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제두 全體 개념에 관한 고찰

        진함 한국양명학회 2023 陽明學 Vol.- No.69

        This study, which is common in holism, attempts to explain and explain the significance of Jeong Je-du’s emphasis on the Quanti全體 idea. This article’s primary goal is to demonstrate that Jeong Je-du considered the Quanti notion as a reflection on the issues with Neo-Confucianism. In this essay, the substance of the Quanti thought that he wants to emphasize is divided into four parts by examining how Jeong Je-du used the Quanti notion. Firstly, Jeong Je-du believed that the components comprising Quanti could not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and there were no boundaries between them. Secondly, Jeong Je-du viewed Quanti as a relative concept, rather than asserting the existence of a single ultimate Quanti. Thirdly, the idea of Quanti encompassed not only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pieces but also the notions of development and extension in a generational sense. Lastly, the Quanti, composed of individual pieces, possessed new qualities that the parts alone did not possess, and each Quanti was unique. Based on this, two instances are provided showing how Jeong Je-du’s thoughts realistically apply the Quanti notion that he pays attention to. First off, Jeong Je-du places more emphasis on the fusion of all facets of human existence than on the division of the body and mind. Second, rather than dividing schools, he tried to understand Confucianism as a Quanti. 이 글은 전체론(Holism)에 유비하여, 정제두가 전체(全體) 개념을 강조하는 까닭과 의미를 모색한다. 정제두의 전체에 대한 강조는 주자학과 양명학에서 심(心)과 리(理)의 통합[一]과 분리[二]를 논쟁한 것에 대한 대답으로 보이며, 그의 윤리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유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이 글은 정제두가 전체 개념에 주목하게 된 계기를 주자학과 양명학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정제두는 “심과 리를 둘로 나눴다”라는 부분에 대한 학문적 반성을 통해서 심과 리의 참된 일치를 상징할 수 있는 이미지를 모색하게 되었고, 이러한 관점은 부분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드러내는 ‘몸체’로서의 전체 개념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이어서 이 글은 정제두가 사용하는 전체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그가 강조하고자 하는 전체 개념의 의미를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눠서 설명한다. 첫째, 정제두는 한 전체를 이루는 부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없고,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에 놓여있다고 본다. 둘째, 정제두는 하나의 궁극적인 전체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셋째, 전체는 공간적인 의미에서 부분 사이의 간격을 아우르는 개념뿐만 아니라, 발생론적 의미에서의 생장 및 확장을 포함하고 있다. 넷째, 부분으로 구성한 전체는 부분들이 지니지 못하는 새로운 특성을 지니게 되며, 이 새로운 특성은 한 전체가 기타 전체와 차별성을 둔다는 점이다. 이를 기반으로 정제두가 주목하는 전체 개념이 그의 사상에서 실질적으로 응용되는 두 가지 예시를 제시한다. 첫째, 윤리적인 삶의 과제에서 등장하는 주체에 대해서, 정제두는 정신과 육체의 구분이 아닌 인간 생명 전체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둘째, 학파를 나눠서 유학을 바라보는 방식이 아닌 유학의 개념에서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인 심을 중심으로 유학의 전반을 이해하고, 또한 유학의 경전에서 성학(聖學)의 전체를 대표하는 것으로『대학(大學)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공자의 ‘군자’: 최선의 마음 상태를 가진 자 - 『논어』1.1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진 함 한국동양철학회 2019 동양철학 Vol.0 No.52

        이 글은 기존의 君子의 행실·수양 등의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들과 다르게, 『논어』1.1장을 바탕으로 공자가 제시하는 ‘군자’의 마음 상태를 고찰한다. 먼저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기쁘지[說] 않겠는가?”의 부분은 『논어』의 다른 구절과 『郭店楚簡』을 참조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그렇다면 ‘說’은 기쁨 가운데에서도 배움의 과정에서 지혜의 열림[卯]에 기뻐함을 표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어서 “친구[朋]가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樂] 않겠는가?”를 해석하는 데에 ‘朋’의 의미를 규명한다면 이 구절에서 나오는 ‘친구’는 나와 딱 맞는 가까운 관계라기보다는, 서로 간에 아직 거리가 있는 사이로 여겨질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즐거움은 학문 공동체에 속한 사람을 동화시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에 생겨난다는 해석의 가능성이 열린다. 마지막으로 “사람[人]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는다면 군자답지 않은가?”의 내용은 曾子가 세 가지로 자신을 반성한다는 부분과 『논어』에서 ‘不慍’의 용례가 또 한 번 나타나는 子文의 이야기에 대한 부분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불온’은 지위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article examines the state of mind of Junzi(君子), based the reinterpretation of Analects 1.1, and also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ate of mind of Junzi and the role of Junzi. Yue(悅) is to rejoice in the opening of wisdom in the course of learning. Rather than to rejoice in repeated and arduous learning, What Confucius is trying to convey is that the sages are given real joy when they reach the final stage of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study. In addition, Junzi can have a Le(樂) mentality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This is not just a pleasure in human relationships, but a pleasure in being given the opportunity to assimilate friends. Also, a Junzi can maintain a state of mind that does not feel sad even when others do not know him. This does not refer to a situation in which a Junzi forgives the other’s lack of talent identification, and thus obtains harm himself. At this time, the definition of Junzi is not a moral order of “do something” based on moral items, but rather on the emphasis of individual learning, academic community and the state of mind obtained in the social domain.

