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수-수수 교잡종 원형곤포 및 트렌치 사일리지 부위별 사료가치 및 품질

        최기춘,류재혁,정민웅,박형수,김다혜,김천만,김맹중,김종근,김원호,임영철,최기준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수수×수수 교잡종의 원형 곤포 및 트렌치 사일리지의 부위에 따른 사료가치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천안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 에서 수행되었다. 수수×수수 교잡종 SS405는 5월 초순에 파종한 다음 출수기에 수확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조단백질, NDF 함량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은 트랜치 사일리지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NDF 및 TDN 함량에서는 원형 곤포사일리지 보다 트랜치 사일리지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사일리지 부위별 조단백질 함량은 외부나 중간부위 보다 내부에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p<0.05), NDF, ADF 및 TDN 함량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형 곤포사일리지의 젖산 함량은 트랜치 사일리지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초산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사일리지 부위별 젖산, 초산 및 낙산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arts of sorghum-sorghum hybrid (SSH) silage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ies of SSH round bale silage and trench silage. SSH “SS405” was harvested at heading stages and ensiled. Samples of SSH silage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three different parts (outer, middle and inner).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in SSH round bale silage showed trends similar to SSH trench silage. However, the content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in SSH trench silage appeared slightly an increased trend, as compared to SSH round bale silage. The contents of CP in inner parts of both SSH round bale silage and trench silage were lower than those of Outer and middle parts (p<0.05). However, The contents of NDF, ADF and TDN, and IVDMD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parts of SSH silage. The content of lactic acid in SSH round bale sil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s compared to SSH trench silage. The content of acetic acid appeared an decreased trends, but ther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SH round bale silage and trench silag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parts of SSH silage.

      • KCI등재

        논에서 경작형태와 우분액비 시용이 사초생산성 및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최기춘,나상필,김원호,최기준,임영철,김명화,이상락,김다혜,육완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age cropping system and cattle slurry on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whole crop barley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Forage cropping system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double-cropping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whole crop rice applied with cattle slurry (DWBRC) and double-cropping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Sorghum-Sudangrass hybrid applied with cattle slurry (DSSBC). Th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clay loam at Backsanmyun, Kimje, Chunlabukdo province in Korea for three years (May 2006 to Apr. 2009). This study was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field had been sown with whole crop rice ‘Nampyung’, Sorghum-Sudangrass hybrid ‘Sordan79’ and whole crop barley ‘Younyang’. The yields of whole crop barley in DWBRC and DSSBC were 7,515 ㎏/㏊ and 8,515 ㎏/㏊, respectively. The yields of whole crop barley in DSSBC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DWBRC (p<0.0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of whole crop barley in DWBRC were no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ose of DSSBC. The pH, and contents of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However, The content of phosphate in DWBRC was no difference as compared with DSSBC. In addition, after the end of experiment, the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cations (Ca, Na, Mg and K)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The concentrations of NH4-N, NO3-N, PO4-P, Cl, Ca, K, Mg and Na in leaching water were hardly influenced by the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본 연구는 논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총체벼와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그리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재배시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총체 벼, 총체 영양보리,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사료가치, 토양성분 및 용탈수중의 무기물 농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시험포장에서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총체 벼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7,515 ㎏/㏊이며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8,515 ㎏/㏊으로 총체 영양보리의 수량은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으로 재배한 경우가 총체 벼 후작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에서 총체 영양보리의 조단백질함량, NDF, ADF 및 TDN 함량은 총체 벼 후작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와 함량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내 pH, 전질소, 유기물 함량은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그러나 인산함량은 시험전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 내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리 농도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용탈수 중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인산염인, 염소, 칼슘, 칼리, 마그네슘, 나트륨의 농도는 경작형태에 따른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 KCI등재

        신규 젖산균 첨가가 저 수분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기춘,일라베닐 사운드라잔,스리고팔람 스리세스하람,박형수,김지혜,정종성,김현섭,Choi, Ki Choon,Soundarrajan, Ilavenil,Srisesharam, Srigopalram,Park, Hyung Soo,Kim, Ji Hye,Jung, Jeong Sung,Kim, Hyun Seup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1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potential effects of novel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penticeous KCC-23 (KCC-23)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CC-24 (KCC-24) on rye haylage fermentation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province in Korea. The experiment contains three different groups such as control without lactic acid bacteria, rye haylage with KCC-23 and rye haylage KCC-24. After experimental periods,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he activity o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In-vitro digestibility (IVD) was similar in control and LAB treated haylage (p<0.05). The pH was reduced in KCC-23 and KCC-24 treated rye haylage a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in haylages was increased by L. plantarum KCC-23, and KCC-24 supplement. Whereas, the less amount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as noted in KCC-23 and KCC-24 treated haylage as compared with control (p<0.05). The KCC-23 and KCC-24 were dominantly grown in experimental haylage as compared with control. It indicates, the addition of KCC-23, and KCC-24 enhances fermentation quality of haylages as compared control.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KCC-23 and KCC-24 are potent strains that were improv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n rye haylage 본 연구에서는 호밀을 이용하여 사일리지 제조시 P. penticeous KCC-23 및 L. plantarum KCC-24를 접종하여 사일리지의 품질 및 미생물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젖산균 접종 유무에 관계 없이 호밀 사일리지의 사료가치는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그리나 유산 함량은 젖산균 접종구가 현저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초산과 낙산은 젖산균 접종구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젖산균 분포는 젖산균 접종구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 효모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곰팡이는 $10^3CFU/g$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저 수분 호밀 사일리지 제조시 KCC-23 및 KCC-24 접종에 의해 사일리지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 KCI등재후보

