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일본 역사기록물 분류론의 동향과 실제

        채미하,Chai, Mi-ha 한국기록학회 2004 기록학연구 Vol.0 No.9

        In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Systematical Western Archival Science theory was introduced in Japan especially, provenance principle which is fundamental theory in arrangement, original order principle and understanding in level of archives groups. However, they just confirmed public records arrangement theory having done in each Prefectural Archives(文書館) in Japan since 1960's and embodied it. Among them, National Archives of Japan(國立公文書館) just followed arrangement method each ministry and office did. And Saitama Prefectural Archives(琦玉縣立文書館) grasped changes of the name of department, class, standard by class and organization and its affairs before public records arrangement. On the one hand,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JACAR: アジア歷史資料セン夕-) is attending on public records by web which National Archives of Japan. The Diplomatic Record Offic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外務省外交史料館). The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NIDS : 防衛廳防衛硏究所) have. JACAR arranged the public records based on provenance principle following arrangement system they ha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국호의 양상과 ‘계림’

        채미하(Chai, Mi-ha)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본 논문은 다양한 신라 국호 중 국호 계림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국호 신라는 기림이사금 10년 이후부터 사용되었지만, 사로 · 사라 등과 병용되다가 지증왕 4년(503)에 국호 신라로 정해졌으며 법흥왕대 국가체제가 정비되면서 확정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국호 신라와 계통을 달리하는 계림은 탈해이사금 9년(65) 이후 사용되었으며 지증왕 4년 이후 국호 신라가 정해진 이후에도 사용되었다. 이후 계림은 왕도인 경주를 이르는 지명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이것은 책봉호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당의 기미주 정책으로 신라왕의 책봉호는 문무왕 3년 이후 낙랑군공~신라왕(계림왕)에서 계림도독~신라왕으로 바뀐다. 이와 같은 책봉호의 변화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관념적인 것에서 명목적인 것으로의 전이였다면 신라의 입장에서는 중국 군현지배라는 역사적 경험의 극복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책봉호에 신라왕과 더불어 계림도독이 보이는 이유는 김씨 왕실의 알지에 대한 인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하였다. The nation name of Silla is various, and this thesis is shedding light on the meaning that the naKerim had. The nation name of Silla had been used since KirimEsakeum 10 years, however it had been used jointly with Saro and Sara, and determined as the nation name since Jijeung 4 years and when the nation’s system was maintained, its name was confirmed as Silla too. And Kerim which was the different descendants from Sillla had been used since TalheEsakeum 9 years and kept even after Silla was the only nation name since Jijeung 4 years. This was shown through Chaekbongho, Silla king’s Chakbongho had been changed from Nakranggungong~Silla’s king(Kerim’s king) to Kerimdodok~Silla’s King since king Munmoo 3 years. This seem to have been Chinese position’s transferring from ideal to nominal but Silla’s posion was overcoming historical experience of Chinese kunhyun ruling. And the appearing of kerimdodok together with Silla’s king in Chakbongho had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realizing of Alji of Kim’s royal family.

