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8년도 항공안전기술원 경영평가 실적향상 우수사례

        채성희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항공안전기술원은 항공안전 확보 및 항공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13년 설립된 국토교통부 산하기관으로, ’14년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15년도부터 경영실적평가를 수검하고 있다. 기술원은 ’18년도 경영실적평가에서 B등급을 획득하며, 전년 C등급 대비 향상된 경영성과를 인정받았다. 본 발표에서는 ’18년도 기술원의 우수 경영사례를 제시하고, 경영실적 향상의 핵심성공요인을 짚어본다.

      • 검색엔진에 대한 자기 정보 삭제권 행사의 범위와 한계 - 유럽사법재판소의 이른바 ‘잊혀질 권리’ 판결을 중심으로

        채성희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4 Law & technology Vol.10 No.4

        유럽사법재판소는 2014. 5. 13., 이른바 구글 케이스에서 ‘잊혀질 권리’를 인정하는 내용의 판결 을 하였다. 즉, 검색엔진에 정보주체의 이름을 입력 하였을 경우, 정보주체에 관한 불리한 사실이 실린 제3자 웹사이트의 16년 전 기사로 연결되는 링크가 검색 결과 화면에 현출되면, 검색엔진은 정보주체의 요청에 따라 링크를 삭제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한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유럽 개인정보보호지침 에 근거하여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권과 개인정보에 관한 기본권을 검색엔진의 경제적 이익 기타 제 3자의 이익과 비교하여 형량함으로써 도출되었다. 유럽 개인정보보호지침에 상응하는 법률인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은,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정보 주체에게 이와 같은 삭제 요구권을 허용하지 않는다. 정보 주체는 대신, 민법상 인격권에 기하여 금지청구를 할 수 있고, 이 경우 유럽사법재판소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민법상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는 행정법규인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비하여 구제 절차의 신속성 및 간편성이 떨어지므로, 이 부분에 관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 경우 언제 정보주체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n 13 May, 2014, ECJ made a ruling that Google was obliged to delete at an individual’s request a link to a third party web publisher which was being displayed in a search result following a search query of the individual’s name and contained a fact that was unfavorable to the individual. This conclusion was a result of balancing the right to privacy and fundamental right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gainst the economic interest of the search engine and any other interest of any potentially relevant third parties. The baseline of this balancing was European Data Protection Directive(Directive 95/46/EC). In Korea, in the context of data protection related to internet search engin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and Law on Promoting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Pretection are typically considered as equivalent to Data Protection Directive. However, these two laws do not provide any firm legal ground for data subject’s right to data deletion in a case such as this one. Instead, on a case by case basis, data subject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request search engine to delete a link to a third party website by invoking Korean Civil Law, more specifically, by claiming the infringement of selfdetermination right on personal data. However, bringing this matter to a court will take significant time and cost, all the more when compared with what could have incurred in case Korean Data Protection Law did allow such a request to be solved by administrative process. In this light, the author suggests that Korean Peronal Data Protection Law should be revised so that the range of the existing right to deletion can enable this type of deletion request. With this, a guideline which will lead the interested parties through possibly various type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cases so as to help them to make a right, consistent decision will be required.

      • 목적외 이용과 프로파일링 관련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지침, 규칙안, 정보통신망법 및

        채성희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6 Law & technology Vol.12 No.1

        최근 유럽 의회와 이사회가 합의한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 규칙안은 정보처리기술의 발달에 따른 다양한 개인정보 활용 태양에 대하여 기존의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지침보다 세분화된 규정들 을 두고 있다. 이 중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목적외 이용과 프로파 일링을 비롯한 자동화된 개인정보처리 및 이에 근 거한 개인에 대한 중요 결정에 대한 취급에 관한 사항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의 유럽연합개 인정보보호지침과 새로운 규칙안, 그리고 우리나 라의 정보통신망법과 개인정보보호법의 관련 규 정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규칙안과 우리나라법을 비교하여 볼 때, 규칙안은 목적외 이용에 관하여 우리나라 법보다 다소 유연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프로파일링은 물론 프로파일링에 근거한 개인에 대한 자동화된 개별 결정에 대한 규정을 따로 두고 있다. 또한, 목적외 이용 및 프로파일링, 자동화된 개별 결정 과 관련하여 정보주체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조치를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은 정 보처리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방식 및 내용의 개 인정보처리가 가능해지고, 이로 인하여 정보주체 의 권익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 법의 입법론으로서도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In December 2015,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informally agreed on a new European Data Protection Regulation. The agreed Regulation contains many rules to deal with new data processing practices that came with the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these, provisions on purpose limitation and profiling and automated individual decisions have important im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Big Data. This paper compares these provisions with the corresponding ones in European Data Protection Directive and Korean law.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newly agreed Regulation, compared to Korean laws, are as follows: 1) the purpose limitation rules of the Regulation give more room for the data controller to use the data for purposes different from those specified at the time of initial collection; 2) while Korean laws do not have a specific rule that handles profiling and automatic individual decisions based on profiling, the Regulation includes detailed rules on these practices, which goes much further even compared with the Directive. 3) In realtion to the purpose limitation and profiling and the automated individual decision, the Regulation seems to focus on the measures to be taken by the controllers to safeguard data subjects’ rights and interests. This approach makes a contrast to Korean laws which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the legitimate ground of data processing, in particlar data subjects’ consent.

