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 대표변인 및 AHP 기법에 의한 가중치 결정

        진성희,유미나,김태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xy variables for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weights for each proxy variable in order to derive the participation level of student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Seven proxy variables were deriv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six experts. As proxy variables, the discussion forum visit frequency, the total time spent on discussion forums, the number of posts, the number of comments and replies, the length of posts, the number of posts read, and the regularity of discussion forums visit interval were suggested and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was to be 0.83 or mor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echnique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weights for each proxy variable. As results of the study, the determined importance weight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posts 37%, the number of comments and replies 28%, the number of posts read 13%, the length of posts 9%, the regularity of discussion boards visit interval 5%, the discussion boards visit frequency 4%, and the total time spent on discussion boards 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 few future studies are propo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for establish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s a learning analysis model. Also, the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pedagogical research to the AHP technique used in determining the importance weights are derived.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참여 수준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도에 대한 대표변인을 탐색하고, 각 대표변인에 대한 가중치 값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온라인 토론활동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는 대표변인 7개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적절성과 타당성을 전문가 6인으로부터 검증받았다. 접속 횟수, 접속 시간, 학습자가 작성한 글의 수(게시글의 수, 댓글 및 답글 수), 게시글의 길이, 읽은 글의 수, 접속 시간의 규칙성 모두 내용 타당도 지수가 0.83 이상으로 산출되어 온라인 토론활동의 참여도를 산출하는 대표변인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대표변인별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계층화분석과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였다. 교육공학 및 학습분석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각 대표변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9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전체 7개 변인에 대해 비교 문항을 21개 제시하였고, 중요도 비교에 대한 기타 의견을 요청하여 종합하였다. 연구결과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응답에 대한 일관성 비율을 검증하였고, 일관성 비율 값(CR)이 < 0.1의 기준을 만족하는 자료만을 활용하여 이원비교행렬로 비교하고 통합하여 기하평균행렬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가중치 값은 게시글의 수(37%), 댓글 및 답글 수(28%), 읽은 글의 수(13%), 게시글의 길이(9%), 접속 시간의 규칙성(5%), 접속 횟수(4%), 그리고 접속 시간(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 대표변인과 가중치가 교수 학습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써의 역할과 학습분석 모델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을 제안하고, 본 연구에서 가중치 결정에 활용된 계층화분석과정 기법의 교육학 연구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영화 <세이빙 페이스>의 퀴어 서사에 대한 독해

        진성희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5

        근래 들어 개봉 당시에는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으나 OTT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가치가 재발견되는 영화들이 생겨나고 있다. 영화 <세이빙 페이스, Saving Face>는 넷플릭스에서 2020년부터 상영되기 시작한 <반쪽의 이야기, The Half of It>가 주목을 받으며 재조명된 대만 출신 미국인 감독 앨리스 우의 작품이다. 이 영화는 중국계 미국인 이주자 엄마와 동성애자 딸의 사랑 및 성장에 관한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이야기 소재와 주제를 중국의 전통 관념인 ‘체면 살리기’ 문화를 통해 위트있게 묘사해 대중으로부터 주목받았다. 최근 다양성 서사가 세계 문화 시장에서 주요한 흐름을 형성하게 되며 OTT 서비스 플랫폼은 현재 문화계의 메인스트림과 주류 관객은 누구인가를 포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부응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퀴어’, ‘이주’ 문화와 관련된 새로운 담론들이 생성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보편적 다수와 소수자의 문화를 차별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사회에서 퀴어 서사를 향한 불안과 혐오의 감정을 드러내는 일은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세이빙 페이스>는 전통과 현대적 가치관 사이에서 방황하는 이주자 집단 속 개인의 갈등과, 진로 설정 문제와 그것의 해결에만 머무르던 청춘영화 속 인물들의 고민을 인종, 성적 지향의 영역으로까지 넓혔다. 그리고 이 속에서 소수자들을 향한 묵직한 질문을 로맨틱 드라마의 구조적 관습을 경유하고 모호함의 전략을 통해 구현하며 그간 ‘차이’에 반응하는 대중의 호기심에 답하며 기이한 장르물로 소비되는 것에 그치지 않았던 퀴어 서사의 지평을 확장했다고 볼 수 있다. 퀴어 서사는 명확할 수 없고 미끄러질 수밖에 없기에 퀴어 재현 작업에서 다양한 층위와 매력을 꾀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사회는 퀴어를 향한 무수한 질문을 쏟아내다가도 그들을 함부로 재단하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세이빙 페이스>는 퀴어와 퀴어 문화를 향한 일방적 판단과 욕망 투사의 사슬을 끊고 보다 넓은 사유의 장으로 대중을 이끌고 있다.

