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공식 주거지의 (탈)영토화: 서울시 강남구 구룡마을을 사례로

        채상원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analyzes the territorializing process of an informal settlement, Guryong village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under the context of speculative urbanism. It explores the dominating role of the urban poor as well as the role of two other actors, a private developer and a local government. This study argues as follows. First, the urban po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of the village’s (de)territorialization with its own residential organization. Development-oriented territorializing practices of the organization provoke political intersections of three agents, which come to reveal the dynamics in the makings of an informal settlement. Second,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ree agents are fully understood when highlighting the village under the speculative urban context that disciplines their spatial strategies. The development as a common denominator empowers the urban poor cooperating with the developer while leaving the local government with a dilemma concerning the urban informality. This highlights the informal settlement as a socially constructed and politically contested urban space. By providing intriguing insights into the politics of informal settle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field of political and urban geography. 본 연구는 영토화 개념을 활용하여 비공식 주거지가 구성되는 과정을 특수한 도시적 맥락에 대한 고려 속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강남구의 구룡마을이 사례로 활용되었으며, 마을 주민 43명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룡마을 사례에서 도시 빈민들은 개발을 토대로 정치 세력화하여 비공식 주거지의 (탈)영토화 과정 전반에서 주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개발을 기회로 활용하고자 했던 주민자치조직의영토화 실천은 비공식 주거지를 매개로 한 행위자들 간 사회적, 정치적 과정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끌었고, 이들 간권력관계의 구성은 구룡마을의 (탈)영토화를 특징지었다. 둘째, 투기적 도시성은 각 행위자들의 공간 전략을 규율하는 힘으로 작용했으며, 그 안에서 행위자들의 역량과 한계가 명확해졌다. 주어진 것으로서 구룡마을의 개발은 비공식 주거지가 생산해내는 가치를 전유하려는 행위자들의 경쟁을 구조화했다. 본 연구는 정치적 집단으로서 도시빈민의 역할에 주목하고, 공간 정치적 관점에서 비공식 주거지에 대한 과정적 이해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정치지리, 도시지리 등 관련 논의에 기여한다.

      • 기피시설 입지 갈등에서 로컬 거버넌스의 형성과 행위주체들 간 권력의 상호작용 : 수원 보호관찰소 성남지소 분당구 서현동 입지 갈등을 사례로

        채상원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16 地理學論叢 Vol.62 No.-

        본 연구는 수원 보호관찰소 성남지소의 분당구 서현동 이전과 관련한 입지 갈등에서 드러난 행위주체들 간 권력관계를 로컬 거버넌스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분석을 위한 개념 틀로는 로컬 거버넌스와 3차원 적 권력론이 활용되었다. 입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로컬 거버넌스의 한 형태인 민관대책위원회가 구성된 시기 이 후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첫 회의가 열리기 이전을 1시기, 이후를 2시기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1시 기에는 학부모대책위와 법무부가 주요 행위주체로써 1차원적 권력을 행사하며 갈등을 겪고 있었다. 지역이기주의 라는 인식은 3차원적 권력으로써 학부모대책위의 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권력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성남시가 민관 대책위원회라는 로컬 거버넌스의 제도적 틀을 제안하면서 중재자로써의 역할을 가졌다. 2시기에는 민관대책위원 회가 운영되면서 법무부가 3차원적 권력을 회복하였고, 민관대책위원회라는 제도적 틀을 통해 로컬 거버넌스가 형 성되었다. 입지 갈등 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라는 차원에서 민관대책위원회는 그 자체로 3차원적 권력으로 기능 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로컬 거버넌스의 형성과정은 향후 다양한 사회갈등을 해소하는 방식에 있어 새로 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looks formation process of local governance by focusing on power relations among actors involved in location conflicts of Suwon probation office. It uses concept of local governance and theory of three dimensions of power as conceptual frameworks. To mediate conflicts, public-private joint committee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September, 2013. This study divides researched period as 1st and 2nd based on the first meeting of the committee. In the 1st period, both of parents’ association and ministry of law have first dimension of power. Negative perception of public on NIMBY regulates activities of parents’ association as third dimension of power. Seongnam local government, which has relatively less power, becomes a mediator by proposing public-private joint committee. In the 2nd period, ministry of law recovers its third dimension of power and joint committee becomes a framework of local governance. At the same time, joint committee itself becomes third dimension of power. Formation process of local governance highlighted by this study shows possibility of a way of resolving social conflicts.

      • KCI등재

        사회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학교와 엘리트 모델 만들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채상원(Chae Sang w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3

