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언어문화 적응 연구

        최권진 ( Choi Gwon-j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3 No.-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adaptation status of Uzbekistani students to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 well their degree of adaptation to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① Overall, they adapt well to the university, where they study. ② Their homesickness is not severe. ③ The culture shock is moderate, though they do not adapt very well to Korean culture, but adapts without major problems. ④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is at a beginner’s level, so they use Korean language a little passively. ⑤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 people is normal.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four students from Uzbekistan also support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s a whole. They show strong confidence in the success of their studies, feel the joy of learning and using Korean language, and try to use it as positively as possible. Their desire for success in academic and studying life is much stronger than their homesickness. They are experiencing diverse cultural differences in Korean socie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slamic culture of their home country. And they are trying to maintain good human relations with Koreans. (Inha University)

      • KCI등재

        라트비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실제-초급 교재 `Korejiesu valoda 1, 2`를 중심으로

        최권진 ( Choi Gwon-j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6 No.-

        It is well-known that textbooks are one of the indispensable core elements with teachers and learners, that must always be present in the places of education. As the interest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creases rapidly not only in Korean but also abroad,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developed to satisfy the learners from specific cultural or language areas are also growing. This papers show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wo-volumed beginner`s textbooks for Latvia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It examined previous studies which dealt with the process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ers. Then the actual process of developing the textbooks for Latvian learners were shown. The paper discussed the actual steps through which the books were developed. It defined the principles which were applied for the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and their chapters. It illustrated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with a sample chapter. (Inha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예비교원의 국외 교육실습의 실제-러시아 사할린에서 진행된 내용을 중심으로

        최권진 ( Choi Gwon-j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It cannot be deni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which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is the teacher’s competence. In this connection, practicum of teaching Korean is a compulsory course in the curriculum for training Korean-language teachers. This paper deals with the actual practicum of overseas Korean-language education initi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7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the employment capacity of the pre-service Korean-language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amines the basis of the discussion for the practicum of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then reviews the precedent research. In addition, he presents the content of the practical training fulfilled in Sakhalin, Russia, and then make suggestions to make similar programs more effective in the future. (Inha Universi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최권진(Choi Gwon Jin),채윤미(Chae Yun Mi)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문제가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관한 교재의 개발 및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정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 개발된 5종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보면, 정부 부처나 기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능력 향상이나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해 편찬하여 배포한 교재들이 실제로 각 교육기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이들 교재들이 대부분 국어교과서의 형태로 국어 교육에 중심을 두고 있거나 한국어 교육의 외국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과 교육 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학습에 필요한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하여 학업 성취도가 낮으며,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바람직한 교재는 한국어에 대한 지식과 활용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의 다양한 주제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도 다루는 범교과적인 활동 중심의 언어문화 통합 교재이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look for an alternative schema for a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sed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ituation in which educating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becoming a hot issue. The authors, first, hav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n have analyzed 5 textbooks developed for the children. These analyses show that the textbooks developed by government organs or institutions are not used in the schools engaged in teaching Korean.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textbooks are developed in the form of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native Koreans or does not reflect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multicutural families and does not meet the demands of the children, as the textbooks have adopted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Korean for grown-up foreign learn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hildren have low school records due to the lack of school Korean and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e, desirable textbooks for the children of multicutural families should not only contain knowledge and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deal with diverse topics of other school subjects and various cultures of the world.

      • KCI등재

        유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최권진(Choi, Gwon Jin)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2 No.-

        유머는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활용하는 언어 행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어로서의(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는 그 활용과 연구가 미진하다. 특히 교실에서 의도적인 수준에서 거의 교육 자료로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유머가 한국어교육이 진행되는 교실 수업에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머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유머의 개념과 교육학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실 수업에서 유머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실제를 보이도록 하겠다. 유머는 남을 웃기거나 즐겁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웃음 유발 장치를 갖춘 언어 표현이다. 하지만 유머가 소통되고 공유되기 위해서는 유머 텍스트가 존재해야 하며, 발화자와 수용자 사이에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가 상호작용하여야 한다. 적절히 활용되는 유머는 한국어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육 도구가 될 수 있는데, 유머가 건강한 학습 환경을 증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머가 체계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면 교실의 무질서, 혼란, 비생산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 유머는 매일매일 벌어지는 사회 상호활동의 일부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도 유머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머도 영화, 드라마, 문학작품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교육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유머가 교육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의 목적, 텍스트의 유형 및 선정기준, 유머의 내용과 소재, 유머를 활용한 수업 활동, 유머의 교육 대상 등이 먼저 활용의 원칙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유머는 ‘자료 수집⇒선별⇒정치화⇒객관화⇒시범 사용⇒완성’의 단계를 거치며 수정되고 보완되면서 하나의 교육 자료로 완성된다. 이 과정을 거쳐 교육 목적에 맞게 다듬어진 하나의 유머 텍스트는 ‘제목⇒유머 텍스트⇒어휘 활동⇒문법 활동⇒내용 확인⇒확장 활동⇒부록’의 순서로 교수되고 학습된다. Humor is a language act which all the human beings using a language take in daily life. For all that, the circle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its use and done little research on it.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device to make humor into teach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in classroom less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humor, and shows a practical device to lead classroom lessons by using humor as teaching material. Humor is a form of linguistic expression equipped with laughter-triggering apparatus that is created intentionally to make others smile or feel happy. A humor text must be present, and verbal elements and non-verbal elements must interact in order for humor to be communicated and shared. As humor promotes a healthy atmosphere for education, a properly used humor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not used systematically, humor may cause disorder, disorganization and nonproductiveness. As humor is part of daily social interaction in the actual language lif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must be able to understand and express humor. So humor, just like movies, dramas and literary works, is to constitute a par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of learning, types of humor texts and their selecting criteria, contents of humor texts, classroom activities for using humor, target learners of teaching humor and the like must be specified in advance so that a humor text can be used in education. A humor text is devised as a teaching material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collecting raw material ⇒ selection ⇒ elaboration ⇒ objectification ⇒ sample use ⇒ completion’. Via this process the devised humor text is presented to learners and taught in the following order; ‘title ⇒ humor text ⇒ vocabulary buildup ⇒ checking grammar ⇒ checking comprehension ⇒ tasks for further activities ⇒ supplement’.

