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Moisture, Temper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wo Soils on Imazamethabenz Degradation

        주진호,Joo, Jin-H. 한국토양비료학회 200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4 No.4

        Imazamethabenz 분해에 미치는 토양수분, 온도와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두 토양 (1.5% 유기물 함량과 pH 8.0인 Declo sandy loam 토양과 2.1% 유기물 함량과 pH 7.7인 Pancheri silt loam인 토양)이 사용되었다. 토양은 12 주간 조절된 조건 하에서 incubation되었다. 처리는 3개의 토양 수분 (45, 75, 100% field capacity)과 2개의 토양온도로서 factorial arrangement되었다. Imazamethabenz의 분해는 모든 토양수분-토양온도에서 대수직선관계를 나타냈으며, 토양온도와 토양 수분이 증가함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수분 효과는 토양 수분이 45에서 75%의 field capacity로 증가하였을 때가 75에서 100% 증가한 경우에 비해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imazamethabenz의 분해는 Pancheri silt loam에서 더욱 빨리 일어났다. X-ray diffraction의 분석에 의하면 Pancheri silt loam 토양은 점토에 hydroxy interlayer를 함유하고 있어, 즉, 보다 적은 양의 imazamethabenz를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해가 빨리 일어난 것이라 생각된다. Imazamethabenz로부터의 첫 번째 생성물인 imazamethabenz acid의 생성은 대부분의 토양수분-토양 온도에서 2차 방정식의 경향을 따랐는데, 초기에는 증가한 후 점치 감소하였다. Effects of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on the degradation rate of imazamethabenz were studied in two soils, a Declo sandy loam soil with 1.5% organic matter and pH of 8.0, and a Pancheri silt loam soil with 2.1% organic matter and pH of 7.7. Soils were incubated for 12 week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Treatments were a factorial arrangements with combinations of three soil moistures (45, 75, 100% of field capacity) and two soil temperatures (20, 30C). Imazamethabenz degradation followed first-order kinetics for all soil moisture-soil temperature combinations. Imazamethabenz degradation rate was proportional to increase of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Soil moisture effect on imazamethabenz degradation was greater when soil moisture was increased from 45 to 75% of field capacity (half-life decreased 2.6 fold) than when moisture increased from 75 to 100% of field capacity (half-life decreased 1.2 fold). Imazamethabenz degradation occurred more rapidly in the Pancheri silt loam than the Declo sandy loam soil. Formation of imazamethabenz acid from imazamethabenz followed a quadratic trend for most soil-moisture-soil temperature combinations. Imazamethabenz acid formation initially increased at earlier stages, but later gradually decreased. In most cases, increasing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appeared to accelerate it's acid breakdown to other metabolites.

      • KCI등재

        Assessment of Soil Aggregates and Erodibility Under Different Management Practices in the Mountainous Soils

        주진호,양재의,김정제,정영상,최중대,윤세영,유관식,Joo, Jin-Ho,Yang, Jae-E,Kim, Jeong-Je,Jung, Yeong-Sang,Choi, Joong-Dae,Yun, Sei-Young,Ryu, Kwan-Shig 한국토양비료학회 200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3 No.2