      • KCI우수등재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내용분석

        진성희,임고운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피드백내용을 구성하는 핵심 주제와 주제별 하위 요소, 그리고 특징적 표현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2021학년도 2학기 A대학교 핵심 교양 교과목 4개 분반에서 수행한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하여 총105명 학생에게 제공된 교수자 피드백 자료 421문장을 수집하였다.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한자료를 정리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정성적 분석을 위한 내용분석법을적용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텍스트 마이닝 기법에따라 추출된 교수자 피드백의 토픽은 크게 4가지, 토론참여 및 의견교환, 주장에 대한 근거내용, 근거제시 및 인용방법, 입장선택 및 주장제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용분석법에 따라 교수자 피드백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내용’ 범주에서는 ‘이해’, ‘참여’, ‘표현’, ‘근거’ 4개의 중간 범주와 각각에 대한 총 11 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으며, ‘역할’ 범주에서는 ‘동기부여’, ‘인정’, ‘교정’ 3개의 중간 범주와 각각에대한 총 5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자 피드백 내용은 주제이해에서 비롯된의견형성과정에 대한 칭찬과 확인, 의견교환을 통한 토론 참여의 인정과 독려, 의견을 설명하고 제시하는 방법에 대한 교정, 근거자료의 수집과 사용에 대한 검토와 설명을 중심으로 한 특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두 분석 결과는 교수자 피드백 내용의 특징을 공유하면서 구체적인 맥락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상호 보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학전공 우수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탐색

        진성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13 공학교육연구 Vol.16 No.5

        This study aims to explor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of high academic achievers majoring in engineer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1 fourth-year students who had attained the first or second highest cumulative grade point average in each department during the past three-year and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on “my successful learning methods or techniques.” The essays were analyzed by theme analysis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to extract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used by high perform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of excellent students could be categorized into fundamental strategies to induce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ory strategies,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marinating self-directed learning. Detail information on each category is as follow: 1) fundamental strategies refer to positive and pleasant mind, academic confidence and effort attribution, 2) preparatory strategies refer to concrete and challenging goal setting, establishment of learning strategies adjusted courses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learning planning, 3) implementation strategies refer to intensive learning in class, knowledge exploration, knowledge acquisition, social networking and exhaustive preparation for exams and 4) management strategies refer to time manage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 KCI등재

        전공 영어강의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진성희,김학일 한국공학교육학회 2013 공학교육연구 Vol.16 No.3

        Recently, Korea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lectures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gain both specialized knowledge and enhanced English ability. Previous researches on effective EMI lectures have focused on exploring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learning outcomes. Whereas the input variables of learning have been investigated as predicting variables of effects in EMI lectures, there has been a few research for investigating process variables to yield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learner satisfaction and effects. The participants are 209 engineering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as English motivation, English competency, and English confidence, a mediated variable is Cognitive engagement, and dependent variables are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ers' English competency & English confidence → Cognitive engagement → Learning satisfaction →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Especially, the structural model confirms that the effect of learners' English confid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is mediated by the level of learners' Cognitive engagement. Further, the implication for effective EMI lectures is discussed based on the observed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정치적 올바름’ 주의와 변종 MCU의 탄생—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을 중심으로