      • KCI등재

        신라의 冊封儀禮와 그 기능

        채미하(Chai, MiHa)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7

        본 글은 신라의 책봉의례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기능을 대내외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책봉 전후에 행해진 사신의 왕래와 그 의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혜공왕의 예를 통해 신라는 책봉을 전후하여 당에 고애사와 사은사를, 당은 조제 겸 책명사를 보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효성왕대의 당 사신인 형숙을 통해서 당 황제와 신라 왕이 책봉을 授受하는 과정에서 빈례를 포함한 다양한 의례가 행해졌다고 하였다. 이와같은 책봉을 전후한 시기에 행해진 각종 의례는 당시 정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책봉은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대한 이념으로, 당 황제는 신라 왕에게 책문․관고․정절․예물 등을 보내 당이 천자국(황제국)이며 신라는 제후국(번국)임을 明示하였다. 특히 신라 하대에는 예물을 왕 이하에게도 내렸다. 하지만 신라왕은 당의 책봉을 당연하게 여기고, 책봉을 받은 이후 사은사를 보내지 않기도 하였다. 신라 역시 책봉의 주체국으로 문무왕은 안승을 보덕국왕으로 책봉하였으며, 안승이 문무왕에게 보낸 表는 신라가 당에 보낸 乞罪表와 그 형식이 같았고 애장왕은 탐라의 조공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왕 역시 蕃國을 둠으로써 책봉의 이념을 실현하려고 하였다. 한편 애장왕은 왕 6년에 당의 책봉을 받았고 왕 9년에는 아버지인 소성왕의 책봉조서를 요청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애장왕은 당의 책봉에 앞서 왕비와 왕모를 책봉하고 당의 고애사 겸 책명사를 홀대하였다. 애장왕은 초기부터 대일본외교를 통해 친당 외교 일변도에서 벗어났고 애장왕 5년 대열을 통해 군사권을 장악하면서 왕 6년 親政에 앞서 애장왕 중심으로 권력을 집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애장왕은 왕비와 왕모를 책봉하였고 당의 고애사 겸 책명사를 홀대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이후 당은 왕을 비롯하여 왕모 등을 책봉하였지만 애장왕은 당을 견제하였는데, 이것은 일본과의 우호관계 지속이라든가 개혁정치에서 알 수 있었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the political function that Chaekbong ceremoy had internally and externally. First of all, it is studies about the coming and going of envoys and its ceremony. Seeing the example of King Hyegong, Silla sent Goaesa and Saunsa to Tang around the time of Chaekbong, while Tang sent Chaekmyungsa concurrent Joje. And seeing the example of Tang’s envoy, Hyungsook in king Hyosung period, various ceremonies including Binrye were performed in the course of rendering and receiving Chaekbong between Silla king and Tang emperor. Such ceremonies performed around Chaekbong had political character, and the ceremonies had inseparable relation with Chaekbong. Chaekbong is an idea about Chinese centered order to world, so Tang emperor sent Chaekmun, Gwango, Jeongjeol, Yemul etc. to Silla specifying that Tang is Chenjaguk(emperor country) and Silla is feudal country(Beonguk). But Silla’s kings would take Tang Chaekbong for granted, not sending Saunsa after taking it. And Silla also became a owner of Chaekbong that king Munmu did a Chaekbong to king Bodeokguk, so Pyo sent by Ansung had the same form as Pyo sent from Silla toTang. King Aejang would take Jogong from Tamla. As these showed, Silla’s kings also tried to realize the idea of Chaekbong by placing 번국. In the meanwhile, On his 6th king year, king Aejang took Chaekbong from Tang, and On his 9th king year, he asked for Chaekbongjoseo of his father, king Soseong. However king Aejang did chaekbong to the queen and king’s mother before Chaekbong from Tang and treated Chaekmyeongsa concurrent Goaesa poorly. King Aesjang broke out of pro-Tang foreign policy taking good foreign policy with Japan and seiged military power through his 5 years filing. Seen from this, king Aejang focused ruling power to king himself before his own ruling in his 6th king year. Begining his own ruling on this base, king Aejang did chaekbong to queen and king’s mother and could treat poorly chaekmyeongsa concurrent Goaesa from Tang, and Tang’s chaekbong rendered later was only a formal thing to him.