        Soil erosion in the hilly and mountainous uplands in the Daekwanryong area, Kangwon-Do, were investigated through a field plot experiment. The plot size was 15m long and 2.5m wide with the average slope of 12.5 percents. Soil erodibility factor (K), surface coverage (SC), soil aggregate percentage and wind erodibility (I) were evaluated in the mountainous soils under different management practices for corn and potato cultivations. Soil erodibility factor (K) was greater in upper part than in lower part of the plots. Surface coverage (SC) values ranged from 0.01 to 0.84 depending on the amounts of crop residues. Soils having a greater crop residue in surface were less subjected to soil erosion. SC values after corn harvest were 0.4 to 0.8, while those after potato harvest were 0.4 to 0.5, indicating potato might be better than corn for erosion control. Soil aggregate percentages of the experimental plots ranged from 49.7 to 79.8%. Those were higher in potato-cultivated plots with higher surface coverage,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contour tillage. Soil aggregate percentage of potato-cultivated plo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rop residue coverage after harvest. The dried soil aggregate percentage, showing the ranges of 26.4 to 56.4%, were higher in the plots with the increased crop residue incorporation. Wind erodibility (I) of the soil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surface coverage. When soil had 26.4% of the dried aggregate percentage, wind erodibility was estimated to be $183Mgha^{-1}$ which was equivalent to soil loss of $0.5Mg\ha^{-1}day^{-1}$.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에 소재하는 농촌진흥청 고령지 농업시험장에 포장을 설치하여 옥수수와 감자 작부 체계 하에 토양의 토양피복인자 (SC), 내수성 토양 입단함량, 내풍식성 입단함량과 풍식성 인자 (I)를 조사하였다. 토양 침식인자 값 (K)은 실험 처리구의 상부가 하부보다 높았다. SC 값은 식물 잔재물의 양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으며, 0.01~0.84 이었다. 수확 후 식물 잔재물의 지면 피복도 (%)에 따른 SC 부요소 값은 옥수수 재배구에서 0.4~0.8 이며, 감자 재배구에서는 0.4~0.5이었다. 이는 감자 수확 시 잔재물이 옥수수 수확 시 잔재물에 비해 비교적 많이 남기 때문이었다. 시험 포지 토양의 입단함량 범위는 49.7~79.8%이었다 옥수수 재배구 중 화학비료 및 유기질 비료를 시용하고 등고선 경운 방법에 의한 처리구가 입단함량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 수확 후의 피복도 (%)와 입단 함량 (%)의 관계는 회귀관계식이 성립되며, $r^2$는 0.96 이었다. 옥수수 재배구의 평균 입단함량이 감자 재배 포장의 평균 입단함량보다 다소 낮았다. 시험 포지 토양의 내풍식성 입단함량의 범위는 26.38~56.45% 이었다. 옥수수 재배구의 토양 입단 함량 (%)은 수확 후 잔재물과 유의성이 있었다. 옥수수 재배구 중 화학비료 및 유기질 비료를 시용하고 등고선 경운법에 의한 처리구의 경우 내풍식성 입단 함량은 26.42%로 풍식성 인자를 계산하면 $183Mgha^{-1}$이고, 토양의 휴조도 인자 (K')는 0.52이었다. 이에 따르면, 년 중 기상상태가 풍식이 일어날 수 있는 건조 상태일 경우 최대 풍식 가능량은 1일 $0.5Mgha^{-1}$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 SCOPUSKCI등재

        YBCO-Ag 복합초전도체의 강도, 파괴인성 및 초전도성질에 관한 연구

        주진호,어순철,Joo, Jin-Ho,Ur, Soon-Chul 한국재료학회 1998 한국재료학회지 Vol.8 No.5

        은(Ag)의 첨가가$ YBa_{2}$$Cu_{3}$$O_{7-\delta}$ (YBCO) 고온초전도체의 미세조직,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소량의 Af(5, 10, 15 vol.%)는 각각 금속분말상태와 질산염인 $AgNO_{3}$초전도체의 강도와 인성값이 Ag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Ag입자에 의해 야기되는 강화기루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Ag를 질산염의 분말상태로 첨가하여 만든 YBCO-Ag 복합재료가 금속분말상태로 첨가하여 만들었을 때보다 강도 및 인성값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gNO_{3}$를 첨가한 복합체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것은 Ag 입자가 더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g 첨가로 인해 YBCO 복합초전도체의 전류밀도값은 미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Ag ad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related mechanical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 YBa_{2}$$Cu_{3}$$O_{7-\delta}$ (YBCO) superconductors. A 5-15 vol.% of Ag was added to YBCO in the forms of Ag and $AgNO_{3}$, powder and the resultant microstructural evolution was evalu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of YBCO increased with increasing Ag content. These improvements in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strengthening mechanisms caused by the presence of Ag. In addition, YBCO-Ag composite superconductors showed higher values of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when Ag was added in the form of AgNO, than those of which was added Ag. The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of YBCO- Ag resulting from $AgNO_{3}$, addition are probably due to the microstructure of more finely and uniformly distributed Ag particles. The addition of Ag also showed slightly improved critical current density of YBCO superconductors.