      • KCI등재
      • KCI등재

        우주법의 체계와 국내 우주법상 주요 쟁점(part 1) - 발사 및 등록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채성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경제규제와 법 Vol.17 No.1

        필자는 우주항공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 진흥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는 우주항공청의 설치에 즈음하여, 우주법의 주요 쟁점들을 순차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기획의 일부로서, 우주법 관련 논의의 전제가 되는 국제 우주법의 기본 체계를 살펴보고, 우선 ‘우주개발 진흥법’상 우주물체 발사 및 등록에 관한 규율 체계를 국제 우주법과 주요국의 관련 입법례와 비교하여 검토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국제 우주법의 체계와 관련하여, ‘우주 조약’을 필두로 한 경성 우주법 및 여러 가지 연성 우주법들에 관하여개관한 후, 우주물체 발사 및 등록에 관한 규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미국과 일본의 우주발사체 발사및 우주물체 등록에 관한 규제가 어떻게 이러한 국제 우주법의 요청을 반영하면서도 자국의 사정에 따라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기초로 우리 우주개발 진흥법의 규정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우주개발 진흥법이 발사허가 후 발사실시자에 대한 감독권 행사, 발사허가와 탑재체 심사기준,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조치 등에서 개선의필요가 있음을 논한다. 또한, 동법상 발사허가 의무자와 우주물체 등록 의무자의 불일치, 예비등록 제도의 실효성 결여, 우주물체 등록 절차의 비효율성 등에 관하여도 주의를환기한다. 국제 우주법의 요청에 대한 부응 및 안전하고 지속가능한우주개발을 위하여 우주개발 진흥법의 개정이 필요하며, 이과정에서 국제 우주법의 준수, 국가안보와 외교적 이익, 국내 우주산업 발전, 우리 국민의 보호 등 다양한 요소가 균형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 is being established to oversee the development of aerospace technology and the promotion of related industries, the author intends to sequentially review major issues in space law. This article, as part of such a project, examines the basic framework of international space law, which serves as a premise for discussions on space law. It then reviews the regulatory system for the launch and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under the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by comparing it with international space law and relevant legislation of the U.S. and Japan, and suggests improvements. First, with regard to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space law, after an overview of the binding space law led by the Outer Space Treaty and various forms of soft space law,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launch and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will be examined more specifically. Following this, it will review how the regulations on the launch of space launch vehicles and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reflect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space law while flexibly adapting to their respective national circumstances. Based on this, by examining the provisions of ou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it will argue that ou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needs improvement in areas such as exercising supervisory authority over launch operators after launch authorization, criteria for launch authorization and review of payloads, and measures to mitigate space debris. It will also draw attention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ntities obligated to obtain launch authorization and register space objects,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the pre-registration system, and the inefficiency of the space object registration procedure under the same Act.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space law and to ensure safe and sustainable spac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In this process, various factors such as adherence to international space law, national security and diplomatic interests,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pace industry, and protection of our citizens should be balanced and considered.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과 맞춤형 광고에 관한 공정거래법 및 개인정보 보호법 관점에서의 검토 - 독일 Facebook 사건을 중심으로 -

