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2년 이후의 한일 문화교류와 민족주의의 행로

        천정환(Cheon, Jeong-Hw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8 No.-

        일제에 의한 식민지 경험은 일본 문화에 대한 한국인의 양가적 반응을 초래했다. 해방 이후에도 한국은 일본 문화의 지대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일 민족주의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그것을 거부해왔다. 이러 한 역설적인 상황은 ‘청산되지 않은 식민성’이 작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 민족주의는 일본 문화에 대한 표면적인 봉쇄를 통해 ‘은밀한 모방과 중역(重譯)’의 문화를 초래하기도 했다. 1980년대까지 이어진 이러한 상황은 1990년대 이후 종식된다. 한일 관계는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한류’와 ‘일류(日流, Japan wave)’라는 두 단어가 그러한 오늘의 상황을 압축적으로 표현한다. 이는 한국 민족주의가 일본과의 관계 속에서 처할 수밖에 없었던 문화적 역설의 새로운 국면을 이룬다. 여성·청소년과 마니아 등 오늘날 문화 수용 주체 중의 일부는 국가·민족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심성, 또는 전통과 같은 요인으로부터 탈주하고 있다. 일본 문화에 열중하는 그들은 한국 주류문화의 억압성과 지배이데올로기인 민족주의를 우회한다. 그동력은 향유에 대한 개인주의적인, 그리고 마니아적인 추구이다. 그러나 이 우회는 완벽할 수 없다. 민족주의 자체도 이성을 뛰어넘는다는 점에서 향유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저지선이기 때문이다. 민족주의도 향유에 엉켜들 수 있음을 월드컵응원은 보여준 바 있다. 한일 양국의 민족주의는 지극히 상호적인 관계에 놓여 전개되어왔고 앞으로도 그럴 수밖에 없다. 그래서 양국의 높아진 문화적 유사성은 문화적 역설을 초래하는 정치적 ‘현실’에 따라 유동할 전망이다. 이는 다시금 정치와 문화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를 일깨워준다. The experience of colonial period (1910-45) made Koreans to react ambivalently against Japanese culture. Even after liberation, Korea could not help being under the Japanese cultural influence, however, on the surface, it has refused the influence due to anti-Japanese nationalism. This paradoxical situation came from coloniality that has not yet purged. Especially, even after Korean-Japanese diplomatic relation normalization, Korean nationalism had contained Japanese culture from spreading, and ended up with ‘the culture of covert imitation and secondhand translation.’ The double-faced blockade against Japanese culture has lasted until the 1980’s, and ceased in the 1990’s.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two nations changed fairly after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 ‘The Korean Wave’ in Japan and ‘the Japanese Wave’ in Korea symbolically re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These cultural waves constitute a brand-new paradoxical situation which the Korean nationalism is situa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Japan. Meanwhile, Some cultural receivers like women, youth, and manias in Korea are escaping from the dominant nationalistic ideology, mind-set or tradition. People who are engrossed in Japanese culture try to avoid suppression of the mainstream society and nationalism as a ruling ideology. Their motives come from individualistic and maniac pleasure, but they cannot succeed fleeing from the nationalism, because nationalism hinders the escapers with its irrationality. Nationalism itself is a kind of maniac enjoyment. Nationalistic group behavior can be mingled into pleasure as seen in ‘Red devils syndrome’ in the 2002 World Cup. The nationalism of both Korea and Japan has interacted from their early development and have to go same way further. So cultural resemblance between the two nations which became more similar after 2000’s will fluctuate by the political ‘reality’ which causes cultural paradox. Again,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Japan reminds the fact that politics and culture is so intertwined.

      • KCI등재

        창비와 ‘신경숙’이 만났을 때

        천정환(Cheon Jung-Hwan) 역사비평사 2015 역사비평 Vol.- No.112

        In mid-2015, the Korean literary field became embroiled in a major controversy brought on by the recent plagiarism scandal surrounding Shin Kyung Sook. More important than the issue of plagiarism, however, is that this controversy provides a ripe opportunity to re-examine not just Shin’s novels, which is representative of 1990s Korean literature, but also the core ideology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led by private publishers, represented namely by Changbi and Munhak Dongne, and an elite circle of professional literary critics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I will show how this problematic can be traced back to Paik Nak-chong’s initial assessment of Shin Kyung-sook’s 1995 novel The Lone Room. This paper, thus, proposes to explore the Korean literary and cultural field of the 1980s and 1990s and to re-evaluate this important period in Korean and global history that experienced the fall of the Socialist movement worldwide and post-1987 democratization and liberalization in South Korea. Furthermore, aside from the fundamental ideological changes, these two decades ushered in changes in popular media culture, advanced women’s literature and feminism.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학의 근대성과 로컬리티 ; 지역성과 문화정치의구조 -근대화 연대의 문화정책과 지역성의 재편-

