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과 기억성 경도인지장애의 K-MoCA 인지 영역 비교
지한솔,나승희,송인욱 한국임상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10 No.4
본 연구는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를 이용하여 구한 인지기능(지남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구성능력, 기억력 및 집행기능) 지수가 정상 노인, 파킨슨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in Parkinson’s disease [PD-MCI]) 및 기억성 다영역 경도인지장애(amnestic multiple domain MCI [amMCI]) 환자 간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정상 노인 30명, PD-MCI환자 30명 및 amMCI환자 3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모든 대상자에게 한국판 MoCA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MoCA 총점과 인지영역 지수를 비교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PD-MCI환자들은 MoCA의 총점, 기억력 및 집행기능 지수가 정상 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mMCI환자들은 정상 노인과 비교하였을 때, 총점과 6개의 인지영역 지수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MoCA의 총점을 확인하는 것보다 인지영역 지수를 살펴보는 것이 PD-MCI와 amMCI의 인지기능 결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지기능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의 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의 조절효과
지한솔,장승민,강연욱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3
Cognitive function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re two crucial variables in distinguishing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dementia.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have been report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instrumental ADL, which may be due to the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instrumental ADL in patients with amnestic multi-domain MCI (amMCI, n=167) and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n=82). To evaluate the global cognitive ability,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2nd Edition (SNSB-II) were administered to the patients as individual tests. The caregivers completed the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The K-MMSE and the five cognitive domain scores derived from SNSB-II such as attention,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were used as predictor variables, the score of K-IADL as a criterion variable,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sex, and years of education) as moderator variables.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g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MMSE, language, visuospatial function, memory,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scores and instrumental ADL. Years of educ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K-MMSE on instrumental ADL, but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sex. The results imply that age and years of education in the MCI and DAT groups moderate the impact of cognitive functions on instrumental ADL, and age especially has a greater moderating effect. 인지기능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변별하는데 있어 중요한 두 변인이다. 인지기능 수준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의 관계에 관해서는 일관적이지 않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연구에 포함된 대상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인지기능 수준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의 관계에서 어떤 조절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 167명과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8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와 서울신경심리검사 2판(SNSB-II)을 개인검사로 환자에게 실시하였고 한국판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척도(K-IADL)를 환자의 보호자에게 실시하였다. K-MMSE 점수와 SNSB-II에서 산출된 주의집중능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력 및 전두엽/집행기능과 같은 5개의 인지영역 점수를 예측변인, K-IADL 점수를 준거변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나이, 성별, 교육년수)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나이는 K-MMSE,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력 및 전두엽/집행기능이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년수는 K-MMSE가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성별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집단에서 나이와 교육년수가 인지기능이 도구적인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특히 나이의 조절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표면 위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에멀젼 그래프팅
지한솔(Han Sol Ji),류옥연(Xu Yan Liu),최호석(Ho Suk Choi),김재하(Jae Ha Kim),박한오(Han Oh Park)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1
Glycidyl methacrylate (GMA) was used to introduce epoxy groups on the surface of polypropylene (PP) plate, used as a substrate, through plasma-induced graft co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was applied for graft copolymerization of GMA and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solution polymerization to confirm its effect. Plasma treatment conditions under one atmospheric pressure were fixed as follows; the RF power of 200 W, the treatment time of 30 sec, the Ar gas flow rate of 6 LPM, and the exposure time of treated PP samples in air of 5 min. For graft-copolymerization, GMA concentra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was optimized to maximize the grafting degree of GMA. The maximum grafting degree of GMA was obtained at the condition of 12%-GMA concentration, 90 oC reaction temperature, and 5 hr-reaction time. Analysis results supported that the emulsion polymeriz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olution polymerization for grafting more GMAs on the surface of PP plate under the same reaction conditions.
한경수,홍혁준,지한솔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인간의 언어는 생산성이 높아 고유명사, 외래어, 전문용어 등 다양한 새로운 단어들이 생성되고 있다. 기존의 말뭉치, 사전 등이 이런 모든 단어를 미리 포함하고 있을 수 없으므로 효과적인 자연어처리를 위해서는 미등록어 인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등록어 인식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에서 활용되어 왔던 다양한 정보들을 포괄할 수 있는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명사 뒤에 등장하는 형식 형태소열의 특징, 이들과 미등록어 후보 간의 결합 관계, 미등록어 후보의 웹 출현 빈도, 미등록어 후보의 처리 대상 문서에서의 출현 빈도 등을 활용하여 후보 단어가 미등록어일 확률을 추정한다. 일반 뉴스와 경제 뉴스에서 실험한 결과 제안한 모델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폴리프로필렌 표면 위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플라즈마 유도 그래프트 공중합
최호석(Ho Suk Choi),지한솔(Han Sol Ji),정시인(Si In Jung),허호(Ho Hur),김재하(Jae Ha Kim),박한오(Han Ok Park)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for the grafting of poly(Nvinyl- 2-pyrrolidone) (PVP) onto the surface of plasma-treated polypropylene film. The plasma treatment conditions were fixed as 200 W rf power, 6 LPM Ar flow rate, 30 sec treatment time, and 5 min exposure time after treatment. For graft copolymerizat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grafting degree with respect to reaction time, reaction temperature and N-vinyl-2-pyrrolidone concentration. Maximum grafting degree was obtained at the conditions of 6 h reaction time, 90 oC reaction temperature, and 40% N-vinyl-2-pyrrolidone concentration. The introduction of PVP was confirmed by ATR-FTIR, XPS, and SEM analysis.
초음파 치료용 비집속 변환기의 구동 조건에 따른 음향 출력 평가
김한솔(Han-Sl Kim),최일홍(Il-hong Choi),박지군(Ji-koon Park),강상식(Sang-sik Kang),박형후(Hyong-hu Park),정봉재(Bong-jae Jeong),노시철(Si-cheol Noh)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추계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캐비테이션 현상을 이요한 초음파 치료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초음파 구동 신호의 형태에 따른 음향 출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제작된 중심 주파수가 1.5MHz의 고출력 단일 초음파 변환기를 이용하여 양의 펄스와 부의펄스, 양의 버스트와 부의 버스트 구동 신호에 따른 출력을 평가하였으며, 연속 사인파와 연속 사각파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구동 신호에 따른 초음파 음향 출려과 이에 따른 캐비테이션 발생량을 평가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초음파 치료 시 구동 조건 결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for an ultrasonic treatment using the ultrasonic cavitation it was observed a change in the acoustic out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nsducer excitation signal. The acoustic outpu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ulse, positive and negative burst driving signal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fabricated 1.5 MHz high power single ultrasonic transducer.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continuous sine wave and square wave were discussed. As the results of this stduy, the acoustic outputs and the cavitation yields trend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each excitatoin condition. And these result are thought be useful to decide the driving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