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배위자의 간암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명종 ( Myung Jong Chae ),심재준 ( Jae Jun Shim ),김병호 ( Byung Ho Kim ),보영 ( Bo Young Hwang ),이영주 ( Young Ju Lee ),하승형 ( Seung Hyung Ha ),장재영 ( Jae Young Jang ),동석호 ( Seok Ho Dong ),김효종 ( Hyo Jong Kim ),장영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3

        목적: PPARγ는 핵 수용체의 일종으로 혈당 조절과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종 암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합성 PPARγ 배위자인 thiazolidinediones계 혈당 강하제와 내인성 배위자인 15-deoxy-Δ12,14-prostaglandin J2 (15d-PGJ2)가 간세포암(이하 간암)에도 항암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간암 세포주로는 HepG2, Hep3B, PLC/PRF5를 사용하였는데, 이들 세포주에서 PPARγ 유전자 발현은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확인하였다. Thiazolidinediones계 약물인 troglitazone (TGZ), pioglitazone (PGZ) 그리고 rosiglitazone (RGZ)을 각각 25~100 μM의 농도로 각 세포주에 투여하였고, 15d-PGJ2는 20~80 μM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을 72시간까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세포 주기 분석은 flow cytometry를 이용하였고, 세포자멸사는 ELISA kit를 이용하였다. Caspase-3와 caspase-8 그리고 caspase-9의 활성도를 caspase colorimetric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aspase 억제제를 투여하여 PPARγ 배위자에 의한 세포자멸사가 억제되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사용된 PPARγ 배위자 중 TGZ과 15d-PGJ2가 HepG2, Hep3B 그리고 PLC/PRF/5에 뚜렷한 성장 억제를 나타냈다. 반면에 PGZ과 RGZ은 TGZ에 비해 거의 효과가 없었다. 세포 주기분석에서도 TGZ과 15d-PGJ2가 G0/G1 arrest와 세포자멸사를 일으킨 반면 PGZ과 RGZ은 효과가 없었다. 세포 주기 및 세포자멸사 분석에서 TGZ과 15d-PGJ2의 항암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TGZ은 HepG2에서 G0/G1 arrest를 일으켰고 PLC/PRF5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 반면 15d-PGJ2는 HepG2에서 세포자멸사를 일으키고 PLC/PRF5에서는 뚜렷한 세포자멸사를 일으키지 못하였다. TGZ과 15d-PGJ2은 caspase-3 활성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p<0.01) caspase-9의 활성도도 증가시켰다. TGZ과 15d-PGJ2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는 pancaspase 억제제와 caspase-3 특이 억제제에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 Troglitazone과 15d-PGJ2는 간암 세포에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항암 작용을 나타내는데, PPARγ 이외의 다른 기전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항암 기전도 서로 다른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iazolidinediones, which are synthetic insulin sensitizers, are known activ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PPARγ ligands, including endogenous 15-deoxy-Δ12,14-prostaglandin J2(15d-PGJ2), are thought to elicit antineoplastic effects in various cancer cells. In this study, the antineoplastic effects of PPARγ ligands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cells were investigated. Methods: HepG2, Hep3B, and PLC/PRF5 cells were cultured with troglitazone (TGZ), pioglitazone (PGZ), rosiglitazone (RGZ), or 15d-PGJ2 at concentrations of 20-100 μM.. Cell viability, cell cycle arrest, apoptosis, and caspase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MTT assay, flow cytometr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colorimetric assays, respectively. The effects of various caspase inhibitors were also measured using a cell death detection ELISA. Results: All three cell lines expressed the PPARγ gene. TGZ and 15d-PGJ2 strongly inhibited growth in HepG2, Hep3B, and PLC/PRF5 cells. In contrast, PGZ and RGZ showed a much weaker effect in all cell lines. In terms of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TGZ induced G0/G1 arrest in HepG2 cells and increased the apoptotic fraction in Hep3B and PLC/PRF5 cells. In contrast, 15d-PGJ2 induced apoptosis only in HepG2 and Hep3B cells. TGZ and 15d-PGJ2 increased caspase-3 activity significantly and increased caspase-9 activity slightly. TGZ- and 15d-PGJ2-induced apoptoses were inhibited by a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and a caspase-3 specific inhibitor (Z-DEVD-FMK)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TGZ and 15d-PGJ2 elicit antineoplastic effects in various HCC cells via caspase-dependent apoptotic induction. Their differential effects on similar cell types suggest that another antineoplastic mechanism, most likely a PPARγ-independent pathway, is involved. (Korean J Med 75:288-299, 2008)