      • KCI등재

        일반논문 : 신라의 흉례(凶禮) 수용과 그 의미

        채미하 ( Mi Ha Chai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2

        凶禮는 五禮의 하나로, 弔喪이나 기근·재해 등에 대한 救恤을 말한다. 이것은『주례』에 처음 보이며 당 개원례는 동아시아 흉례의 典範이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흉례가 신라에 수용된 것은 吉凶要禮에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신라에 길흉요례가 수용되기 이전 한국 고대사회에는 중국 喪禮의 영향을 받은 喪服制 등이 있었다. 이로 볼 때 신문왕 6년 길흉요례의 수용으로 이것은 보다 체계화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신라에 수용된 흉례의 내용은 개원례, 고려, 조선과 마찬가ㅁ지로 대부분 상례이며 개원례의 흉년진무·노문질환, 『고려사』 흉례의 重刑奏對儀의 내용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하였다. 한국 고대 왕 이하 귀족들의 상례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왕의 상례, 즉 國恤이었다. 개원례에는 국휼에 대한 내용이 없지만, 品官의 상례 내용은 상세하다. 고려의 국휼은 연대기 등의 내용을 통해 조선의 국휼 내용과 비슷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고려·조선의 국휼과 당 품관의 상례 절차는 喪(殯)-葬(산릉조성)-祭(부廟)의 과정을 거쳤으며, 고려·조선의 국휼에는 嗣位, 왕위계승의식 절차가 있다. 이것은 신라도 마찬가지로, 新王의 柩前 즉위의례에 앞서 先王의 殯이 이루어졌고 즉위 이후 장례 절차에 따라 무덤이 축조되었으며 부묘가 거행되었다고 보았다. 신왕의 柩前 즉위의례와 부묘는 왕권의 위상을 드러내는 왕권 의례였다. 이 중 부廟는 先王의 神主를 종묘에 모시는 것으로, 부묘를 거행한 시점은 당·고려·조선이 각각 달랐다. 신라의 경우는 각 왕 마다 부묘 시점이 달랐으며 때로는 부묘가 정치적으로 제약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禮制에 따르면 부묘와 상복제는 신분별, 혈친의 親疎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 점을 염두에 둘 때 신라에 수용된 흉례는 신라 골품제 사회를 유지하는 데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왕실과 진골 귀족의 가계인식, 친족관념과도 관련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Hyungrye was one of Orye which said Josang or Goohyool for famines or disasters etc. This was first shown in Joorye and Gaewonrye of Tang became Jeonbum(standard regulation) of Hyungrye in East Asia. We could find out Hyungrye of China was accepted by Silla in Gilhyungyorye. But before Hyungrye was accepted in Silla, there had been Sangbokje and etc. in ancient society of Korea influenced by China`s Sangrye. Given from this, the acceptance of Gilhyungyorye in King Sinmoon 6 years made this more systemized. The contents of Hyungrye accepted in Silla included Gaewonrye, mostly Sangrye same as Gorye and Choseon and Hyungnyeonjinmoo, Nomoonjilhwan of Gaewonrye, and also contents of Joonghyungtaedaeui of Hyungrye in Goryesa. The most important thing of Sangrye of aristocrats under ancients kings in Korea was King`s Sangrye, that is, Gookhyool. Though there was no content of Gookhyool in Gaewonrye, the content of Sangrye of Poomgwan was detail. Gookhyool of Gorye seemed similar in contents with Joseon`s by chronicle`s content and etc. These Gookhyool of Gorye and Joseon and Tang`s Sangrye of poomgwan have the process of Sang(Bin) -Jang(Sanrungjoseong)-Je(boomyo), and Gookhyool of Gorye and Joseon had procedure for the right of succession, ceremony for succession to throne. This was the same in Silla in a process that Bin of previous king was made before new king`s GuJeon coronation and tomb was built according to funeral procedure after coronation and Boomyo was conducted. Boomyo was to enshrine the ancestral tablet of a previous king into the royal ancestral tombs, and the conducting time of Boomyo was different in each dynasty of Tang, Gorye, Joseon. In Silla, conducting time of Boomyo of each king was different and sometimes Boomyo was constricted by political reason. However Boomyo was the royal ceremony showing the royal status along with Gu-Jeon coronation of new king. According to Yeje, Boomyo and Sangbokje ha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positions, closeness of family blood line. In considerationce on keep of this, Hyungrye accepted in Silla had not only a certain influening the Golpoomje society but also relations with awareness of family line by royal families and Jingol aristocrats and idea of relative relation.