        채성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경제규제와 법 Vol.15 No.1

        This article reviews the decisions made by German Federal Cartel Office, Düsseldorf High Court and Federal Court of Justice of Germany(“BGH”) regarding the alledged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by Facebook in 2019 and 2020. These decisions, above all, deal with the issue of whether and to what extent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and the subsequent violation of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by Facebook which had a dominant posi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market in Germany can be considered as abuse of its dominant position, especially exploitative abu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ecisions and their respective rationales in detail, the author will review whether and how the rationale of these decisions would be applicable in the context of Korean laws, especially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FTA”), the Act on the Regulations of Terms and Conditions(“ARTC”)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PIPA”). Under the MRFTA,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by Facebook at issue (“Use of Off-Facebook Data”) can be viewed as an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because Korean Court and the Fair Trace Commission have not clearly adopted the criteria which was used to acknowledge exploitative abuse by the BGH. However, it may be worth examining whether the Use of Off-Facebook Data can be viewed as unfair trade practice under the MRFTA. Also,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of Facebook on which the Use of Off-Facebook Data was based should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C.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protection, the author will explore the possible legal basis of the Use of Off-Facebook Data under the PIPA, i.e. ‘data processing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contract between the data subject and Facebook’ and then discuss the problems and questions that could arise when such legal basis applies to the Use of Off-Facebook Data, especially when the purpose of such use is to provide users with customized services, especially behavioural advertising or recommendation services.This article reviews the decisions made by German Federal Cartel Office, Düsseldorf High Court and Federal Court of Justice of Germany(“BGH”) regarding the alledged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by Facebook in 2019 and 2020. These decisions, above all, deal with the issue of whether and to what extent infringement of personal data and the subsequent violation of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by Facebook which had a dominant posi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market in Germany can be considered as abuse of its dominant position, especially exploitative abu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ecisions and their respective rationales in detail, the author will review whether and how the rationale of these decisions would be applicable in the context of Korean laws, especially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FTA”), the Act on the Regulations of Terms and Conditions(“ARTC”)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PIPA”). Under the MRFTA,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by Facebook at issue (“Use of Off-Facebook Data”) can be viewed as an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because Korean Court and the Fair Trace Commission have not clearly adopted the criteria which was used to acknowledge exploitative abuse by the BGH. However, it may be worth examining whether the Use of Off-Facebook Data can be viewed as unfair trade practice under the MRFTA. Also, the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of Facebook on which the Use of Off-Facebook Data was based should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C.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protection, the author will explore the possible legal basis of the Use of Off-Facebook Data under the PIPA, i.e. ‘data processing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contract between the data subject and Facebook’ and then discuss the problems and questions that cou... 2019. 2.부터 2020.6.까지 독일 연방카르텔청, 뒤셀도르프 고등법원, 연방대법원을 거쳐 치열하게 심사된 이른바 Facebook 사건에서는 시장지배적 지위의 사업자가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령을 위반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내용의 이용약관을 근거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행위가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 구체적으로 착취남용 행위에 해당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최종적으로 연방대법원은 문제의 개인정보처리가 이용약관에 기초한 것이므로 GDPR 보다는 약관 심사의 관점에서 검토하여야 한다고 전제하고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과 그러한 약관의 작성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였다.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시키면, 공정거래법상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중 소비자이익 저해행위 해당 여부 뿐 아니라 불공정거래행위 및 약관규제법 위반 여부가 검토될 수 있다.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행위 중 소비자이익 저해행위와 관련하여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이익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현저성과 관련하여 독일의 논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지 여부가 불투명하다. 불공정거래행위 중 끼워팔기와 관련하여서는 끼워팔기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을지 여부와 경쟁제한성 유무와 관련하여 문제가 있으나, 이익제공강요행위의 성립 가능성은 진지하게 검토할 가치가 있어 보인다. 또한, 약관규제법 제6조의 불공정약관으로서 해당 약관을 무효화하는 방안도 고려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약관규제법이 문제되는 부분이 바로 공정거래법상 쟁점과 개인정보 보호법적 쟁점이 맞닿는 지점이다. 즉 이용약관에 근거를 둠으로써 계약의 내용으로 편입되고, 따라서 문언상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개인정보 처리가 개인정보 보호법의 관련 규정에도 불구하고 선택동의 사항이 될 수 있는지, 될 수 있다면 어떠한 기준 하에서 그러한지의 문제가 그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가 제시한 합리적으로 예상 가능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 와 같은 기준은 유효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여 주지 못하므로 약관규제법 제6조의 법리를 적용하여 다양한 이익형량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다만, 입법론적으로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6호의 '정당한 이익'의 적용 범위의 확대가 필수적이다.

      • KCI등재

        전신 진동 운동이 대학 배구선수의 심부근 균형능력과 자세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채성희,박정민,현광석 한국체육과학회 202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local muscle balance and posture stability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volleyball player at Y universict,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11 volleyball player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NEG), Deficient Exercise group(DEG), Over Exercise group(OEG) and local muscle balance and posture stabil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local muscle balance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posture stability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DEG.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local muscle balance and posture stability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s to be developed for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in athletics along with further studies to confirm the physiological benefits of those programs.