      • KCI등재

        공시수준이 기업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 :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을 대상으로

        박수연,보영,수준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회계정보연구 Vol.36 No.3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disclosure level on dividend by using the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as a substitute for disclosure level.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lower the agency cost due to the low disclosure level, the unfaithful disclosure designated company verified whether it changed the dividend policy toward the shareholders favorably. If the dividend payout ratio is high in a company designated as a unfaithful disclosure and the dividend payment amount for the year increas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ividend policy is used as an alternative means of corporate governance in order to lower the agency cost(substitution hypothesis). On the other hand, if the dividend payout ratio is low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anager wants to increase the free cash flow, which reduces the dividend and facilitates opportunistic decision making when the disclosure level is low(outcome hypothesis). In this study, we perform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ypotheses using listed companies from 2002 to 2015. Empirical analysis of the change in dividend policy when a company was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and the availability of dividends or changes in dividend payment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upport the outcome hypothesis, which implies that dividend policy is also determined against the shareholders. In addition, negative (-)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umulative penalty points and dividend payments or dividend change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disclosure, the more serious the agent problem is, the more opportunistic the manager makes the decis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ffecting the dividend policy. This study have an additional contribution to the relevant preceding study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an analysis that the manager's unfaithful disclosure would affect the company's dividend policy. Moreover,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uggest that low disclosure which may arise due to a manager's moral hazard and opportunistic behavior, may affect the decision of the dividend policy which directly infringes on the shareholders ' wealth. 본 연구는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불성실공시 지정여부를 공시수준에 대한 대용치로 사용하여 공시수준이 배당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경우 낮은 공시수준으로 인해 높아진 대리인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배당정책을 주주에게 우호적인 방향으로 변경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만약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배당성향이 높게 나타나고 전년도 대비 당해연도의 배당지급액이 증가한다면 낮은 공시수준으로 인해 높아진 대리인비용을 낮추기 위해 배당정책을 기업지배구조의 대체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substitution hypothesis). 반면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에서 배당성향이 낮게 나타나고 배당변동액이 감소한다면 이는 공시수준이 낮을 경우 경영자가 의도적으로 배당을 줄이고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잉여현금흐름을 늘리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outcome hypothesis).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정을 위해서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불성실공시 기업으로 지정된 경우 배당정책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성실공시 지정여부와 배당지급 여부 및 배당액변동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 기회주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경우 배당정책 역시 주주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누적벌점과 배당지급 여부와 배당액변동 간에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낮은 공시수준으로 대리인문제가 심각한 상황일수록 경영자는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하며 이는 배당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불성실공시 행위가 기업의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관련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경영자의 도덕적 해이와 기회주의적 행동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불성실공시 행위가 주주의 부를 직접적으로 침해하는 배당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자로 하여금 성실공시를 유도할 수 있는 보다 강도 높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내시경 지혈술을 시행받은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재출혈 예방에 대한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의 경구 및 정맥투여의 효과 비교

        장재영,주광로,보영,정래익,최선영,정지헌,명종,이상길,동석호,김효종,김병호,장영운,이정일,장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3 No.1

