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唐草紋樣을 活用한 現代 韓服의 造形性과 디자인 變化에 관한 硏究 : 디자인 CAD system을 이용하여 Using Design CAD System
진선희 배화여자대학 1999 培花論叢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1. accepting Dangchomun,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ly used decorative munyang, with our unique sensibility, 2. analyzing it's being in common use of modern Hanbok through works of famous designers in monthly publication and technical magazine, 3. pursuing diversification of design using design CAD system.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as interest about traditional culture has increased, presentation using traditional munyang has gotten influential. So, Dangchomun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 such as architecture, porcelain, etc., and traditional Dangchomun and its modernized form has been broadly used in the field of Hanbok. Moreover, since following 21C is the age of internalization, specialization, and information, using CAD equipment,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handcrafting, is inevitable for high value-added, that is, for intensifying the ability to make plans of merchandise, which is suitable for producing numerous kinds but a small amount of merchandise. As a result of designing munyang with Texpia CAD system, we could save our time and effort. For not only description of munyang, reproportion, copy, repeat, modification, and color change could be made promptly and accurately by using the program but through the use of data management, reuse of the design, which had used before, also could be done as well. As interest about tradition has been rising these days,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thesis can help continuing to new course of design as well as newly understanding of Dangchomun. Also, using design CAD system in design of Hanbok will be helpful specialization of design of Hanbok.
진선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Enter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rapidly, Korea is under going the socio-cultural change. This dissertation in vestigates the property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the role of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m, it investigates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mainly in the curriculum amended in 2007. In the age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stressed that the ethnocentrism should be surpassed for the goal. In the contents, it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new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bilingual education or multilingual education. In the aspect of method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that the teaching-learning at each level or enhancement of the program operation of diverse Korean language educations, the comprehensive arrangement of pedagogy of Korean language, the alteration in the composition of textbook and system,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program of teacher and the implementation of authorized Korean language rating. 우리나라가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여 사회문화적 변화를 맞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적 특성과 언어 교육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것을 기반으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과 교육의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변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사회를 맞아 국어과 교육은 그 목표 차원에서 민족중심주의를 넘어서야함을 강조하였다. 또 내용 차원에서 국어과 교육 내용에 이중 언어 교육 혹은 다중 언어 교육 시대에 알맞은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 새롭게 설계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의 방법 및 평가 차원에서 수준별 교수-학습 혹은 다양한 수준 및 형태의 국어과 교육 프로그램 운용의 강화, 한국어 교육 방법의 원용, 교과서 구성 및 체재의 변경,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 공인된 국어 능력 평가 시행 등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陳善姬 培花女子大學 2009 培花論叢 Vol.28 No.-
To analyze modem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embroidery, works of art presented in 'Council for Korean Embroidery Cultur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e international invitational exhibition', and Internet are classifi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their types. 1. Things that only usage of products is moderiized: shawls, Purses, tablecloths, accessories for mobile phones decorated with the traditional embroidery are the examples of these. This is the most common way out of four types, which applies the traditional embroidery to modem goods. 2. Remodeling preexisting design into new design is another way of modernization: recreating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by adding modem elements to preexisting design, reshaping Chinese characters in a modem style, and using nearly all colors other than 5 colors (blue, red, yellow, black, and white) are good examples. 3. Presentation of embroidery is also moderized: leaving blank spaces which normally filled with embroidered patterns in the past, and adapting Western applique to the traditional embroidery, for example, reshaping embroidered clothes by cutting and sewing with other clothes, are good examples. This is mostly used for households or accessones. The second and third methods are used in similar frequency. 4. Embroidering modem design in traditional ways is another way of modernization. For example, embroidering Western masterpiece or established design in traditional ways produces global impression and expresses the Korean beauty at the same time. This method is not commonly used, but constantly tried by some artists. Therefor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embroidery in respect to expressive techniques, colors, and shapes leads to our life more affluent. Besides, it will be also possible to develop cultural souvenirs with artistic values and commercial aspects.
