 이 연구는 매인이름씨 ‘만’을 대상으로 형태․통사론적 변천 양상을 파악하고, ‘만’의 변천 과정을 추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형태적으로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만2’의 경우 현대국어에 오면서 토씨 ‘-은, -도’ 등이 결합하고 있는 예가 보인다. 다음으로 통사론적으로는 선행요소의 통합 제약과 후행 풀이말 제약과 월에서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선행요소의 통합 제약에서는 매김법 제약에서 ‘-(으)ㄹ’만 통합하는 양상을 보였고, 후행 풀이말 제약에서는 주로 ‘하다’와 통합하는 양상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매김법의 제약과 반복적인 ‘하다’와의 통합은 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만2’의 변천과 관련하여 ‘만’의 다양한 쓰임과 형태․통사적 제약을 살펴보았다. ‘만’이 여러 가지 기능을 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모두 충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능을 축소하는 쪽으로 변화를 가져왔을 것이고, 매김법 ‘-(으)ㄹ’과 상위 풀이말 ‘하다’는 문법화의 진전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