      • KCI등재

        사로국의 성장과 유이민

        채미하(Chai, Mi-ha)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본 연구는 사로국이 건국되고 신라로 성장하는 과정에 유입된 유이민에 대한 것이다. 우선 『삼국사기』 혁거세거서간 38년조의 진한유민・왜인・낙랑인・변한인이 그들로, 진한 유민은 혁거세보다 앞서 경주 일대에 등장한 ‘古之亡人’과 ‘朝鮮遺民’으로 사로국이 성립하는데 역할을 하였다. 왜인과 변한인 역시 사로국에 유입되어 있었고 二聖, 혁거세와 알영에게 信服하였다. 『삼국지』의 阿殘은 진한의 나머지 사람이라는 뜻으로, 낙랑계통의 유이민이 사로지역을 비롯한 진한사회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진흥왕은 낙랑군이 지배했던 옛 옥저와 동예 땅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신라왕의 책봉호에 반영된 낙랑군왕(공)은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였다. 고구려 대보인 협보가 사로국 초기에 남하한 이래 고구려 유이민은 신라에 불교를 전래하였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기도 하였다. 백제 유이민 역시 신라에 유입되었는데, 나물왕대 백제 독산성주의 망명에서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유이민은 사로국이 건국되고 성장하는 과정에 유입되면서 사로국이 고대 국가 신라로 발전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This thesis is about the immigrants when Saro-guk was established and grew bigger to Silla nation. First of all, 『Samguksagi』 Hyukgeose Geoseogan 38years sho wed that they were the immigrants from Jinhan, Wei, Nakrang, Byunhan, and the Jinhan immigrants, Gojimangin with Joseonyumin were shown around Kyungju area before the period of Hyukgeose and they played some part in establishing Saro-guk. The immigrants from Wei, Byunhan were also flowed into Saro -guk and they were subjected to two saints, Hyukgeose and Alyoung. Remained people of Jinhan was meant as Ajan in 『Samgukji』, and it was known that the immigrants from Nakrang community were continuously flowed to Jinhan comminity including Saro area. And King Jinheung occupied Okjeo and Tongye which had been ruled by Nakrang. Therefore the king(gong) of Nakrang-gun) in Silla’s chekbongho was found as reflected this fact of history. Hyeopbo, Daebo of Goguryeo came to South during the beginning period of Saro-guk and since then, immigrants of Goguryeo introduced Buddism to Silla and organized the Buddisim orders. The immigrants of Baekjae were flowed to Silla, too, which was shown in the fact that commander of Doksan Fortress exiled during king Namool period. These immigrants came in and played their parts when Saro-guk was established and grew bigger to become the ancient nation, Silla.

      • KCI등재

        신라의 城제사와 그 의미

        채미하(Chai, Mi-ha)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0

        본 연구는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되어 있는 城에 대한 제사가 우리나라에 중국의 성황신앙이 수용될 수 있었던 하나의 배경이 되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신라 국가제사에는 성이 제사대상으로 나오는데, 북형산성?가림성?도서성이 그것이다. 이들은 비록 명산대천제사와 함께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되었지만, 산천제사와는 구분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된 성들은 삼국시기 恥笑역할을 하였는데, 통일 후 지방제도가 정비되면서 그 위상에 변화가 있었다. 성은 외적으로부터 그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구축한 방어물로, 삼국통일전쟁을 경험한 신라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성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이에 신라 국가는 그것을 국가제사에 편제하여 그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였다고 보았다.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된 북형산성?가림성?도서성 중 가림성은 신라 국가제사에서 혁파되었는데, 그 제사는 지역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신라 말 지역 세력이 중국의 성황신앙을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된 성은 ‘군현성’이었다. 고려시대 성황 사는 치소가 있는 성에 위치하였다. 또한 북형산성?가림성?도서성은 군사적 요충지였다. 고려시대 성황서 역시 군사 거점 지였고 성황신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볼 때 고려시대 성황제사가 중국과는 달리 비교적 일찍 국가제사에 편제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은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된 성에 대한 제사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In this studying we could look that the rites for fortress under the rule of Silla’s national rites was the one background which made Seonghwang religion in China was accepted in our nation. In Silla’s national rites, fortress was the objects for rites and they were such as Bukhyeong fortress, Galim fortress, and Toseo fortress. These were belonged under Silla’s national rites together with rites for famous mountains and big streams but differed from rites for mountains and streams. The fortresses which were belonged under Silla’s national rites played a role as governing place during three nations era, but their prestigious position grew lower after provincial systems were consolidated. Fortress was the protectional building to protect the territory from the enemies. Silla’s experiencing the war of three nations made them consider much the role of fortress as the important military location. And Silla included the rites for fortress into their national rites and governed the territory. The Galim fortress among them was got rid of Silla’s national rites, and the rite seemed to be succeeded by provincial influentials. And this seemed to be the foundation for the provincial influentials in lateral Silla period to accept Seonghwang religion of China. And the fortress belonged to Silla’s national rites was Kunhyeon fortress. Seonghwang-sa in Gorye was located in the fortress had governing place. Galimfortress, Bukhyeong fortress, and Toseo fortress were also the important military locations. Seonghwang-sa in Gorye was the military strategic position, too and the deity for Seonghwang had the power to deal with the victory and defeat. From this, the background that the rite for Seonghwang in Gorye could be belonged to national rites comparatively early differed from China’s was searched in the rites for fortress belonged to Silla’s national rites.