정상묵 동시 연구-1960년대 동시의 지향을 중심으로-
진선희 한국아동문학학회 202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3
정상묵(1929〜2009)은 1960년대 동시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동시인’ 동인으로 1967년 문협의 아동문학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본격동시’ 운동 등 동시의 대전환에 앞장섰던 동시인이다. 그의 동시는 아기를 중심으로 가족의 삶을 그린 가족의 시공간,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린 서경적 동심 세계, 약자에 대한 측은지심과 꿈, 거울에 비치는 동심 세계로 나눠 볼 수 있다. 형식 및 표현 특징은 1960년대 동시의 대전환에 앞장섰던 그의 활동 이력을 그대로 보여준다. 내재율의 완전한 실현, 동화시 실험, 이미지의 병치에 의한 시적 기능의 확대, 시어 사용의 자유로움이 잘 드러난다. 동시에 형상화된 시적화자는 어린이와 전달자로 나눠진다. 어린이 시적화자는 ‘나’의 고백체 목소리, 가족이나 친구를 호명하는 목소리, 어린이 말투와 의성의태어의 반복적 사용에서 형상화되었다. 전달자 시적화자는 기본적으로 성인의 목소리와 전지적인 화자의 목소리로 그의 동심관을 보여준다. 그에게 동심이란 반드시 실제 어린이의 마음을 의미한 것이 아니다. 성인의 마음속 동심과 자연과 우주만물을 바라보는 전일체적 세계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동심이다.
진선희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8
이 연구는 ‘평생학습’시대의 초등 단계의 문학능력과 문학교육의 평가 기능을 탐색하였다. 특히 초등의 문학교육에서 길러주어야 할 평생학습 요소로서 ‘문학의 즐거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사회에 초등문학교육에서 평가가 갖추어야 할 기능도 정리해 보았다. 미래사회의 특징과 평생학습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인류는 ‘소유’가 아닌 ‘존재’로서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평생학습’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초등문학 교육에서 평생학습시대에 교육해야할 문학능력인 ‘문학의 즐거움’에 대해 기존 교육과정 탐색을 바탕으로 세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즉, ‘문학 자체의 즐거움’, ‘문학이 삶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음을 깨닫는 즐거움’, ‘문학이 주는 독자와 공동체를 비추어보게 하는 즐거움’을 초등에서 강조하여야 할 대표적 문학능력으로 제시하였다. 또 ‘문학의 즐거움’이라는 문학능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평가가 가져야할 기능을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즉 문학이 인간의 삶을 성찰하고 소통하는 즐거움을 준다는 점을 경험하고 깨닫도록 하는 평가, 학생 개개인의 문학적 즐거움의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평가, 문학경험에 대한 자신감을 제공하는 평가, 문학과 독자의 유기적 친연성을 강조하는 평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functions of the elementary literary evaluations and literary competence. Especially I focused on ‘the pleasure of literature’ which should be cultivated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Of course I arranged the functions of the evaluation in future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as belows. The human-beings must live the lives not as ‘to have’ but as ‘to be’ in future periods. The lives of ‘to be’ could be achieved by the experiencing pleasure of literature. I suggested 3 types of the pleasure of literature. That were the pleasure of literature itself, the pleasure of the awakening of life by the literature and the pleasure of introspections that the literature gave to the readers and societies. Conclusionally I suggested the functions of evaluation which could cultivate the pleasure of literature as 4 types. That is the evaluations which could find out the pupils experienced the pleasure to introspect and communicate from the literature, the evaluations to identify the pleasure of the individual pupil, the evaluations which could give the pupils the confidence in literary experience and the evaluations which could emphasize the organic affinity between the literatures and readers.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웃음의 미학을 중심으로-