      • KCI등재

        시조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시도

        최권진 ( Choi Gwon J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6 No.-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 시가인 시조를 단순히 내용을 감상하고 문학적 가치를 교육하는 차원을 넘어서 창의적인 글쓰기의 제재로 활용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조의 문학적 가치와 교육학적 가치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도입-전개-활동-확장’의 단계로 구안되었다. 도입 단계에서는 시조의 역사, 형식적 특징과 내용을 중심으로 시조의 개염을 살펴보았다. 전개 단계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도록 했다. 이 연구의 중심인 활동 단계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시조에 대한 자신의 지식, 한국어 구사력, 그리고 문학적 창의력을 활용하여 시조를 창작했다. 확장 단계에서는 시조와 학습자의 모국어로 된 전통 시가를 비교하는 상호문화 활동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토되고 도출된 내용이 융합되어 시조를 활용한 창의적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한국어 학습자가 시조를 즐기면서 짓는 활동의 범위가 국내외에서 확대될 것이며 학습자의 창의력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utilize sijos,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for creative writing, well beyond enjoying its content and educating its literary valu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literary and pedagogical values ​​of sijo were examined. And then a teaching plan that could be used in Korean-language classrooms was presented, as the stages of 'introduction - development - activity - expansion' were designed in the teaching process. In the 'introduction' stage the concept of sijo was reviewed, based on the history, formal features and contents of sijo. At the 'development' stage Korean-language learners tri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contents of classic pieces of sijo and modern ones. In the ‘activity’ stage, which is the core of this study, Korean-language learners created sijos by exerting their knowledge of sijos, their ability to speak Korean, and their literary creativity. In the 'expansion' stage cross-cult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present sijos and traditional poems i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f the creative education using sijos is achieved by synthesizing the implications reviewed and derived in this study, the scope of activities of Korean-language learners to enjoy and create Sijo through Korean learners will be expanded at home and abroad, and the learners’ creativity is expected to increase.