        진성희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5 No.-

        This paper analyzes how the ‘political correctnism’, an issue of the recent popular art discourse, is reflected in films and considers how it is imagined between the subject producing culture and arts and the public, around the film Shang-Chi and the Legend of the Ten Rings(2021). An analysis on expert circles’ criticism about and Eastern and Western masses’ responses to the Shang-Chi by analyzing the formal aesthetics and narrative of it shows that the film’s discourse is largely formed based on the pros and cons on its pursuit of ‘political correctness’. Moreover, it was also possible to find the phenomenon that the subject creating the film devalues the film by carelessly pursuing the ‘political correctness’, in order not to defy the culture market’s trends. Shang-Chi, one of the MCU series produced by Marvel Studios, a giant culture company which has converted its product keynotes in sensitive response to the ‘political correctism’ for recent years, becomes the film of topical interest, in that it initially features an Asian hero. Marvel Studios, however, created what is called a Marvel variant which disrupts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MCU, as it cannot give up its stereotype toward Asia, in reorganizing the story about the new hero. Although North American audiences may perceive the specialty of Shang-Chi as a fresh factor, Eastern ones probably recognize that it deviates from MCU’s own characteristics. The political disposition of culture and art producers can be freely expressed. The unconditional pursuit of pluralism, however, is not a key to solving all issues. The objective for pursuing the diversity and extending plural awareness would be achieved, only if how the ‘political correctness’ should be used is more critically considered, under the cultural circumstance in which the Marvel hero creates a sensation, as he is from a ‘minority’ and the description of his history and background is still specially recognized. 이 글은 최근의 대중예술 담론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정치적 올바름’ 주의가 영화에 반영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문화예술을 생산하는 주체와 대중 사이 ‘정치적 올바름’ 주의가 어떻게 상상되고 있는지에 대해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2021)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에 <샹치>의 형식 미학과 서사를 분석함과 동시에 영화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비평과 동서양 관객들의 호응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영화의 ‘정치적 올바름’ 추구에 대한 찬반론을 중심으로 담론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더하여 영화 창작 주체 입장에서 문화시장의 트렌드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섣불리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해 영화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현상에 대해서도 볼 수 있었다. <샹치>는 최근 몇 년간 ‘정치적 올바름’ 주의에 민감하게 반응해 제작 기조를 전향하고 있는 거대 문화 기업 마블 스튜디오의 MCU 시리즈 중 하나로 아시아인 영웅이 최초로 등장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된 영화다. 그런데 마블 스튜디오는 새로운 영웅의 스토리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시아를 향한 스테레오 타입을 여전히 버리지 못해 MCU의 유기성을 헤치는 소위 변종 마블을 탄생시켰다. 북미의 관객들에게 <샹치>의 특별함은 신선함으로 여겨졌으나 동양의 대중들에게는 MCU의 고유한 특성에서 벗어난 영화로 인식되었다. 문화예술 생산자의 정치성은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무조건적인 다원주의의 추구가 모든 쟁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는 아니다. 마블 시리즈의 영웅이 ‘마이너’ 출신이기에 화제를 낳고 그의 역사와 환경을 묘사한 것이 여전히 특수하게 인식되는 문화적 환경하에서 ‘정치적 올바름’의 추구는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를 더욱 첨예하게 고민할 때 비로소 다양성 추구와 다원적 의식 확산을 향한 목표는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들의 시각적 대시보드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활동 경험

        진성희,유미나,김태현,김성은,이현빈,최학남 한국공학교육학회 2021 공학교육연구 Vol.24 No.1

        As online learning continues to be extended, many engineering colleges are engaged in online learning activities. One of the corecompetencies required of engineering students in a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is communication skill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are frequently used in educational fiel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vide visual dashboards inonline discussion activity systems to more effectively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However there is less qualitative studieson students' experience in discuss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engineering studentsparticipating in discussion activities using online discussion systems and visual dashboards. We interviewed 15 students who participated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o achieve their research objectives about their experience in utilizing the online discussion system,their perception of visual dashboards, and their experience in discussion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 ofthe use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y system, the visual dashboard, and the perception of a sense of social presence were understood. To be more effective in providing tool support, such as discussion activity systems and visual dashboards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instructors ne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learner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관련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산업체 수요조사: 전자, 소프트웨어, 자동차 중심의 융합교육 중심으로

