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대중생활상식에 나타난 질병대처 및 건강관리와 그 의미

        최경,전주람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examined how North Koreans deal with disease and how to do health care. Two books of public life common sense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the in-depth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r 1 months from February 2020 with 4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disease treatment and health care listed in the book, interviewed North Korean migrant women in depth, and analyzed how disease treatment and health care were in North Korean society. As a result, North Korea’s disease and health treatment methods were found in three subcategories: ‘using alternative treatment at home’, ‘healthcare and promotion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animals and plants’, and ‘healing through vital relationships and fo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onduct objective analysis such as the testimony of North Korean migrant residents and the study of books published in the North to discover the meaning of common sense on the disease and health therapy taking place in the North, thus forming a discourse to predict cultural conflicts.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사람들이 질병을 대처하는 방식과 건강관리에 관한 인식이 어떠한지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북한에서 출간되어 통일부에 비치된 『대중생활상식』 문헌 두 권에 수록된 질병대처와 건강관리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고, 2020년 2월 집단심층면담(FGI)방법을 활용하여 북한이주여성 4명을 심층면담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질병대처 및 건강관리에 관한 내용으로는 ‘가정생활에서 대체요법의 적극적 활용’, ‘동식물의 자연재료를 활용한 건강관리 및 증진’, ‘활력있는 인간관계와 음식을 통한 치유’ 세 가지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위 상식과 몇몇 북한이주민들의 증언을 통해 상식의 내용과 의미를 발견해내고자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북한 사회에서 질병 및 건강대처법에 관한 이해를 통해 문화의 충돌을 예견하고 접점지대를 찾아나가기 위한 담론을 형성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최경,박광우,김혁진,이재동,구자춘,황성수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1

        Anatomical features of both leaves and stems of the four mistletoes in Korea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rthalsella japonica, Loranthus yadoriki, L. tanaka) and of their secondary haustorial structure within several host plant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four mistletoes, there were diagnostic characters of the anatomy of leaves and stems which enabled us to distinguish the four taxa. Leaves were observed to have three distinct characters including unifacial or bifacial leaves, the number of vascular bundles in the midveins,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sclerenchyma cells. There were four diagnostic characters of stems: overall morphology of stems in transverse view, degree of cuticle development, arrangement of vascular bundles, and features of the sclerenchyma and pith. In order to determine secondary haustorial trait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seven host plants of L. yadoriki and on the five host plants of K. japonica. The following featur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sence or absence of an aerial runner root, the shape of the haustorial strand and flange, the degree of penetration into host tissues, and their development of shaft in transverse view, the development both of secondary haustorial cells and short tracheid in hyphae. Korthalsella japonica and L. yadorki were clearly distinguished by these characters. The secondary haustorial forms in each host were somewhat different, due to varying degrees of development in the strength of the host plants’ wood. However, qualitative characters like the final position of the secondary haustorial penetration into host tissues and the development of short tracheid cells were not only affected by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host plants, but also useful for the systematic study. 한국에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4종, 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등에 대해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주식물별 2차 흡기구조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한국산 겨우살이과 4 분류군을 종과 속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잎에서는 향축면과 배축 면의 축, 중앙맥에 발달된 유관속 형태, 후벽세포의 발달 여부 등이, 줄기에서는 횡단면에서 줄기의 전체적인 형태, 큐 티클층의 발달 정도, 유관속의 배열, 후벽세포와 수의 발달 여부 등이 표징형질로 조사되었다. 기주별 2차 흡 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에서 각각 7종류 및 5종류의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지 상부 흡기 발달 정도, 종단면에서 2차 흡기의 모양과 플랜지 발달 여부, 기주내 침투 지역과 흡기 축의 발달 여부, 2 차 흡기에서 흡기세포의 위치와 짧은 흡기 가도관의 발달 여부 등 형질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에서 참나무겨우 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편, 기주식물의 강도와 흡기의 발달 정도에 따라 2차 흡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기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침투 지역, 흡기 짧은 가도관 세포의 발달 등 정성적인 형 질들은 기주와 발달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여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이동 네트워크(NEMO)에서 HMIPv6를 적용한 AAA 인증 방안 연구

        최경,김미희,채기준,Choi, Kyung,Kim, Mi-Hui,Chae, Ki-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6 No.2

        Mobile IPv6는 시그널 양이 단말과 비례한다는 점에서 대역폭 낭비가 심하며 또한, 무선 이동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바인딩 시그널 양과 트래픽, 효과적인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점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Mobile IPv6를 확장한 NEMO(NEtwork MObility)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NEMO는 여러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이동 라우터를 이동 네트워크라는 단위로 묶어 이동성을 제공한다. 이때 노드들은 이동 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때문에 이동 시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는 투명성을 제공받고, 그만큼 바인딩 시그널이 줄어 바인딩 스톰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NEMO는 이동성 지원을 통해 여러 네트워크들이 계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이동 구조를 갖게 되고, 이동 시 상위 네트워크 혹은 하위 네트워크들 간의 인증을 통해 안전성과 보안성을 향상되어야 함이 필수적이다. 또한, 안전한 인증 뿐만 아니라 빠른 핸드오프가 이루어져서 이동성에 따라 수반되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NEMO 이동 시나리오를 7가지로 정리하고, 각 시나리오별 AAA인증과 F+HMIPv6를 적용하여 안전한 인증과 빠른 핸드오프를 통한 인증 및 핸드오프 시 발생하는 시그널링 양과 패킷 지연률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Mobile IPv6 spends considerable bandwidth considering that its signal volume is proportional to the mobile and also it should be strengthened to support the binding signal volume, the traffic, and effective mobility. So, the study in NEMO(Network Mobility), an extended version of Mobile IPv6, has been conducted. NEMO provides its mobility by putting several mobiles and more than one portable router into one unit called as mobile network. Because nodes access Internet via the portable router at this time, it receives transparency without any additional work and that much reduces binding signal while solving binding storm. By supporting mobility, NEMO is able to have various mobile structures which realize several networks hierarchicall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safety and security by authenticating among the upper networks or the lower ones while moving. Also, it is extremely required to begin a study in the device to improve efficiency accompanied with mobility, which is executed by the fast hand-off as well as the safe authentication. For those reasons, this paper not only classifies various NEMO mobile scenarios into 7 ways, but also provides AAA authentication of each scenario, the authentication through the safety authentication and fast handoff authentication using F+HMIPv6 and the way to reduce both signaling volume and packet delays efficiently during the hando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