진선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meanings of the aesthetics of laughter comparing Baek Seok’s fairy tale poems with that of Marshak’s. Methods :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s of laughter in Baek Seok’s narratives and to compare Baek Seok’s fairy tale poems with that of Marshak’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meanings of Baek Seok’s and Marshak’s fairy tale poems were the pleasure and joy of cognition in children. But in Baek Seok’s fairy tale poems there were more animal allegorical poems than that of Marshak’s. And there were more modern socialist construction poems in Marshak’s works than that of Baek Seok’s. Conclusion :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in Baek Seok’s fairy tale poems the aesthetics of laughter was realized and that i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Marshak’s. 목적 : 백석의 동화시와 그가 번역한 마르샤크의 동화시를 ‘웃음’의 미학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방법 : 백석이 쓴 평문에 드러나는 ‘웃음’의 미학이 뜻하는 바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를 비교하면서 웃음의 미학이 구현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 백석과 마르샤크가 주장한 아동문학의 본질로서 ‘웃음’은 단순히 풍자문학만을 뜻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그들이 말하는 ‘웃음’이 의미하는 바는 유희적 말놀이와 셈세기와 장난 등을 통한 아동 인식의 즐거움과 희열을 뜻한다. 그들의 동화시는 이러한 웃음의 구체적 실현체로서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다만 백석이 마르샤크보다 동물우화시 속에 웃음으로 감싼 교훈을 담았으며 마르샤크의 동화시는 사회주의의 현대 개혁적 건설과 관련한 작품이 더 많았다는 차이가 있다. 결론: 백석의 동화시에는 그가 주장한 웃음의 다양한 구현체가 실현되어 있었고 이는 마르샤크 동화시에 구현된 웃음과 크게 다르지 않다.
통일국가시대 초등 국어과 제재로서일제강점기 전래동화 연구
진선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5
I search for the meanings of fairy tale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s the material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that could be use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unification era. I extracted 14 typical types in 228 fairy tales that was contained in 4 books published in colonial rule. The 14 typical types are as follows: the tales of brothers, the horns and magic club, the fairy and lumberjack, the daughter and bad stepmother, the story of sons, the quarrels for wisdom, the magpie that returns favors, the story of tiger, the story of the idiot, the story of court trial, the story of friendship, the story of the rabbit, the fall of the arrogant rich, the story of lies.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ilities in 14 types as the materials of the textbooks that could be used in unification era. 이 논문은 통일국가시대 국어과 교재로 활용 가능한 아동문학 제재로서 우리나라 최초로 일제강점기에 정착 발간된 전래동화집 속의 이야기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네 권의 전래동화집에 수록된 228편의 각편을 탐색하여 대표적 14가지 유형에 대하여 내용 및 문체적 특성과 통일국가시대 아동문학 제재로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형제 이야기, 혹과 도깨비 방망이 이야기,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 계모와 의붓딸 이야기, 아들 이야기, 지혜 다툼 이야기, 은혜 갚은 까치 이야기, 호랑이 이야기, 바보이야기, 재판 이야기, 우정 이야기, 토끼전 이야기, 교만한 부자의 몰락 이야기, 거짓말 이야기 유형별로 하위 각편을 살펴 그 특징과 통일국가시대 제재로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진선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2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formal attributes of the children’s poetries in Byeolnara. Byeolnara was the children’s magazine representing the class struggle for communism after the birth of KAPF. In 1930s the children’s poetries in Byeolnara showed the class consciousness in earnest. Most critics on the class literature said “They lost the arts itself instead of the ideology.” But I don’t think so. We