        진성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se studies and industry need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s of electronics, software, and automobiles, which are the technical found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electronics, software, and automobile were derived. The areas were validated by the experts review who consisted of three industry experts and professors in the relevant fields.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echnical convergence education in each field. Industry needs survey for technical convergence education wa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Sector Council of Industrial Resources. Research instruments consisted of three parts: needs for technical convergence education, needs for the specific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electronics, software, and automobile, and opinions on convergence education. A total of 341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132 in the electronic field, 100 in the software field, and 109 in the automobile field. The industry needs for converg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develop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토대가 되는 전자, 소프트웨어, 자동차 분야 융합교육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고 산업체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전자, 소프트웨어, 자동차중심의 융합교육분야를 도출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각 분야별 융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융합교육분야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직원 341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융합신기술 교육에 대한 필요성, 융합교육분야에 대한 수요, 학부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전자분야보다 소프트웨어와 자동차분야에서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해당 분야 졸업생 고용의지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교육의 운영형태에 대해서는 융합전공 또는 연계전공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에 따라 융합교육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연어처리의 교육적 활용 연구동향 분석

        진성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rs, purposes, and educational effect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using NLP, a representative AI technology, in education. Text mining techniques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s were applied to explore research trends. The literature to apply the text mining technique was 44 papers published in KCI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2012-2021), containing similar keywords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cluding the word “education” in the abstract.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our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on the educational use of NLP, followed by intelligent teaching & learning support, exploring the educational use of NLP, Korean language learning support, and descriptive-type evaluation automation. As for the topic trend by period, intelligent teaching & learning support and descriptive-type evaluation automation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1st (2012-2015) and 2nd (2016-2018) periods, and exploring the educational use of NLP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support emerged as a new topic in the 3rd (2019-2021). Among the papers subject to text mining technique analys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25 papers that specifically reported on the analysis criteria with a high probability of topic allocation in topic modeling. The analysis contents were the first author's affiliation, academic field, school level, and research method, focusing on the subject of use, purpose of use, and educational effect of NL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arners (80%), instructors (28%), and institutions (20%) were the subjects of NLP, and the purpose of use was intelligent learning support (44%), instructional communication (20%), Korean language learning support (16%), descriptive-type evaluation automation (16%), and learning success and failure prediction (4%). In the early period, research was conducted by IT engineers to develop technologies or systems for educational use of NLP, and recently, many studies were conducted by (subject-matter) educators to analyze the effects of developing tools and applying them to actual classes. Accordingly, there were many studies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research method (68%), and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analyzed in terms of effectiveness (28%), usability (24%), satisfaction (16%), efficiency (4%), and functionality (2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교육의 다양한 맥락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인공지능 기술인 자연어처리를 교육에 활용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어처리 기술의 교육적 활용주체, 활용목적, 교육적 효과 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동향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문헌은 지난 10년간(2012년∼2021년) KCI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키워드 중 자연어처리를 포함한 유사 핵심어를 포함하면서 초록에 “교육”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논문 중 한국어를 대상으로 자연어처리 기술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논문 44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에 의한 토픽모델링 결과, 자연어처리의 교육적 활용 연구주제는 4개로 분류되었고 지능형 교수학습지원, 자연어처리 기술의 교육적 활용 탐색, 한국어 학습지원, 서술형 평가 자동화 순으로 수행 논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시기별 주제 트렌드와 관련하여 1기(2012년∼2015년)와 2기(2016년∼2018년)에는 지능형 교수학습지원과 서술형 평가 자동화 연구가 이루어졌고 3기(2019년∼2021년)에 자연어처리 기술의 교육적 활용 탐색과 한국어 학습지원 연구가 새로운 주제로 등장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 분석 대상의 논문 중 토픽모델링에서 토픽할당 확률이 높으면서 분석기준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고한 논문 25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분석내용은 자연어처리 기술의 활용주체, 활용목적,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첫 번째 저자 소속, 학문분야, 학교급, 연구방법이었다. 분석결과 자연어처리 기술의 활용주체는 학습자(80%), 교수자(28%), 기관(20%) 순으로 나타났고, 활용목적은 지능형 학습지원(44%), 교수적 대화(20%), 한국어 학습지원(16%), 서술형 평가 자동화(16%), 학습성공 및 실패 예측(4%)으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로 초기에는 IT공학자에 의해 자연어처리 기술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나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가 수행되었고 최근에는 (교과)교육학자들에 의해 관련 도구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개발연구방법(68%)으로 수행되었고 그 효과는 효과성(28%), 사용성(24%), 만족도(16%), 효율성(4%), 기능성(24%)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시사점과 추후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타자화 된 중국에 관한 일고찰

