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달의 과학자-수학연구로 과학기술발전에 공헌 포항공과대 수학과 최희준 교수

        최희준,Choe, Hui-Ju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5 과학과 기술 Vol.28 No.1

        「이달의 과학자」로 선정된 최희준교수는 물리현상 및 공학현상의 수학적 모델인 포물선형 편미분방정식과 변분부등식 해의 행태 등의 연구로 과학기술분야의 균형적 발전에 큰 공을 세웠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 119 구급대원, 기계식 흉부압박기의 각 그룹이 평지 및 이송중인 구급차에서 실시한 흉부압박의 질 비교

        최용준,박대성,최용준,이원석,하원선,정준영 대한응급의학회 200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0 No.4

        Purpose: In an emergency, the quality of CPR prior to hospital arrival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for the survival of victims. We want to know differences in chest compression quality performed by groups that have variant experiences of CPR, and automatic CPR machine on the floor, or in an ambulance moving at 40 km/hr, or at 80 km/hr. Methods: We analysed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of each group, and that performed on the floor, in an ambulance moving as 40 km/hr, and at 80 km/hr. We measured the following factors: mean compression depth; mean compression rate; exact performance percentile; and the compression error through too deep, too weak, wrong compression location, and no full recoil. Results: In the student-nurse group,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performed on the floor was better than that performed in a moving ambulance. In 119 member group, chest compression performed in an ambulance moving as 40 km/hr was better than that performed in an ambulance moving at 80 km/hr. The use of an automatic CPR machin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hest compression quality in all circumstances. In comparing each group, compression quality of the 119 member group and the automatic CPR machine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the student nurses. Conclusion: In the group with real CPR experie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hest compression performed on the floor and that performed moving at 40 km/hr. Chest compression performed moving as 40 km/hr is better than that performed moving at 80km/hr. In the group without CPR experience, chest compression performed on the floor is better than that performed in a moving ambulance.

      • KCI등재

        10km 달리기가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최석준,김선호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최석준, 김선호. 10㎞ 달리기가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165-175, 2002. 10㎞ 달리기가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거리 발리기 선수 남(16명)·여(8명)선수 총 24명을 대상으로 10㎞를 5.35m/sec∼5.6m/sec의 속도로 달리도록 하여 운동전·후·회복기에 프로락틴(prolactin; PRL), 황체형성호르몬(luteinzing hormone; LH),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에스트라디올(estradiol)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Prolactin 농도는 두 집단 모두 운동직후에 유의하게 증가(p<0.01)하다가 회복기에 점차적으로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집단간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LH 농도는 두 집단 모두 운동직후에 증가하다가 회복기에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채혈시점에서 여성운동군이 남성운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FSH 농도는 남성운동군에서는 운동과 함께 증가, 여성운동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간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Estradiol 농도는 두 집단 모두 운동직후에 증가하다가 회복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여성운동군에서만 운동직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모든 채혈시점에서 여성운동군이 남성운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즉, 이는 고도로 단련된 달리기 선수들도 10㎞ 달리기 운동 후에 정상적인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Choi, SJ,, Kim, S.H Effect of Hypothalamic-Pituitary-Gonadal-Axis on 10㎞ running. Exercise Science, 11(1): 165-175, 200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prolactin, LH, FSH, estradiol on 10㎞ running. Twenty-four young long distance runners, men groups(n=16) and women groups(n=6)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trained with running over 20㎞s every day for 3 to 4 years. And the change of prolactin, LH, FSH, estradiol have been measured 3 times, before, immediately, and 30mins recovery period each after a 10㎞ running at 5.35m/sec∼5.65m/sec.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were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1. The concentration of prolact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immediately and it began to decrease at rest level after 30mins recovery of both men and women's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running groups in before, immediately, recovery period. 2. The concentration of LH was decreased at 30mins recovery after increasing at exercise immediately of both men and women's groups. But, the LH level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wmen's group than in the men's group at befoore, immediately, recovery period. 3. The concentration of FSH was increased at men's group after running but decreased at women's group after runn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4. The concentration of estradiol, both groups showed a case of increasing after running immediately after and decreasing at recovery period.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running immediately in women's group. Also, women's group was higher significantly than men's group at all the blood sampling time. These result identified that the HPGA function is normally maintained after long distance.

