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저인지(低認知) 과학저널리즘과 관행적 뉴스 담론 :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에 대한 보도를 중심으로

        주재원,김창욱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6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지열발전소의 물주입에 의한 촉발 지진으로 진도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포항지진 이전 한국사회는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촉발할 수 있다는 위험성에 대해 심각하게 인지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지열발전에 관한 한국 사회의 위험인지 부재를 ‘저인지(低認知, Hypocognition)’로 명명하고, 이 현상과 한국언론의 지열발전에 대한 관행적 뉴스 담론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57년 7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총 7개 주요 언론사들 -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매일경제> - 의 기사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언론은 지열발전에 대한 논의가 장시간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이루어지기보다, 지진이라는 센세이셔널한 이벤트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과학저널리즘의 ‘사건 기사화’ 양상을 띄고 있었다. 또한 한국 과학저널리즘의 문제로 지적되어온 받아쓰기 보도 관행, 전문성을 결여한 과학저널리즘, 그리고 정파성에 근거한 보도 관행 역시 발견되었다. 이러한 관행적 뉴스담론은 지열발전이라는 과학기술에 대해 균형 잡힌 정보를 공중에게 제공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지열발전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거의 부재했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열발전에 대한 한국의 과학저널리즘에는 ‘과학’도 ‘저널리즘’도 부재하다는 사실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A magnitude 5.4 earthquake triggered by a geothermal power plant occurred in Pohang city, South Korea in 2017. Before the earthquake, Pohang and Korean society were unaware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geothermal energy. Based on the concept of ‘hypocogn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lack of risk perception at the social level and the conventional news discourse on geothermal energy in the Korean news media. This study analyzes news articles from seven major newspapers from July 1957 to December 2019 and shows that the Korean news media tends to report on geothermal energy by focusing on sensational events such as earthquakes rather than continuously discussing geothermal energy for a long period. Using a combination of media news frame analysis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prior to the Pohang earthquake, Korean media coverage on geothermal energy consisted of: 1) economic effectiveness of geothermal power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economy frame), 2)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tages of geothermal power and differences from existing energy sources (science and technology frame), 3)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geothermal energy (environment frame), and 4) the way to develop geothermal power from an energy policy perspective (politics frame). However, after the Pohang earthquake, the Korean media's news frame on geothermal energy shifted toward the cause of the earthquake triggered by the geothermal power plant (science and technology frame), compensation for earthquake damages to citizens, and the controversy over who was responsible for the earthquake (politics frame). Due to this news frame shift, news reports emphasizing the economic benefits of geothermal energy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as well as its eco-friendliness, are decreasing. To put it simply, the Korean media discourse on geothermal energy changed from ‘geothermal energy as economic and eco-friendly science and technology’ to ‘geothermal energy as a problematic science technology that causes earthquakes and creates a political dispute regarding who is responsible for the earthquake’ before and after the Pohang earthquake. It is noteworthy that, prior to and even after the earthquake, media reports regarding geothermal energy still rarely include frames on ‘morality/ethics’, ‘scientific/technical uncertainty’, and ‘uncontrollability’ that can arise when certain sciences and technologies are introduced socially. It is doubtful that geothermal power plants could have been installed so easily in regions susceptible to earthquakes if these aspects of social discussion existed in the media frame. Accordingly, Korean society was in a ‘hypocognition’ state, in which the absence of systems of frames relating to the potential problems associated with geothermal energy, and the insufficient and biased reporting of geothermal energy by the Korean media, contributed greatly to this social hypocognition. In addition, this study illustrates that chronic journalistic malpractices in Korean science journalism, including ‘He said/She said journalism’, ‘science journalism lacking professionalism’, and ‘partisan reporting practices’, are also prevalent in geothermal energy reports. By analyzing media discourse as well as journalistic practices on reporting geothermal power, this research ultimately argues that there was neither ‘science’ nor ‘journalism’ in Korean science journalism.

      • KCI등재후보

        Conceptualising Korean Nationalism -Focusing on the Modern History and Societal Context-

        주재원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6 No.-

        Korean nationalism is maintained and strengthened by education acquired from individual socialisation and national institutions. Schools and media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on. In order to explain nationalism and discriminative reality in Korean society, we need to examine not only universalistic sociological theories, but also particular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within a Korean context. In this study, I contextualise and discuss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nationalism.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s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key issues surrounding meanings of Korean nationa lism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ationalism as formed in Korean society. Korean nationalism has been formed through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over a period of time; therefore it cannot be described through mere rhetoric, but is a highly complex and longstanding phenomenon.