      • KCI등재

        한국인에서 자궁 내 성장지연 신생아의 망막출혈 빈도

        주진호(Jin-Ho Joo),김영균(Young-Gyoon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1

        목적: 자궁 내 성장 지연이 있는 신생아 27명 중 망막 출혈이 있는 환자 3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환자 중에서 자궁 내 성장 지연이 있는 27명의 안과 협진 환아 중 도상검안경검사를 이용하여 망막 출혈 여부를 확인하였다. 3명의 환아가 망막 출혈의 소견을 보였다. 3명 환아의 평균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g)은 37+6주/2,086.7 g이었으며, 환아 3명 중 한 명의 산모는 양수 과소증이 있었다. 분만 방법은 망막 출혈이 있는 환아 3명 중 2명이 질식분만을 하였고 나머지 1명은 제왕 절개를 시행하였다. 3명 모두 출산 당시 분만과 관련된 외상은 없었으며 망막 출혈은 첫 안과검사이후 2주 이내에 호전되었다. 결론: 자궁 내 성장지연 환아에서 망막 출혈 소견을 보인 환아 3예를 관찰하였고, 3예 모두 2주 이내 호전됨을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We report 3 cases of patients with retinal hemorrhage among 27 newborns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Case summary: Twenty-seven newborns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were examined using the indirect ophthalmoscope for confirming retinal hemorrhage which was observed in 3 patients. The me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g) of the 3 patients were 37+6 weeks and 2,086.7 g, respectively. Among the 3 newborns, 1 patient’s mother had oligohydramnios. Two patients were delivered vaginally and 1 by cesarean section. All 3 patients had no birth trauma and the retinal hemorrhage was resolved within 2 weeks after the first eye examination. Conclusions: We observed 3 cases with retinal hemorrhage in neonates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which improved within 2 weeks.

      • 천연물과 VOC의 항균 효과 및 Siderophore

        주진호 ( Jinho Joo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인삼(panax ginseng)은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이며, 국내에서는 인삼경작지에서 매년 2천만 파운드 이상의 건삼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중국, 일본, 그 외 여러 나라에 수출되고 있다. 인삼은 다른 작물에 비해 낮은 생산성을 보이는데 이는 주로 병해로 인한 피해 때문이다. 이에 천연물과 VOC처리로 인한 항균 효과와 뿌리썩음병 억제형 토양을 위한 Siderophore에 관한 내용을 보고하고자 한다. 0.1%의 Rosemary essential oil처리로 Sclerotinia nivalis를 완전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e.) 에쎈셜오일의 항곰팡이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0.3%의 에쎈셜오일로서 Altcmaria panax, Botrytis cinerea, Cylindrocarpon destructans, Fusarium oxysporum,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Sclerotinia nivalis을 완전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화학적 조성은 citral (2, 6-octadienal, 3,7-dimethyl) (76.94%), verbenyl ethyl ether (3.98 %), geranic acid (2.57%), artemiseole (1.12%)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씨더포어 생산능이 가장 높은 균주는 Pseudomonas putida KNU9와 KNU3으로서 85, 84%의 생산능을 나타냈다. Pyoverdine은 토양 내 철 결핍 시 Pseudomonads에 의해 생성되는 Siderophore이다. 근권에서 분주한 균주 중 P. putida속이 가장 높은 Siderophore 생성을 나타냈으며, DNA 분리, PCR, E. coli DH 5a transformation을 통하여 pyoverdine 대사에 주요하게 관여하는 7개의 gene(pA, PvdA, pD, PvdD, pH, PvdH, pL, PvdL)으로 나타났다. 씨더포어화합물은 철 결핍토양에서 주로 생합성 되지만 이 화합물은 다른 금속이온들과도 결합한다. 따라서 다양한 근권 진균을 이용하여 Zn<sup>2+</sup> 농도를 달리하여 씨더포어화합물의 생성을 알아보았다. 이 균주들은 Panax Ginseng의 근권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의 씨더포어 생성능은 Chrome azurol S(CAS)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철 결핍 환경에서 Zn<sup>2+</sup> 농도 증가시 씨더포어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씨더포어 생성은 200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Zn<sup>2+</sup> 농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균주는 Penicilliiim sp. JJHO로서 이는 P. commune와 18s-rRNA 서열분석결과 100% 상동성을 나타냈다. 정제된 Penicillium sp. JJHO는 UV, FTIR, MALDI-TOF-MS spectra를 통하여 화학적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