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上代神名의 借音表記

        崔建植(최건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9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aspects of 164 Chinese characters used in Ancient literature for transcribing Japanese Gods" names by means of pronunciations. Previous studies tend to exclude proper names such as Gods" nam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different from common nouns.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e way of transcribing Japanese Gods" names in homophonic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that of other nouns found in Ancient Japanese literature. The reason for the same way of transcribing common and proper nouns is that the same principle was applied to all the transcriptions in the ancient literature such as Ki and Shoki in the early eighth century. This study analyses the ratio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commonly found in both Gods" names and people"s names. The most popular pattern is Ryakuon-gana, which is followed by Rengō-gana and Nigō-gana: Ryakuon-gana, a new pattern of transcription, began to be dramatically and widely used, compared to Rengō-gana and Nigō-gana, old patterns of transcription. The ratio is higher in Ki than in Shoki since using Chinese characters for meaning as well as for pronunciation is common in Ki, where there are noteworthily the same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for both their meaning and pronunciation.

      • KCI우수등재

        아동 사고에 있어서 중심개념구조의 본질과 그 발달

        최건수(崔健壽) 한국교육학회 1998 敎育學硏究 Vol.36 No.2

        신 Piaget 이론가인 Case에 의하면, 연령에 따른 생득적인 정보처리용량 이외에도 문화적 경험에 따르는 특정 개념의 이해가 아동의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세기선 (counting line) 이라는 개념적 표상체제는 아동의 양적 사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심 개념구조 (central conceptual structures) 라고 간주된다. 지금까지 양적 사고를 포함하여 사회적 인지, 공간적 인지 등 세 영역에서 중심개념구조의 존재가 경험적으로 입증되었고, 최근에는 청소년의 사고에서 중심개념구조의 존재와 그 발달이 연구되고 있으며, 또한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문화간 연구를 통해서도 중심개념구조의 가정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 아동들을 대상으로 중심개념구조의 발달현상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 사고 및 사회적 사고에서 중심개념구조에 관한 여러 가정과 연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소장 이병창컬렉션 <白磁靑畵龍樽>에 관하여

        최건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4

        The Museum of Oriental Ceramics in Osaka, Japan, opened a permanent exhibition hall for the Yi Byeong- chang Collection of Korean Pottery, a collection of 301 Korean and 50 Chinese ceramic works donated by a Korean collector Yi Byeong-chang. None of these 351 ceramic works of the Yi Byeong-chang Collection lacks significance regarding art history. The collection seems to be guided by The Selected Works of Korean Art (韓國美術蒐選, 1978) of which the White Porcelain Wine cup with Iron Design (白磁鐵彩樽) features a fantastic design marked by the red ochre painted upon the vessel's lower part represent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in the 16th century, revealing the multiple aesthetic traits of the white porcelain ware of Joseon. The two Blue-and-White Porcelain Dragon Wine Cups (白磁靑畵龍樽), one large and the other small, also exhibit unique elements that make them different from other ritual vessels of the same category used for wine offering. The Blue-and-White Dragon Wine Cup I, for instance, features a dragon with a small, elegant body (27cm in height) with a majestic face and a fine complex of subordinate decorative designs while the larger vessel, the Blue-and-White Dragon Wine Cup II, has a tall body (60㎝) decorated with the “seven treasures” and “longevity stones”, exhibiting unique features tha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ritual vessels of the royal court of Joseon. These two ritual vessels surely retain the elements shared by other blue-and-white porcelain dragon vessels made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which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the cloud and dragon design. These particular ceramic vessels display unique features that make them belong to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es, representing the new elements of the blue-and-white porcelain dragon wine cups made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two dragon vessels contained in the Yi Byeong-chang Collection are generally believed to have come from some Japanese private collections. There is only one dragon wine cup known so far among the vessels made before the Imjin Waeran, a seven-year war between Korea and Japan started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re would appear any one. If the two dragon cups donated by Yi Byeong-chang can be profitably exploited with respect to the effort to find the genealogy and development of white porcelain dragon wine cups of Joseon and change people's awareness of the ritual vessels, they can lead to the discovery of new dragon vessels. 1999년 3월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은 한국도자 301점과 중국도자 50점을 기증한 이병창박사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이병창컬렉션 한국도자실’ 상설전시의 문을 열었다. 이병창박사의 수집품 350여점 가운데 어느 것 하나 의미 없는 것은 없다. 아마도 수집 과정에 기획, 출판한 『韓國美術蒐選(1978년)』이 수집의 좌표로 작용하였고 그대로 실천했을 것이다. 그 가운데 <白磁鐵彩樽>은 조선전기 16세기의 조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白樽>의 하반신에 석간주를 일정하게 바른 기상천외한 발상으로 조선백자의 다중적인 조형정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생각된다. <白磁靑畵龍樽> 대형, 소형 두 점 역시 기존에 국내외에서 알려진 용준들과 비교할 때 특별한 점들이 눈에 띠고 있다. 높이 27㎝에 이르는 소형 <백자청화용준Ⅰ>은 크기는 작지만 준수한 몸매와 위엄 있는 용의 얼굴 모습, 주변 문양 요소의 결합 상태 등에서 다른 용준과 분명한 차이점을 볼 수 있으며, 높이 60㎝에 육박하는 대형 <백자청화용준Ⅱ>도 기존에 알려져 있는 용준에서 볼 수 없던 七寶와 壽石을 그려 넣은 유일한 예로서 보수성이 강한 王室 儀器의 전통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점 용준은 조선후기 17·18세기의 청화백자 용준의 큰 흐름 안에서 포함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용준 가운데 특히 해당시대 용준제작의 기준으로 작용했을 대형의 쌍용준은 십 수 점에 달하고 있으며 樽의 형태와 雲龍圖의 특징을 기준으로 크게 네 가지 계통으로 분류되는데 이 두 점의 용준들은 제1형식과 제2형식에 포함되면서 각각 독자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서 17~18세기 전기 청화백자 용준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병창박사 컬렉션의 용준 두 점은 일본 개인소장품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전기, 임진란 이전에 제작된 용준은 일본에 있는 공개된 한 점 외에 새로운 것은 없으며 국내에서 공개될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병창박사가 기증한 용준 두 점이 조선백자용준의 계보와 전개를 규명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자료로 활용되고 용준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온다면 새로운 용준의 발굴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