      • KCI등재

        신라 왕실의 김유신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推尊

        채미하(Chai, Mi-Ha)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본 논문은 신라 중대 이후 신라 왕실의 김유신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推尊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유신은 사후 문무왕과 함께 二聖의 하나로 聖臣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중대왕실은 무열계 중심으로 정치를 운영하면서 혁거세와 알영을 이성으로, 혜공왕대의 오묘에서는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을 ‘불훼지종’으로 모셨다. 이것은 김유신의 위상이 중대 초와는 달라졌음을 말하는 것으로, 김유신 후손에 대한 중대왕실의 대우와도 궤를 같이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김유신가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였는데, 혜공왕 15년 김유신의 혼이 미추왕릉을 찾아간 것이 그것이었다. 미추왕은 혜공왕대의 오묘제 개정에서 시조대왕으로 모셔졌지만, 이와 관련해서 무열계와 내물계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 하지만 김유신의 혼이 미추왕을 찾아가 호소한 것을 계기로 그 갈등은 마무리되었다고 하였다. 이로 볼 때 김유신가는 중대 말 이후 내물계와 연합하여 신라 하대 그 위상을 유지하였는데, 김유신의 흥무대왕 추봉은 그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었다. 흥덕왕은 김유신가를 무열계 및 금관가야지역과 분리시켜 자신의 지지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김유신을 흥무대왕으로 추봉하였다. 그리고 경명왕이 김유신을 흥무대왕으로 재추봉한 이유는 후삼국이라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금관가야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김유신은 대신에서 대왕으로 그 위상이 바뀌면서 김유신의 무덤을 비롯한 여러 시설물은 대왕급으로 변하였으며 김유신은 금관가야집단의 중시조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로써 김유신가는 수로왕묘와 구분되는 새로운 제사권을 형성하였고, 진천의 김유신사는 김유신가의 家廟라고 하였다. 그리고 김유신에 대한 제사는 취선사에서도 이루어졌는데, 김유신이 대왕으로 추봉된 이후에는 취선사가 진전사원 형태로 변하였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the change in awareness of Kim Yooshin and honoring him after Silla"s middle era. Kim Yooshin was deemed one of two saints with King Munmoo and a sacred minister after his death. But the royal family in Silla"s middle era considered Hyeokgeose and Alyoung as two saints for Mooyeol lineage centered politics and during King Hyegong period, great king Taejong and great king Munmoo were deemed "Bulhwejijong". This showed the status of Kim Yooshin was changed from early of Silla"s middle era and it has the same way in treating the descendants of Kim Yooshin. Therefore the Kim Yooshin family seeked a new way and it was that the spirit of Kim Yooshin visited the tomb of king Michoo. King Michoo was deemed the first ancestor king in revised Omyo-je during King Hyegong period and there was conflict between Mooyeol lineage and Naemool lineage about this. But with Kim Yooshin"s spirit visiting king Michoo and appealing, the conflict was settled. With this Kim Yooshin family united with Naemool lineage after later of Silla"s middle era and kept the status in Silla"s later era, which was directly shown in Kim Yooshin honored a great king Hongmoo. King Heungdeok honored Kim Yooshin great king Hongmoo as a part of establishing his basis away from Mooyeol lineage and Keumgwan gaya territory. And the reason king Kyungmyung again honered Kim Yooshin great king Hongmoo was to show Silla "s ruling over Keumgwangaya in the circumstances of three-kindoms period. As Kim Yooshin"s status was changed from a minister to a great king, the tomb of Kim Yooshin and various facilities were changed to the great king"s class and Kim Yooshin was ranked a middle ancestor of Kuemgwangaya group. Kim Yooshin formed a new rite area seperated from king Sooro tomb, and thus Kim Yooshinsa in Jincheon was the family tomb of the Kim Yooshin family. The rite to Kim Yooshin was performed in Chuiseon-sa too and Chuiseon-sa was changed to Jinjeon temple after Kim Yooshin hon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