      • KCI등재

        우주법의 체계와 국내 우주법상 주요 쟁점(part 1) - 발사 및 등록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채성희(Sunghee Chae)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24 경제규제와 법 Vol.17 No.3

        필자는 우주항공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 진흥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는 우주항공청의 설치에 즈음하여, 우주법의 주요 쟁점들을 순차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기획의 일부로서, 우주법 관련 논의의 전제가 되는 국제 우주법의 기본 체계를 살펴보고, 우선 ‘우주개발 진흥법’상 우주물체 발사 및 등록에 관한 규율 체계를 국제 우주법과 주요국의 관련 입법례와 비교하여 검토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국제 우주법의 체계와 관련하여, ‘우주 조약’을 필두로 한 경성 우주법 및 여러 가지 연성 우주법들에 관하여 개관한 후, 우주물체 발사 및 등록에 관한 규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미국과 일본의 우주발사체 발사 및 우주물체 등록에 관한 규제가 어떻게 이러한 국제 우주법의 요청을 반영하면서도 자국의 사정에 따라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기초로 우리 우주개발 진흥법의 규정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우주개발 진흥법이 발사허가 후 발사실시자에 대한 감독권 행사, 발사허가와 탑재체 심사기준,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조치 등에서 개선의 필요가 있음을 논한다. 또한, 동법상 발사허가 의무자와 우주물체 등록 의무자의 불일치, 예비등록 제도의 실효성 결여, 우주물체 등록 절차의 비효율성 등에 관하여도 주의를 환기한다. 국제 우주법의 요청에 대한 부응 및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우주개발을 위하여 우주개발 진흥법의 개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국제 우주법의 준수, 국가안보와 외교적 이익, 국내 우주산업 발전, 우리 국민의 보호 등 다양한 요소가 균형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 is being established to oversee the development of aerospace technology and the promotion of related industries, the author intends to sequentially review major issues in space law. This article, as part of such a project, examines the basic framework of international space law, which serves as a premise for discussions on space law. It then reviews the regulatory system for the launch and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under the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by comparing it with international space law and relevant legislation of the U.S. and Japan, and suggests improvements. First, with regard to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space law, after an overview of the binding space law led by the Outer Space Treaty and various forms of soft space law,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launch and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will be examined more specifically. Following this, it will review how the regulations on the launch of space launch vehicles and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reflect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space law while flexibly adapting to their respective national circumstances. Based on this, by examining the provisions of ou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it will argue that ou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needs improvement in areas such as exercising supervisory authority over launch operators after launch authorization, criteria for launch authorization and review of payloads, and measures to mitigate space debris. It will also draw attention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ntities obligated to obtain launch authorization and register space objects,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the pre-registration system, and the inefficiency of the space object registration procedure under the same Act.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space law and to ensure safe and sustainable spac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In this process, various factors such as adherence to international space law, national security and diplomatic interests,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pace industry, and protection of our citizens should be balanced and considered.

      • KCI등재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잊혀진 헌법재판소 결정들을 위한 변명

        채성희(Chae, Sunghee) 한국정보법학회 2017 정보법학 Vol.20 No.3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에 의하여 공법 및 사법 영역에서 각 명시적으로 인정된 권리이다. 헌법재판소에 따르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헌법 제10조, 헌법 제17조, 자유민주질서, 국민주권의 원리 등을 근거로 하며, 정보화 시대에 개인의 결정의 자유가 침해당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인정된 권리이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절대적인 권리는 아니고 비례원칙과 명확성의 원칙 등 기본권 제한의 일반 원칙에 따라 제한 가능하고, 다른 기본권과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적어도 표현의 자유와는 우열을 가릴 수 없는 권리로서, 기본권 충돌의 일반 법리의 적용을 받는다. 대법원이 파악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개념도 헌법재판소의 그것과 유사하며, 민사적으로는 인격권의 하나로 관념된다. 그 침해 판단은, 인격권 침해의 일반적 판단기준에 따라,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충돌하는 권리간의 구체적 형량에 따른다. 즉,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공법적으로는 헌법 제37조 제2 항의 적용을 받는 기본권의 하나이고, 사법적으로는 일반적 인격권의 하나이다. 그러나 일부 학설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공법적으로 그 제한이 좀처럼 허용되지않는 ‘소유권 유사의 강고한 권리’일 뿐 아니라, 완전히 합리적이고 어떠한 상대와도대등하게 협상할 수 있는 개인을 전제로 한다고 하면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개념 자 체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학설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사법적으로 ‘절차적⋅형식적 권리’로 그 침해 자체만으로는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발생시키지 않는 특수한 권리라고 본다. 필자의 견해에 따르면 이들 학설은 각각 개인정보에 대한 실질적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 있다고 하여 바로 손해배상책임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으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개념 의 이해에 관해서는 위 헌법재판소 결정과 대법원 판례의 태도와 맞지 않는 문제점이있다고 본다. 필자가 생각하기로는 현재의 개인정보보호법을 둘러싼 여러 가지 난점들은 위 학설들이 각 주장하는 바와 같이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자체에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거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사권으로서 일반적인 인격권과 다른 것이라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개인의 보호와 대립하는 법익의 보호를비례원칙에 따라 조화한다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본래 취지를 현실적인 법령들이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점이 문제이다. 그러므로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에 관한 논의는 우리 헌법상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