        천정환 ( Jung Huan Cheon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4 No.-

        이 글의 목적은 현대 한국사회를 규정해온 지역성과 문화정치의 상관 구조를 읽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의 문화-정치의 한 국면을 표현하는 로컬리티 개념의 사용이 문제가 있음을 우선 지적하고, 1960년대 이래의 중앙(서울)과 지역 간 관계 구조, 또 그러한 구조를 형성하게 하는 정부의 문화정책에 주목했다. 해방 이후 국민국가로서의 대한민국(한국)과 그 문화가 포지한 지역성(지방성)은 식민지시기의 그것과 다른 위상을 갖게 된다. 한국 내부에서 형성되는 중앙성과 지역성, 그리고 그것에 강력한 영향을 행사한 외부적인 것의 관계는, 강력한 중앙정부의 구축과 그의 매개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그 매개작용은 근대화와 뗄 수 없는 관련을 갖고 있다. 이는 곧 박정희 정권에 의해 `한국문화`가 재구성되는 과정이었다. 중앙은 지역의 문화를 선별하여 `한국 문화`에 등재하고 불필요한 것은 지역과 `과거`에 그대로 남겼다. 전승에 성공한 지역의 문화는 `전통문화`로 다시 자리매김되고, `세계적인 것(서구적인 것)`과의 접촉과 변용에 의해 중심의 자리로 진입한 것은 새로운 대중문화로서 헤게모니를 가질 수 있었다. 여기에 미디어와 근대적 지식제도가 작용하여 `한국문화`는 함의와 외연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문화정치와 지역성의 구조는 깨어지고 있다. 지역적인 것은 `전통적인 것`, `민족적인 것`과 여전히 강박적으로 결부되기도 하지만, 이 요소의 작용은 이제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지역적인 것이 걸치고 있던 `낡은 것`, `전근대적인 것`의 가치도 탈락한다. 오늘날의 지역성은 내부적 근대화의 속도가 아니라 `세계화`의 속도가 빚는 차이를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structure of correlation between locality(regionality) and cultural politics, which has been determining the modern Korean society. The study begins withan argument that it is quite problematic to use the concept of `locality` to describe a dimension of cultural polit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n. Then it focuses upon the structure of relation between `the central(Seoul)` and `the locals (regionals)` as well as on the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since 1960`s. Since Korea became a national state after the Liberation, the implication of locality has changed. Korea`s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ity and the loc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the international) were determined by the establishment of a powerful central government, whose mediating role had a strong tie wit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during the Park Jung-hee`s administration that reconstructed the "Korean culture." `The central` sorted out some cultures of the local as `the Korean culture`, while regarding the remainders as belonging to the locals and `the past`. The local cultures that were successfully passed on were reappraised as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ose which took place at `the center` through transfiguration made possible by contacting the world-wide culture(Western culture), became new mass cultures. As the media and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were involved in this procedure, the implication and the scope of "the Korean culture" emerged. But the structure of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politics and the locality(regionality) that was formed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is collapsing. Though it seems still imperative to relate locality to `the traditional` and `the national`. the functions of the latter are now limited and thus partial. Locality(regionality) of today is now defined in regard to the speed of globalization, not by that of moder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천정환 ( Cheon Jung-hwan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6