        Background/Aims: The use of proton pump inhibitor (PPI) prevents rebleeding by elevating the intragastric pH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hemostasis has been achieved. We assessed if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high-dose intravenous pantoprazole for their ability to prevent rebleeding after having achieved initial hemostasis in patients with active bleeding or nonbleeding visible vessels. Methods: Thirty eight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who had achieved initial hemostasis were enrolled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the high-dose oral pantoprazole group (n=19), 40 mg of pantoprazole was given orally twice daily for 5 days. In the high-dose intravenous pantoprazole group (n=19), an 80 mg intravenous bolus of pantoprazole was given; this was followed by 8 mg/hour of continuous infusion daily for 3 days. Thereafter, 40 mg of pantoprazole was given orally once daily for 8 weeks. Results: The two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Rebleeding occurred in 2 patients (10.5%) in the intravenous group and in 1 patient in the oral group (5.3%) by day 30 after enrollment (p=1.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rapeutic endoscopic sessions (1 vs. 1.13 0.52), the surgery (0% vs. 0%), the bleeding related mortality (0% vs. 0%), and the mean number of units of transfused blood. Conclusions: The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a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reducing rebleeding episodes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successful endoscopic therap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6-11) 목적: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는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고 출혈부위의 피덩이를 안정화시켜 궤양성 출혈환자에 있어 재출혈의 빈도를 낮춘다.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정맥투여는 위 내 pH를 중성에 가깝게 유지하지만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경구투여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에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로 궤양 출혈환자에게 내시경 치료 후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경구투여가 정맥투여와 동일한 지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비교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상부위장관 출혈로 경희의료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 고위험군의 궤양 출혈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시경 치료로 에피네프린 주사법과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법(argon plasma coagulation, APC) 병합요법을 시행한 후, 무작위로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n=19)은 판토프라졸 40 mg을 하루 2회, 5일간 투여하였으며, 고용량 판토프라졸 정맥투여군(n=19)은 초기 80 mg을 정맥주사하고 그 이후 유지요법으로 3일간 시간당 8 mg의 속도로 정맥주입하였다. 두 군 간에 7일째와 30일째의 재출혈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 사이에는 연령, 성, 궤양의 위치, 궤양의 출혈징후, 크기, 내원 당시 쇼크 상태, 헤모글로빈, 동반질환, 헬리코박터 감염 유무, 과거의 궤양 또는 출혈성 궤양의 기왕력,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복용 기왕력, 흡연력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일과 30일째의 재출혈률은 정맥투여군에서 각각 10.5%였고 경구투여군은 각각 0%, 5.3%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7일째 재출혈률, p=0.486; 30일째 재출혈률, p=1.000).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 사이에 수술률, 사망률, 치료내시경 횟수, 수혈량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위험군의 궤양 출혈환자에서 내시경 지혈술 후에 고용량 PPI 경구투여는 정맥투여와 대등하게 재출혈률을 감소시켰고,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도 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Chromosomal Microarray Analysis as a First-Tier Clinical Diagnostic Test in Patients With Developmental Delay/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Multiple Congenital Anomalie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 Korea

        장우리,김용구,한은희,박준홍,효진,권아름,최하영,김지연,손정옥,이상지,보영,장대현,한지윤,이정현,김소영,이인구,성인경,문연숙,김명신,박주현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9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9 No.3

        Background: To valid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chromosomal microarray analysis (CMA) as a first-tier clinical diagnostic test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CMA results on patient clinical management, we conducted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in Korean patients diagnosed as having developmental delay/intellectual disability (DD/ID),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nd multiple congenital anomalies (MCA). Methods: We performed both CMA and G-banding cytogenetics as the first-tier tests in 617 patients. To determine whether the CMA results directly influenced treatment recommendations, the referring clinicians were asked to complete a 39-item questionnaire for each patient separately after receiving the CMA results. Results: A total of 122 patients (19.8%) had abnormal CMA results, with either pathogenic variants (N=65) or variants of possible significance (VPS, N=57). Thirty-five well-known diseases were detected: 16p11.2 microdeletion syndrome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Prader–Willi syndrome, 15q11-q13 duplication, Down syndrome, and Duchenne muscular dystrophy. Variants of unknown significance (VUS) were discovered in 51 patients (8.3%). VUS of genes putatively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were found in five patients: IMMP2L deletion, PTCH1 duplication, and ATRNL1 deletion. CMA results influenced clinical management, such as imaging studies, specialist referral, and laboratory testing in 71.4% of patients overall, and in 86.0%, 83.3%, 75.0%, and 67.3% of patients with VPS, pathogenic variants, VUS, and benign variants, respectively. Conclusions: Clinical application of CMA as a first-tier test improves diagnostic yields and the quality of clinical management in patients with DD/ID, ASD, and MCA.