      • KCI등재후보
      • The Traditional Bulgarian Universe

        최권진(Choi, Gwon-j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1

        이 논문은 불가리아의 전래 동화, 신화, 전설, 이야기, 민요, 전래 풍습 속에 나타난 신화적 세계를 살펴봄으로써 불가리아인들의 정신적 핵심과 세계관(우주관)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불가리아 문화와 불가리아 사람들의 정신 구조와 그 기본 바탕을 이해하는 것은 외국어 교수에 꼭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하늘, 해, 달, 별, 땅 그리고 우주목(宇宙木)에 대한 불가리아인들의 전통적인 관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하늘에는 신(하느님)이 천사와 함께 살고 있으며, 그곳에 천국이 있다고 믿었다. 태양, 달, 별들은 하늘의 제일 아래층에 향로처럼 달려있다. 태양은 슬라브민족들 사이에서 깊은 숭배의 대상들 중 하나였다. 해는 많은 인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아버지 없이 어머니, 자매들(별들과 달)과 산다. 또한 해는 인간적 약점도 가지고 있어, 화도 내며, 결혼도 하며, 슬퍼하기도 하며, 명예를 추구한다. 교회 성화에서 태양은 자주 남자 얼굴 또는 물소, 황소, 양, 수탉으로 묘사된다. 해의 가장 큰 적은 뱀으로, 뱀이 태양을 먹어서 일식이 생긴다고 믿는다. 달도 사람들 사이에서 커다란 숭배의 대상이다. 달은 남성보다는 더 자주 여성으로 여겨진다. 달은 의식(儀式), 풍습, 출산, 결혼, 병치료 등에서 역할을 한다. 옛 불가리아인들은 별은 하늘에 달린 작은 꽃다발이라고 여겼다. 불가리아인들과 모든 슬라브인들은 새로 출생한 모든 아이에게는 자신의 별이 있다고 믿는다. 땅은 동반자인 악마의 열렬한 도움을 받아 신(하느님)에 의해 창조되었다. 땅은 처음에는 아주 평평하고 반듯했지만 후에 커졌다. 땅은 수탉, 거북이, 황소, 뱀, 늙은 맹인의 쇠스랑, 네 마리 독수리의 날개, 두 성인의 엄지손가락 또는 신의 어께 위에 걸쳐져 지탱된다고 전통적으로 믿는다. 불가리아 사람들과 다른 슬라브 사람들은 땅이 신성하고 청결하다고 믿는다. 토지는 생산의 여신으로 존경된다. 우주목에 대한 모티브는 불가리아 전래동화에서 자주 발견된다. 우주목의 역할은 참나무, 단풍나무, 호도나무, 소나무, 그리고 드물게 편백나무, 느릅나무, 포도나무가 수행한다. 불가리아 전래 이야기에서 보이는 꼭대기에 독수리가 앉아 있는 참나무 이미지는 우주목의 전형이다. 불가리아 전통에 따르면 수백년된 이런 나무들과 가지들은 꺾거나 자르면 안된다. 불가리아인들의 우주관의 핵심은 우주의 질서와 인관관계의 질서를 지키 는 것이다. 불가리아 사람들의 우주관의 큰 특징은 비기독교적 요소와 기독교적인 요소가 상호 조화를 이루어 공존한다는데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mythical world of traditional Bulgarian fairy tales, myths, legends, folk narratives, folk songs and ethnographical customs and to understand the spiritual core of the Bulgarians and Bulgarian's view of the world (cosmos). In a foreign language teaching it is a necessary step to understand the spiritual structure an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Bulgarian culture and the Bulgarian people. Reviewed are the traditional Bulgarian outlook on the sky (heaven), the sun, the moon, the stars, the land (earth) and the Abor Mundi. It is a traditional belief that in the heaven lives the God together with the angels and that there is the Paradise. The sun, the moon, the stars are hanged like incense burners on the lowest tier of the sky. The sun was an object of deep respect among the Slavs. The sun has many human features. He lives together with his mother, with no father, with his sisters, i.e., the stars and the moon. He has quite a many human weakness; he gets angry, wants to be married, becomes sad, and looks for fame. Very often in church wall paintings the sun is depicted as a face of a man and very often as a buffalo, an ox, a ram or a cock. The major enemy of the sun is the snake. It is believed that the snake swallows the sun and causes the solar eclipses. The moon also is an object of great respect among the people. The moon much frequently is believed to be a female being than a male being. The moon takes a role in rituals, customs, childbirth, marriage and curing serous diseases. The stars are, according the ancient people, nosegays in the sky. It is a common belief among the Bulgarians and the whole Slavic world that every newborn baby has his own star. The earth is created by the God with an active cooperation of the Devil as his partner. At the beginning the earth was completely even and flat, but it enlarged. Many traditional beliefs say that it holds itself upon a cock, a turtle, an ox, a snake, or upon a pitchfork of a blind old man, the wings of four angels, the thumbs of two saints, or upon the arms of the God. The sanctity and the purity of the land is a well-known notion among the Bulgarians and also among the other Slavs. The earth is respected as a goddess of fertility. The motif for the cosmic tree is quite often met in Bulgarian folk tales. The role of the abor mundi is fulfilled by an oak, a maple, a nut-tree, a pine tree, and less often by a cypress, an elm or a grapevine. The image of an oak with an eagle on its top which is found in Bulgarian folk narratives is the prototype of the abor mundi. The Bulgarian tradition forbids strictly those century-old trees to be chopped or even their branches to be cut. The kernel of the Bulgarian myth is connected with the harmon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order of the universe. On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Bulgarian worldview is that ancient pagan elements and Christian elements coexist in mutual harmony.

      • KCI등재

        일반논문 : 암시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의 모색

        김소영 ( So Young Kim ),최권진 ( Gwon Jin Cho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암시교수법을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에 적용하는 교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국내외를 통틀어 한국어 교육에 암시교수법을 적용하는방법을 모색하는 첫 번째 시도이다. 연구자들은 불가리아 정신병리학 의사인 게오르기 로자노프에 의해 주창된 암시교수법의 이론을 검토했다. 그리고 암시교수법의 기본 학습 이론, 즉 암시, 요가, 음악, 교사의 권위, 학습자의 아동화, 양면성 그리고 음악의 사용을 살펴보았다. 이후 암시교수법을 제2언어/외국어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실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This is an attempt to apply suggestopedia to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s a second/foreign language. This research is evidently the first try to adapt suggestopedia method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The authors examined the theory of suggestopedia brought up by the Bulgarian psychopathologist Georgi Lozanov. They inquired into the basic learning theory of suggestopedia, i.e., suggestion, yoga, music, teacher`s authority, infantilization, double-planedness and the use of music. The authors then have made up a sample of a teaching plan by applying suggestopedia to a class to teach Korean as a second/foreig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