        세계화와 복지국가 변화의 다양성 -미국,유럽과 한국의 경우-

        최기춘 한국사회경제학회 2003 사회경제평론 Vol.21 No.-

        The feature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welfare regimes caused by the neoliberal glibalization varies widely from country because of the different characreistics of their socio-economic regimes. In the casr of the US, the welfare system is rapidly reorganized toward 'Markdtization' and 'Recommodification' propellde by the neoliberal market-oriented princple. For the Continental European countries, under pressure to reduce social welfare expenditures,the orientation of the welfare reform is on the dividing line between 'Marketization' for economic efficiency, and 'Reinforcement by way of 'updating' and 'rationlizing' their existing welfare systems. Although the Korean socio-economic system in general have been strongly inflyenced by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an impreeive enforcement of the welfare system and a considerable increase of welfare expendityres are paradoxically observed in Korea. Kim Dae-Jung government's so-called 'welfare Reforms' should, however, be interpreted as a weakness of Korean welfare system which does not have the capacity to reduce welfare expenditures in spite of financial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the 'Welfare Reforms' can also be understood as a social device designed to absorb the socio-eonomic shock generated by the massive neoliberal economic restructuring.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이중적 영향(복지강화/복지약화)으로 초래된 복지체제 변화의 양상은 특정 국가의 사회경제체제가 가지는 특수성에 따라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미국의 경우 '복지의 시장화'와 '재상품화'를 통해 복지제도를 신자유주의적인 시장의 원리에 종속시켜가고 있고, 유럽대륙 국가들의 경우 국가복지축소의 압력 아래에서 복지제도의 최신화, 합리화를 통해 기존의 사회적 가치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복지개혁의 방향을 갈등 속에서 모색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었음에도 김대중 정부의 '복지개혁'을 통해서 복지제도가 확충되고 복지지출이 증가해 왔다. 그러나 이것은 한국복지의 특수한 구조, 즉 서구 복지구가들과 달리 국가복지 비중이 상당히 낮은 낙후된 복지체지로 인해서 복지지출과 제도를 축소할 여지가 없었다는 사실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김대중 정부의 '복지개혁'은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으로 인해 증촉되고 있던 사회경제적 위기를 완충시킬 필요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국복지체제의 포괄적 발전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복지개혁'에도 불구하고 소득분배구조의 불평등과 빈곤의 재생산을 해소하지 못함으로서 한국 복지체제가 여전히 잔여성과 낙후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음에서 확인된다.

      • KCI등재후보

        세계화와 복지국가 변화의 다양성-미국, 유럽과 한국의 경우

        최기춘 한국사회경제학회 2003 사회경제평론 Vol.- No.21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이중적 영향(복지강화/복지약화)으로 초래된 복지체제변화의 양상은 특정 국가의 사회경제체제가 가지는 특수성에 따라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미국의 경우 '복지의 시장화'와 '재상품화'를 통해 복지제도를 신자유주의적인 시장의 원리에 종속시켜가고 있고, 유럽대륙 국가들의 경우 국가복지축소의 압력 아래에서 복지계도의 최신화, 합리화를 통해 기존의 사회적 가치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복지개혁의 방향을 갈등 속에서 모색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었음에도 김대중 정부의 '복지개혁을 통해서 복지제도가 확충되고 복지지출이 증가해 왔다. 그러나 이것은 한국복지의 특수한 구조 즉 서구 복지국가들과 달리 국가복지 비중이 상당히 낮은 낙후된 복지체제로 인해서 복지지출과 제도를 축소할 여지가 없었다는 사실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김대중 정부의 '복지개혁'은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으로 인해 증폭되고 있던 사회경제적 위기를 완충시킬 필요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국복지체제의 포괄적 발전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복지개혁'에도 불구하고 소득분배구조의 불평등과 빈곤의 재생산을 해소하지 못함으로서 한국 복지체제가 여전히 잔여성과 낙후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음에서 확인된다. 키워드: 세계화, 복지국가, 한국복지개혁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