        陳性希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6 No.-

        본고에서는 데이비드 헨리 황의 희곡 《 M. Butterfly 》 를 각색한 영화 <M. Butterfly>와 연극 <M. Butterfly>을 중심으로 서구와 동양, 제1세계와 제3세계, 지배/피지배,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M. Butterfly’ 서사가 서구의 동양에 관한 전형적 담론을 탈피하려 한 방식에 의해 오히려 이분법적 모순에 빠져 셀프/복제 오리엔탈 리즘 전략을 구축하고 이에 따라 중국을 더욱 타자화하는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M. Butterfly 》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여 오페라 <나비부인>의 서사를 기본 플롯으로 삼아 쓰여졌지만 서구/남성, 동양/여성의 역학 관계를 교묘히 비틀어 변형시킨 텍스트다. 그러나 ‘M. Butterfly’ 서사는 서구의 중국에 대한 환상을 해체하려다 역설적으로 오리엔탈리즘 프레임에 더욱 갇혀버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영화 <M. Butterfly>가 서구/남성 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중국 여성/남성의 이미지를 구축시킨 것과, 연극 <M. Butterfly>가 타 문화권으로 수용되며 기존의 오리엔탈리즘을 복제하는 수사에 의해 중국을 더욱 타자화 하는 양상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M. Butterfly’ 서사의 오리엔탈리즘 해체 시 도는 한계를 갖고 있으며 동양에 대한 진정한 이해 부재와 타자를 더욱 타자화하는 것에서 여전히 쟁점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Focused on the movie ‘M. butterfly’ and the play ‘M. butterfly’ adapted from Henry Hwang’s playwright,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s related to ‘the West and the East’, ‘the first world and the third world’ ‘the ruling and the ruled’ and ‘the gender and the sexuality’. In addition, the study took a look at the narration of ‘Butterfly’ getting trapped into the dichotomous contradiction by the mode of escaping from the West’s typical discourse on the East and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the self-duplicated orientalism, and thus it examined the aspect of China’s becoming more otherized as well. ‘M. Butterfly’ was written based on the actual events with the narration of the opera ‘Madam Butterfly’ as the basic plot, but a test which skillfully twisted the dynamic relations of the West & the males and the East & the females. However, the narration of ‘M. Butterfly’ is revealing its limitation of dismantling the West’s illusion about China but paradoxically firmly being trapped in the frame of the orientalism. This phenomenon can be observed in the fact that the movie ‘M. Butterfly’ established the fatal image of the Chinese males & females threatening the West & the males, and in the aspect of the play further otherizing China with the duplicated orientalism as ‘M. Butterfly’ is accepted into the other cultural bloc. In this respect, the attempt of the narration of ‘M. Butterfly at dismantling the orientalism has the limitation, and cannot help but still remain the issue in the lack of genuinely understanding the East and the attempt at further otherizing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