        한국 노동소설은 `역사적` 양식으로서, 1920-30년대의 식민지 자본주의화, 해방기 노동자계급의 정치행동, 1960~90년대의 산업화·민주화를 맥락으로 삼고 각각 그 시대 `노동`과 노동하는 인간을 표현하고, 사회를 변혁하는 과제에 투여된 글쓰기다. 그래서 노동소설은 제한된 역사성을 넘는 보편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노동`과 문학(글쓰기)이 갖는 긴한 관계 때문이기도 하다. 이 논문의 주된 관심은 1980년대에서 21세시로 이어진 한국 노동소설들의 역사적 단속(斷續)이다. 1980-90년대 노동소설은 한국 민주화 과정의 급진주의 운동 그 중에서도 특히 진보적 휴머니즘이나 전투적 노동조합주의의 경험·윤리·세계관·이상을 표현하는 문예적 구성물이었다. 이제 `노동소설`이라는 개념(호명)조차 마치 화석처럼 겨우 발굴해내야 하는 단층과 깊은 절리(節理)로 돼 있지만, 한국에서의 `노동`과 `노동하는 인간`의 역사가 새겨진 사회적 물체다. 부침과 환각의 과정을 겪어내고 2010년대 한국 소설도 새롭게 `노동`을 재현하고 `노동`에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들을 `근대문학 종언` 이전의 정치적 계몽주의 문학과 등치하거나, 반대로 그 서사적 주체의 계기가 `투쟁하고 연대하는 20세기적 노동자_주체`에서 `고립되고 무능력해진 21세기적 노동자_비주체`로 단순히 이행한 것으로 대비하여 인식할 수는 없다. 새로운 정세에서 `노동`은 `사회적인 것`의 새로운 배치 속에서 다시 주요한 의제가 돼 가고 있다. Korean labor novels are `historical` forms. These novels have a context of colonial capitalism in the 1920~30s, political behavior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1960~90s. These writings intended to transform society, express `labor` and laboring people at that time. Thus, a labor novel can have a universality(?) that goes beyond the limited historicity. This is also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literature(writing).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Korean labor novels from the 1980s to the 21st century. Labor novels of the 1980~ 90s were literary compositions expressing the experiences, ethics, world views, ideals of progressive humanism and militant labor unionism among the radicalism movement of Korean democratization process. Now, even the concept of a `labor novel` is almost like a fossil which needs to be excavated and consists fault and a deep joint, but it is a social object engraved with the history of `labor` and `laboring human` in Korea.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ise and fall and hallucinating, Korean novels in 2010 also renewedly represent `labor` and connect to `labor`. However, these novels are not equivalent to the political enlightenment literature before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or on the contrary, it also can not be recognized as the narrative subject`s simple transition of `20th-century worker-subject in the struggle and solidarity` to `isolated and incompetent 21st century workers-non-subject`. In the new situation, `labor` is becoming the main agenda again in the new arrangement of `the social`.

      • KCI등재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2) - 『노동자의 이름으로』에 나타난 열사, 진정성 그리고 1990년대 -

        천정환 ( Cheon¸ Jung-hwan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이인휘의 『노동자의 이름으로』(2018)는 ‘노동소설의 노동소설’이라 불릴만하다. 이 소설은 민주노조운동의 ‘정치양식’으로서의 1980~90년대 노동소설의 세계관과 윤리, 서사문법과 형상성 등 미학적 요소를 집성하고 또 나름대로 갱신해서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1987년부터 지금까지, 한 세대를 건너 연속 또는 불연속 돼온 한국 노동운동을 돌아보는 내용을 갖고 있다. 이는 특히 현대자동차 노조 운동사를 배경으로 삼고, 1995년 부당해고에 맞서다 분신 자살한 현대자동차 노동자 양봉수 열사를 주인공으로 한 것이다. 알다시피 현대 자동차는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이며, 그 노조 또한 한국 노동운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지닌다. 회한과 슬픔의 정념을 가득 깔고 있는 이 소설은 왜 1990년대 노동운동과 ‘열사’를 주요한 소재로 삼았을까? 또 이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90년대 노동운동은 80년대적인 노동운동의 문화정치적 성격, 즉 전투적 노동조합주의로 상징되는 제반의 문화적 양식을 이어받으면서, 동시에 자유화ㆍ개인화ㆍ세계화ㆍ대중화로 요약될 수 있는 90년대 한국문화의 흐름과 길항해야 했다. 이같은 거시적인 맥락 하에서 이 소설은 노동운동에서의 ‘열사의 문화정치, ‘진정성 체제’와 노동의 관계 등을 보여주며, 90년대의 한국 노동계급의 문화적 형성과 분해의 과정을 걸었는지 보여준다. 이는 1980년대와 90년대에 대한 지배적인 시대 인식에 대해 다른 의식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90년대 노동운동 자체는 ‘진보’했지만 자유주의 헤게모니와 (대기업 중심) 기업 단위 노동조합운동의 한계 때문에 제한되고 방해받은 것이었다. 이처럼 이 소설을 통해 우리는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의 이행과 또 과도적 크로노토프의 문학ㆍ문화 연구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Lee In-hwi's In the Name of Laborer (2018), the most iconic work of the Korean labor novels. In political terms of the democratic labor union movement, the novel is a collection of aesthetic elements such as worldview or ethics, narrative structure, and figurativity of labor novels in both the 1980s and 1990s, and additionally is an updated version of them to the contemporary readers. The novel deals mainly with controversial issues of (dis)continuous Korean labor movements over one generation since 1987. In order to explore reflect such the history, the work is based on a true story of the Hyundai Motors union movement and casts in the lead role of the movement a Hyundai Motors worker, Yang Bongsoo, who fought against unfair dismissal and eventually committed suicide in 1995. The labor movement in the 1990s continues militant unionism―the cultural and political chracteristics of the 1980s labor movement. However, it has to be also in antagonism with the new currents of the 1990s emerging as liberalization, individualsim, globalization, and popularization in Korea. In this macroscopic context, the novel portrays ‘the cultural politics of labor movement marty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 ‘sincerity regime’ and labor, and the process of cultural format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Korean working class in the 1990s. These descriptions enables us to see things from another angle―not from the dominant view on the 1980s and 1990s. The 1990s labor movement unquestionably makes progress, but it turns out to have their limitations at the same time―under threat from liberalism-hegemony, it even changes into giant enterprise-dominated corporate-level labor union movement. Through Lee’s novel, accordingly, we can thoroughly investigate the remarkable transition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hich also serves as an example of transitional Chronotope in a study of literature/culture.