      • KCI등재

        경제뉴스는 왜 불편한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권별 경제뉴스의 감성분석

        주재원,김한울 한국문화경제학회 2020 문화경제연구 Vol.23 No.2

        The importance of the economy in modern society is gradually increasing. Economic issues,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have influences that they surpass political issues. It is well known that all governments' top priorities have been focused on the economy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and that the economy has a huge share of the government's assessment. On the one hand, however, the economy is a very professional sector. That is why most members of society grasp economic issues through press reports. So is economic news really a rational/reasonable result produced on the basis of objective data? Why does reading economic news create more discomfort than satisfaction from acquiring new information?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study begins at this very point. On the premise that economic news has a great impact on Korean society, this study wanted to analyze whether economic news is produced emotionally and to what extent this tendency appears. Studies have revealed that press outlets have been reporting inconsistent reports by the administration. Next,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motional scores and real economic indicators (KOSPI, Economic growth rate) showed that there was generally no correlation and that each media company showed a correlation if it had an interest with the administration. In other words, the economic news reported by the Korean press confirms that it is closer to an interpretative nature that can vary emotionally depending on political interests rather than an analytical nature of objective facts. This study is of academic value in that both producers and inmates of economic news recognize that economic news can also be a combination of emotion and subjectivity, and call for a sense of the problem that an alternative is needed to supplement it. 현대 사회에서 경제는 모든 사회 이슈들을 능가할 만큼 중요하게 간주된다. 특히 IMF 외환위기 이후 역대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경제를 살리는 것이었고,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에 있어서도 경제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하지만, 한편으로 경제는 매우 전문적인 분야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구성원 대다수는 언론 보도를 통해 경제 이슈를 파악한다. 그렇다면 과연 경제뉴스는 객관화된 데이터를 근거로 생산된 합리적/이성적 결과물일까? 왜 경제뉴스를 읽으면 새로운 정보 습득으로 인한 만족감보다 불편한 감정이 생길까?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경제뉴스가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는 경제뉴스의 감정적 뉴스 생산 여부를 분석하고, 어느 정도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언론사들은 정권별로 일관적이지 않은 보도를 해왔다는 것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성점수와 실물경제지표(코스피, 경제성장률) 사이의 상관분석 결과 대체로 상관관계가 없으며, 언론사별로 정권과 이해관계가 있으면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나타났다. 즉, 한국언론이 보도하는 경제뉴스는 객관적인 사실관계에 대한 분석적 성격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감정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해석적 성격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경제뉴스의 생산자와 수용자 모두 경제뉴스 또한 감정과 주관이 결합한 결과물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환기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 미래 토양수분 감소 발생 시기 예측 연구

        주재원,정수종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기후변화로 인한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는 극한기상 사상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환경, 수문순환 과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 정책 결정을 위해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 시기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토양수분 감소의 공간적 변화보다 시간적 변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RCP2.6, RCP8.5)에 따른 Intergoven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 (ISI-MIP) 체계 방법을 적용한 30개의 기후모형 자료를 이용하여 심각한 수준의 미래 토양수분 감소가 발생하는 시기를 예측하였다. 두 RCP 시나리오 모두 2060년 이내에 서유럽, 미국 동부, 남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호주 중국 남부에서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가 발생하는 것을 보였다. 특히 미국 동부, 호주, 중국 남부지역은 이미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가 시작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2010년대 중후반에 급격한 토양수분 감소에 관한 기존 관측 연구들의 분석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는 21세기 말까지 전 세계 지표 면적의 약 15% (RCP2.6)과 29% (RCP 8.5)가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온실가스 배출 추세인 RCP 8.5 시나리오에서 지구 기온이 1.5도 상승하기 이전에 이미 전 지구 지표 면적의 10%가 심각한 토양수분 감소가 나타나며, 지구 기온이 2도 (2046년) 증가하기 이전에 이미 약 23%의 면적이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로 인한 피해를 받게 된다. 이처럼 얼마 남지 않은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로부터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 및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가까운 미래에 초점을 둔 심각한 수준의 토양수분 감소 시기 예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