can see very diverse forms of children’s poetries, for example children’s songs, juvenile poems, prose poems in Byeolnara Of course in the part of contents the poetries inspiring the class consciousness were the greater part of them. The first type was the poetries expressing hatred to the ruling class. The second type was the poetries facing the painful reality. The third type was the poetry to sing class struggle. The fourth type was the poetries to describe the collapsing families and societies by poverty and exploitations. The last type was the poetries to express the affectivity of every day lives. In conclusion the suppressions and exploitations and the painful realities were well described in Byeolnara. I think that the children’s poetries in Byeolnara must be highly regarded because the poetries in that magazine expressed very well the lives and emotions of the children in that periods. 이 논문은 1930년대 『별나라』에 수록된 동시의 내용 및 형식 특성을 탐색하였다. 1930년대 『별나라』는 일제강점기 한민족에게도 확산된 사회주의 계급투쟁을반영한 동시를 수록하고 있다. 이들 작품의 구체적인 내용 및 형식적 특징과 면모를 살펴보았다. 1930년대 『별나라』에는 ‘동요’ 외에 ‘동시’, ‘소년시’, ‘幼年童謠’, ‘詩’, ‘散文詩’, ‘連作敍事詩’ 등 다양한 형태의 동시가 실린다. 7・5조 정형율의 동요 외에 다양한 리듬과 내재율의 동시와 산문시가 그 용어와 함께 수록되어 작가들의 동시 형식에 대한 다양한 실험정신과 시적 성과를 보여준다. 내용 면에서 계급주의 문학이 가지는 투쟁성 관련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구체적 양상으로 첫 번째 유형은 대상을 희화화하여 미운 감정을 표출하는 동시와 미움과 분노에서 투쟁의식의 발아를 보이는 동시이다. 두 번째 유형은 착취와압박 속에서 고통스러운 현실을 직시하는 동시이다. 세 번째 유형은 계급투쟁의노래이다. 가난과 핍박을 이기기 위한 투쟁의 외침을 담은 동시, 새날을 갈구하는마음을 담은 동시, 단결 투쟁의 용기를 북돋우는 동시, 투쟁의 모습을 그린 동시가 여기에 속한다. 네 번째 유형은 가난과 착취로 무너지는 가족과 사회를 그린동시이다. 다섯 번째 유형은 일상 속 정감을 표면화한 동시이다.
인공지능시대 문학 독서 교육의 쟁점 : ‘자각’으로서 문학 독서 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진선희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1
The ag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age of the end of labour, that of the anxiety and loneliness, that of the intangible assets, that of the realization of real-self. It means that in this age we can recover the self identity, the real-self by avoiding the competitions for the tangible assets by the labours. I think that the role of literature education must be the recovering self identity, the revelation of the innate power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the readers. I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cess is similar betwee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reading as they pursuit the wholeness and the real-Self. The literature education must guides the readers to the non-dual worlds rather than dualistic valuations and reasons. For this aims of the literature education we must guide the readers to the experiences of wholeness avoiding the trap of separations between the books and the readers. 인공지능 시대는 노동 종말의 시대, 불안과 외로움의 시대, 무형 자산의 시대, 참자아 실현의 시대이다. 이는 유형 자산을 위한 노동과 경쟁을 지양하고 인간의 참자아를 회복하고 실현하는 일이 가능해진 시대의 도래를 의미한다. 인간의 자기동일성 회복이 절실함을 뜻하기에 문학교육의 시대적 과제는 더 커지고 더 막중해졌다. 인공지능시대에 요구되는 문학교육의 역할로 자기동일성 회복에 기여하는 교육, 인간 고유의 상상력과 창의력 발현을 위한 교육, 이성 중심의 가치관을 극복하여 인간의 고통을 자각하고 치유하는 교육으로 보았다. 인간이 에고라는 이원론적이고 욕망 지향적 자아에만 함몰되지 않고 전일체성의 자각과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은 문학 독서의 과정들과 유사하다. 문학 교육은 문학과 독자의 만남이 단순한 이원론적 가치에 따른 판단과 추론에 머무르지 않도록 다양한 기회와 대화를 활용하여 비이원론적 세계로 안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독자가 문학을 대상화하지 않도록 하며 문학을 전일체적 경험의 징검다리로 삼도록 안내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