      • KCI등재

        제도로서의 독자 일제말기의 독서문화와 근대적 대중독자의 재구성(1) -일본어 책 읽기와 여성독자의 확장-

        천정환 ( Jung Hwan Che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This dissertation examines reading culture at the close of the Colonial Period and reformation of modern popular reader in Korea. Macroscopically the scale and aspects of Korean popular readers have magnified and grew and attained `modernity` from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1990`s continuously. Of course, it was not the process which was teleological or straightfoward as `formations-development-magnification`. It was constructive process containing bends and retrogression, also contigency. Korean people`s reading Japanese book under the total mobilization was also part of that constructive history. Japanese imperialism intervened and twisted the process with various suppressive policy. In this dissertation, I observed boom of publishing market in 1938~40 and its context and especially the aspect of magnification of the magazine readers and reconstitution the women readers.

      • KCI등재

        관음증과 재현의 윤리: 식민지 조선에서의 "근대적 시각"의 성립에 관한 일 고찰

        천정환 ( Jung Huan Cheon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1

        성은 시각에 의해 매개되고, 근대의 성-정치는 특히 시각 매체와 그 이미지들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이 논문은 ‘성-심리’와‘성욕’에 관한 여러 형태의 담론과 시각적 재현물이 범람하면서 성위생에 관한 지식이 확산되고 ‘재현의 윤리’가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주로 인쇄ㆍ출판매체를 통해 살폈다. 조선의 시각문화와 ‘감각’이 수입된 지식과 감각을 통해 발전했다는 점과 또한 그 새로운 감각이 어떤 자극기를 통과하여, 권력과 수용자의 상호작용을 만들어냈는지 논했다. 한국 소설사의 대표적인 소설『무정』을 통해 관음증적 시선의 형성이 무엇인지 그 양상을 살피고 성적 표현의 허용된 한계에 대해 논했다. 『무정』에 대한 ‘문학적’ 인정과 대규모 수용은, ‘문학(화)’이 독자적이고 ‘자율적’ 영역으로서 성립할 때 획득한 성애 재현의 경계와 허용되는 관음증의 모순을 보여준다. 외설적 묘사와 도착적 시설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그 소설은 ‘인정의 구조’를 통과하고 근대소설 최대의 작품으로 꼽힐 수 있었다. 인간의 성과 육체에 대한 재현이 ‘예술’로서 인정되는 과정은 순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한편 ‘예술’은 감각을 훈련시키고 허용되는 ‘시선’의 범위를 정하게 했다. 사법적 재단을 통과할 수 있으며 소프트포르노그라피의 요소가 포한된 ‘예술’은 오히려 권력의 작용에 가담하여, ‘허용된’ 관음증을 확산하게 할 수 있다. The sex is meditated by the sense of sight, and sex-politics is practised by visual media and those images of modern times. This dissertation argue that overflowing of various discourse and visual ‘representations’ came about diffusion of knowledge of sex and formation of ethics of representations. This dissertation studied by examining mainly in printing publishing media. The visual culture of Chosun and ‘senses’ developed with the knowledge of sex and ‘senses’ which were imported from abroad(i.e. Japan). And This dissertation argue that these new ‘senses’ gathered and stimulated what sense organs and what interaction of ‘the power’ between the receptors. And I discuss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Korean modern novel “Mujung(1917-18)” reveals formation of voyeuristic gaze and limit of sexual expression which permitted. ‘Literary recognition’ and large scale reception about “Mujung” shows the contradiction of the voyeurism which is permitted when ‘literature(and the culture)’ was formed as ‘autonomous’ territories. Even the novel including an obscene depiction and an arrival gaze, could pass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and was valued as the great modern novel. The representation of flesh of the human being and sex as ‘arts’ was not to be smooth. But the ‘Art’ trained the sense and decided the limit of ‘permitted gazes’. ‘Art’ which could pass the judicial foundation that include soft pornographic elements, have possibility of make a voyeurism diffuse participating rather in action of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