        본 연구는 Amartya Sen의 역량 접근(Capability Approach)을 활용해 교육을 투자로 여기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맥락화한 사회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학교가 학생들의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A 외국어 고등학교와 그 졸업생들을 연구 사례로 삼았으며,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 총 18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A외고 출신 졸업생들의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장래 희망은 그들의 역량이 제약된 결과임을 주장한다. 교육을 투자로 여기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맥락화하고 있는 공간인 A외고는 명문대 입학이라는 획일적 목표를 학생들에게 주입한다. 이러한 획일적 목표하에서 A외고를 구성하는 행위 주체들의 실천 역시 목표 달성에 복무하는 방향으로 조직되어 학생들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어가고 있다. 나아가 A외고 졸업생들은 졸업 이후에도 그들에 대한 사회적 기대 및 준거집단으로서 A외고 커뮤니티의 영향 때문에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장래희망을 수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A외고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확대재생산하는 공간으로, A외고 졸업생들은 그 공간을 통해 만들어진 사회적 엘리트 모델이 되어 현사회구조를 유지 및 강화하는 동력이 된다. 학교를 사회정치적 공간으로 개념화해 학생들의 역량 형성 과정에 개입되는 사회적 요소들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 역량 제약의 결과가 사회적으로 갖는 함의를 밝힌 것이 본 연구의 기여점이다. This study, based on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examines the influence of schools as a socio-political space on the students’capability formation process. The research subjects ar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mainly graduated from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referred to as “A School” henceforth). 18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cluding 12 in-depth interviews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A School. The study argues that the career prospects of A School’s graduates - mostly high-income professions - are the results of their limited capability. The school acts as a microcosm of neoliberal competition, facilitating Korea’s national morale in utilizing education as a tool for economic returns. Their main message to students to enter into the ‘best universities’echo passivity and uniformity as the most important values of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even after graduation, students maintain institutional membership by referencing their connections to A School as a networking gateway to high-end professions. Ultimately, A School and A School’s graduates have become a driving force in maintaining current social structures by reproducing the morale of Korea and its neoliberal competition. The main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1) conceptualizing schools as a socio-political space, 2) examining its implications for individuals’capability limitations, and 3) demonstrating these individuals’systemic roles in maintaining the boundaries of Korean society.

      • 퍼지 후건부의 고속 정수연산

        채상원(Sangwon Chae),이상구(Sanggu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지능 시스템에 사용되는 퍼지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퍼지 제어시스템의 중요한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퍼지 추론 및 비퍼지화 단계에서의 수행속도의 개선이다. 특히 후건부의 계산 및 비퍼지화 단계에서의 고속 연산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 제어기의 속도향상을 위해 후건부 단계에서 [0,1]의 실수 연산을 하지 않고, 퍼지 소속함수의 값을 정수형 격자 (400×30)에 매핑시켜 고속의 정수 덧셈 연산만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도시 비공식성과 공식성의 상호구성

        채상원(Sangwon Chae),신혜란(HaeRan Shin)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는 심화되는 세계화에 대응하는 공공부문 행위자들의 공간전략으로서 도시 비공식성(Urban informality)과 공식성의 상호작용이 확대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김포시 개별입지공장이 사례로 활용되었으며, 개별입지공장의 형성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행위자 19명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도시 비공식성은 공공부문의 공식화 과정에 의해 구성되며, 이는 비공식적 도시 경관으로 드러난다. 김포의 사례에서 비공식적 도시 경관은 개별입지공장과 그 공장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다. 각각은 산업단지가 갖는 규범성에 의해, 고용허가제라는 법적 기준에 의해 비공식화되었다. 둘째, 도시 비공식성은 공공부문 행위자들의 공간전략이다. 김포의 사례에서 공공부문 행위자들(중앙정부, 김포시 정부, 이장)은 세계화의 압박에 대응하고자 공간전략을 취했으며, 이로 인해 확대된 개별입지공장을 묵인했다. 특히, 이장은 반(半) 공공/반(半) 민간의 성격을 활용하여 개별입지공장의 확대를 주도하는 공공부문 행위자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공식성과 비공식성이 상호구성적 요소임을 밝힌 점, 공공부문 행위자는 비공식성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공간전략으로 활용하기도 한다는 것을 밝힌 점에서 정치지리, 도시지리 등 관련 분야에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urban formality and urban informality as public actors’ spatial strateg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informal factories located in Gimpo, and public actors involved in developing process of those factorie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the landscapes of urban informality arise as counterparts to the formalizing processes of public actors. In contrast to the formality of industrial park management and work permit system, informal factories and migrant workers make up Gimpo’s informal landscape. Second, public actors utilize urban informality as spatial strategies in response to global competition. In particular, village leaders(eejangs) as semi-public officials play a leading role in the expansion of informal factories. By offering interesting insights into urban informality and development of informal factor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political and urban geography.

      • SCOPUSKCI등재

        궤양성 대장염의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 ANCA ) 발현율

        상원(Sang Won Hang),오수혁(Soo Hyuk Oh),정현(Hyun Jung),양영상(Young Sang Yang),현석(Hyun Seok Chae),이봉수(Bong Soo Lee),서정민(Jung Min Suh),김재광(Jae Kwang Kim),백남종(Nam Jong Baeg),최규용(Kyu Yong Choi),정인식(In Sik Jung) 대한소화기학회 199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6 No.3

        N/A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ies (ANCA) are autoantibodies against various antigens present in the cytoplasmic primary granules of neutrophils detected by standard indirect immunofluorescent technique fixing the neutrophil with alcohol. There are two types of ANCA characterized by immunoreactivity, perinuclear type AACA(P-ANCA) and cytoplasmic type ANCA(C-ANCA). ANCA was demonstrated in the sera of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We have evaluated the reactivity against human neutrophils of sera from 44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4 Crohns disease, 3 tuberculous colitis, 2 Behqets disease, 10 simple co- litis and 25 healthy controls. 26/44 (59.1%) sera from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con- tained ANCA compared with 2/4 (50.0%) from Crohns disease, 1/2 (50.0%) from Behqets disease and 2/25 (8%) from control sera. All ten from patients with simple colitis and all three sera from tuberculous colitis were negative. The presence or titer of ANCA was not cor- related with activity of treatment of ulcerative colitis. The predominant pattern of ANCA was cytoplasmic (30/31) and only one serum gave a perinucleatr pattern. In conclusion, ANCA occurred more commonly in ulcerative colitis than tuberculous colitis or simple colitis.(Korean J Gastroenterol 1994;26: 451 45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