      • KCI등재
      • KCI등재

        Daily adaptive proton therapy: Feasibility study of detection of tumor variations based on tomographic imaging of prompt gamma emission from proton–boron fusion reaction

        최민건,Law Martin,Djeng Shin-Kien,김무섭,신한백,채보영,윤도군,서태석 한국원자력학회 2022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4 No.8

        In this study, the images of specific prompt gamma (PG)-rays of 719 keV emitted from protoneboron reactions were analyzed using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images verified the detection of anatomical changes in tumor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aily adaptive proton therapy (DAPT)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PG-ray images to DAPT. Six scenarios were considered based on various sizes and locations compared to the reference virtual tumor to observe the anatomical alterations in the virtual tumor. Subsequently, PG-rays SPECT images were acquired using the modified ordered subset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and these were evaluated using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ixel range and location of the highest value of the normalized pixel in the PG-rays SPECT image profil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virtual tumor. Moreover, the alterations in the virtual tumor size and location in the PG-rays SPECT images were similar to the true size and location alterations set in the phanto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tumor anatomical alterations in DAPT could be adequately detected and verified through SPECT imaging using the 719 keV PG-rays acquired during treatment

      • KCI등재

        토종오리의 교배 조합이 오리고기의 부분육 생산수율, 육질 및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

        김학규(Hak-Kyu Kim),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박미나(Mi-Na Park),현석(Hyun-Seok Chae),방한태(Han-Tae Bang),보영(Bo-Young Seo),추효준(Hyo-Jun Choo),나승환(Seung-Hwan Na),서옥석(Ok-Suk Seo),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시험은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부분육 비율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처리구의 오리 360수를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A, B, C 8주령, D 6주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 처리구에서 암수 각각 9수씩 선별하였다. 교배 조합 방법은 토종오리(♀)×토종오리(♂), 육용오리(♀)×토종오리(♂), 토종오리(♀)×육용오리(♂), 육용오리(♀)×육용오리(♂)의 4처리구를 각각 A, B, C, D로 하였다. 선별된 개체들은 도압(屠鴨)하여 부분육 비율을 측정하고,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날개와 목 부위의 비율은 D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P<0.05), 가슴 부위는 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다리 부위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며, 부분육을 제외한 부위는 A, B, D 처리구에서 C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오리고기의 pH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지방, 단백질 함량은 B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콜라겐 함량은 D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오리고기의 육색과 물리학적 성상(전단력, 가열 감량, 보수력)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P>0.05). 오리고기의 관능검사는 다즙성에서 D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B와 D 처리구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은 이화학적 성상이나 관능검사의 개선 효과가 뚜렷하지 않지만 가슴육 수율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the retail cut yield and the meat quality of crossbred ducks. A total of 360 pullets that were produced from 4 mating methods used in this work. Four mating method were A) native ducks (♀) × native ducks (♂), B) meat-type ducks (♀) × native ducks (♂), C) native ducks (♀) × meat-type ducks (♂), and D) meat-type ducks (♀) × meat-type ducks (♂). Ducks were bred at the flat house, and selected nine ducks with similar weights from each treatment at the certain weeks (A, B, C 8 weeks; D 6 weeks). Selected ducks were slaughtered, calculated the retail cut yield(wing, back, neck, breast, leg),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tested the sensory evaluation. Wing and neck meat ratios of D treatment were lowest (P<0.05), and breast meat ratio of B treatment was high (P<0.05)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H of duck meat was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fat and protein contents of B treatment was highest, and collagen contents of D treatment was highest among all treatments. Meat color and physical compositions was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Juiciness of D treatment meats was highes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 and D treatments. Finally, mating method of native duck and meat-type duck affected on the retail cut yield, but did not improve on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