      • KCI등재

        노인과 성인의 단일 근섬유 아형에 따른 수축 특성과 형태의 비교

        최승준,임재영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3

        최승준, 임재영. 노인과 성인의 단일 근섬유 아형에 따른 수축 특성과 형태의 비교. 운동과학, 제21권 제3호. 309-318, 2012.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한 근기능의 저하는 근육량 감소와 더불어 근신경계의 기능부전 등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단일 근섬유의 본질적 수축력에 대한 노화의 효과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노화로 인한 단일 근섬유의 질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노인의 골격근을 단일 근섬유로 분리한 뒤, 수축 특성과 횡단면적을 MHC의 발현 유형에 따라 일반 성인의 골격근과 비교하였다. 근생검법을 이용하여 성인 10명(25±2세)과 노인 8명(78±2세)의 외측 광근으로부터 근육표본을 추출한 뒤, 이완 용액에서 손상되지 않게 종단면으로 분리한 후, 분리용액에서 24시간 배양(4 °C)하였다. 배양 후 근막구조가 제거된 근다발로부터 단일 근섬유를 분리하여 실험 장치(등척성 근력 측정기와 고속 모터)에 고정하고 일정한 근절길이(2.6 um)를 유지하여, 근섬유 길이와 횡단면적을 측정하였다. 활성용액(pCa4.5)을 사용하여 근섬유를 최대 수축시킨 후 slack검사를 통하여 최대 수축력과 최대 수축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완료된 단일 근섬유 절편은 SDS-PAGE를 이용하여 MHC의 아형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노인의 type I 근섬유는 일반 성인의 동일아형 근섬유와 비교하였을 때 횡단면적과 최대 수축력(mN)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p< .05). 하지만 횡단면적으로 표준화된 수축력(kN/m2)에서 이러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ype IIa 그리고 type IIa/IIx 근섬유에서는 연령에 따른 횡단면적과 최대수축력(mN), 그리고 표준화된 수축력(kN/m2)에서 연령 간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섬유의 횡단면적과 근력생성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 결과에서도, 두 연령 그룹 모두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p< .001),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흥분-수축 결합을 배제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수축력은, type I 근섬유의 형태학적 보상효과와 더불어 노화와 관계없이 유지됨을 증명한다. 따라서 노화에 따른 근기능 저하는 근육 세포의 질적 퇴화보다는, 주로 근육 세포수 감소와 같은 양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Choi, S. J., Lim, J. Y. Age-related changes in contractile properties and morphology on chemically skinned single fibers from young and old human skeletal muscles. Exercise Science. 21(3): 309-318, 2012. Studies using human model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on the intrinsic contractile properties of single muscle fiber. To extensively test aging effect on the innate myofilament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functional assay of chemically skinned vastus lateralis muscle fiber(15 °C) were investigated from young(25±2 yrs) and old(78±2 yrs) healthy human subjects(N=10 and 8 for young, and old respectively). Fiber cross sectional area (CSA) was measured by 3 dimensional microscopy, peak Ca2+-activated force and maximal shortening velocity (Vo) were measured by slack test procedure. Fiber myosin heavy chain (MHC) isoform was determined by gel electrophoresis and silver staining. Single muscle fiber assays showed fiber CSA and maximal Ca2+-activated force(mN) in old adults type I fiber were 15 % bigger and 18 % greater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MHC isoform fibers from young adults(p< .05). However, specific force (maximal Ca2+-activated force normalized by fiber CSA, kN/m2) of type I fiber was identical between age group, which suggested that the greater Ca2+-activated force (mN) of type I fiber is resulted from the bigger fiber CSA. Otherwise, type IIa and IIa/IIx fibers showed no difference on fiber CSA and Po between age groups. There is no difference on shortening velocity in type I and IIa fibers between young and old, type IIa/IIx fiber in old adults showed substantially slower Vo than young adults type IIa/IIx fibers (33 %, p< .05), Linear regression modeling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fiber CSA and force generating ability showed strong direct relationship (p< .001) with no aging effect. Therefore, our result indicated maintained contractile properties of myofilament lattice regardless of age. Collectively, the declines of the muscular strength with aging appeared to be due to the quantitative reduction rather than qualitative impairment of single muscle fi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