      • KCI등재

        『성자명출(性自命出)』의 심론(心論)과 『순자(荀子)』의 심론(心論) 비교

        진함 ( Chen Han ) 퇴계학연구원 2018 退溪學報 Vol.144 No.-

        본고는 『性自命出』을 기존 유가 문헌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문헌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性自命出』과 『荀子』를 비교 분석하고, 선진유학에서 心을 통한 수양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먼저 『性自命出』과 『荀子』는 인간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을 갖고 있지만, 감정의 발생론적 측면에서 보면 모두 기 감응론적 사고와 달리 외물의 자극과 심의 작용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모든 인간은 내면에서 심이 작용하지만 현실에서 그것을 실현시키는 데 있어서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공자는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개인의 習을 통해 설명하지만 『性自命出』과 『荀子』는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敎로 설명한다.이와 같이 그 발생원인이 習에서 敎로 변화하게 된 까닭은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시대 변화에 따라 『詩』ㆍ『書』ㆍ『禮』ㆍ『樂』의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기 때문에, 이를 설명해 줄 스승의 존재가 학문을 하는 데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변화는 역시 심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부터 발생하였다. 인식의 과정에서 심의 절대적인 권위에 대한 강조는 인간이 더 이상 피동적으로 외물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심을 통해 주체적인 인식을 하는 존재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인간을 다스리는 기관인 심은 인간의 제어를 받지 않는다. 자력으로 심을 본능의 영역과 거리를 두게 하는 게 어렵기 때문에 他力을 요청하게 된다. 유학에서 스승의 역할이 강조되는 이유이다.『性自命出』과 『荀子』에서 보이는 이와 같은 심에 대한 견해는 인간의 인식 구조에 대한 재발견뿐만이 아니라 심의 작용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능동성에 대한 탐색을 돕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性自命出』과 『荀子』간의 비교를 통해 심론의 구조를 모색하는 작업은 인간의 본연성과 후천적인 행위를 연결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심과 외물, 그리고 道, 이 삼자간의 연관성을 증명함으로써 수양론이 변화하는 양상을 검토하는 일은 인성론을 대신해 선진유학의 사상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는 새로운 방법을 마련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epistemology and cultivation theory advocated by Confucianism in the pre-qin period by comparison of mind theory from Xing Zi Ming Chu and Xunzi, First of all, these two texts take an emphasis on the stimulation and deliberations of foreign objects at both the epistemology level, although differences exist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s. Also, humans all have mental function but show differences in making it happen in terms of reality. Confucius explains the cause of these differences through Xi, but Xing Zi Ming Chu and Xunzi explain the cause of the differences through education. It can be explained in two ways. First, learning has become more and more difficult to interpret or explai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so the presence of a teacher to explain it has had a hug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se changes arise from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the mind. The emphasis on absolute authority of deliberations in the recognition process means that human beings are no longer subject to physical external influences, but have changed to a dominant perception through the seam.

      • KCI등재

        하곡 정제두 심(心) 개념 재해석

        진함 ( Chen Han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6 No.-

        이 글은 기존 연구에서 심(心) 개념을 마음(mind)으로 해석하는 방식과 다르게, 정제두가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바탕을 두고 심(心) 개념에서 심장(heart)의 의미를 강조하는 특성을 검토한다. 정제두는 의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인체에 있어서 심장과 신장이 지니는 신(神)과 정(精)의 결정적인 역할을 조명하였다. 나아가 심장의 신(神)과 『통서(通書)』의 우주 생성론에서 초월적인 원리로서의 신 개념 간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신은 우주를 구성하는 기(氣)가 모든 곳에 충만하고 다 할 때가 없다는 특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인체에 있어서 심장이 박동을 통해서 혈액 순환을 이루고 한순간도 멈추지 않다는 특성을 가리킨다. 이러한 신은 곧바로 양명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도덕심’인 양지(良知)다. 마지막으로 정제두는 신에 초점을 두고 신의 실제적인 발동은 생·사·진·망의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결국 윤리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공부는 살아 있는 신[生理] 속에 양지가 가림이 없이 제대로 드러나는 것을 택하는 과정으로 본다[擇其眞理]. Unlike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concept of Xin心 as ‘mind’ in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Je-du emphasizing the meaning of heart in the concept of Xin based on the Huang Di Nei Jing黃帝內經. Jeong Je-du shed light on the decisive role of the Shen神 and Jing精 of the heart and kidney in the human body through a medical approach. Furthermore, he attempted to converge the concept of Shen神 as a transcendental principle in the theory of space creation based on Tong Shu通書. Shen神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Qi氣 that makes up the universe is full of all places and all the time, and that blood circulation penetrates the whole body through the heartbeat of the human body and does not stop for a moment. Finally, Jeong Je-du focuses on Shen神 and divides the actual evocation of Shen神 into four forms: life, death, truth and lie, and in the end, studying to become an ethical human being is viewed as a process of seeking the proper manifestation in the living Shen神.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