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문화거버넌스 연구 : 문화정책 및 행정을 중심으로

        주동범(朱東範),채원호(蔡源互)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7 No.3

        본 연구는 프랑스의 문화정책의 배경, 문화정책의 비전 및 목표, 문화통신부의 역할 및 주요 업무, 문화행정 조직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한 후 이로부터 우리 나라의 문화정책 및 행정에 시사할 수 점들을 이끌어내어 향후 우리 나라의 문화정책 및 행정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랑스 문화정책 및 행정과 관련된 각종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랑스 문화정책은 국가주도형 성격을 띠고 있으며 문화정책의 비전 및 목표는 문화를 하나의 산업으로 육성시켜나가되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은 철저히 보호하려는 소위 육성과 보호차원의 이원적 패러다임을 유지하고 있다. 육성 패러다임 속에서 주력하고 있는 분야는 문화산업, 문화예술, 문화미디어 분야이며, 보호 패러다임 속에서는 자국의 문화정체성의 유지 및 강화에 그 초점이 있다. 이러한 프랑스 문화정책 및 행정을 중심으로 한 문화거버넌스 분석을 통하여 (1) 대중문화의 강조, (2) 지역중심의 문화, (3) 주변부 문화에의 관심, (4) 지역성과 세계성의 연계, (5) 문화와 통신의 통합, (6) 타국민의 문화적 융합 등에 대한 시사점을 끌어낼 수 있다.

      • KCI등재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문제와 대응 방향

        주동범 역사와교육학회 2023 역사와 교육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문 제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학령인구 변화와 소규모학 교 문제, 소규모학교 현황과 주요 쟁점, 그리고 소규모학교 문제에 대한 대응 방향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을 소 규모학교 관련 집단의 인식 연구, 소규모학교 제도⋅정책 관련 연구, 소 규모학교 교육과정 관련 연구, 소규모학교 교사 관련 연구, 소규모학교 학생 관련 연구, 소규모학교와 지역사회 관련 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분 석하였으며, 그 시사점을 6가지 제시⋅논의하였다. 그리고 UN의 세계 인구 추계, 우리나라 출생지표 및 학령인구 추세, 시도별 학생 수 변화 등에 기초하여 학령인구 변화와 소규모학교 문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지역규모별 학생 수 변화, 학교통폐합 현황 등을 통해 소규모학교 현황을 제시하였고, 학교통폐합과 관련된 주요 쟁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소규모학교의 교육력 향상 차원 에서 소규모학교 문제에 대한 대응 방향 6가지를 제시⋅논의하였으며, 소규모학교와 지역사회의 융합 차원에서 소규모학교 문제에 대한 대응 방향 6가지를 제시⋅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령인구 감소 및 학 교통폐합에 대응하고, 소규모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발전을 위해 어떤 점들이 연구될 필요가 있는지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small school in rural area due to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to suggest directions that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these problems. To this end, I sought to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small school, changes in the school-age population, small school issues, the current status and major issues of small school, and the response directions of the problems of small school. First,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small school were analyzed by research on perceptions of groups related to small school, research on small school systems and policies, research on small school curriculum, research on small school teachers, research on small school students, and small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nd six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And, based on the UN's world population estimates, Korea's birth index and school-age population trend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by city and province, changes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problem of small school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small school was presented through Statistics Korea's future population projections,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by regional size, and the status of school consolidation, and major issues related to school consolidation were presented. Through this, this study presented and discussed six response directions for the problems of small school in terms of improving their educational capabilities, and presented and discussed six response directions for the problems of small school in terms of convergence between small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Lastly, I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on what needs to be studied to respond to futur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and school consolidation, and for connections and development between small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주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 포함된 독립변인은 학생배경 변인(성, 학년, 성적, 담임교사 성, 담임교사 교직경력)과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며, 종속변인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이었다. 총 834명의 중학생들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생배경 변인 중 학년, 담임교사의 성, 담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1학년생들이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전체 및 하위척도에 대해 가장 높다고 지각하였다. 그리고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전체 및 하위척도에 대해 남자 담임교사가 여자 담임교사보다 높다고 지각하였으며, 교직경력이 5년 이상~10년 미만인 담임교사가 가장 높다고 지각하였다. 둘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전체와 하위척도는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하위척도 중 자신감을 제외한 하위척도 및 자기효능감 전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배경 변인을 통제한 후에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전체 및 자기조절효능감 및 과제난이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탐색

        주동범 한국상담평가학회 2010 상담평가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논의해보면서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탐색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비록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문헌이나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지만,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를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는 예술교육을 기본으로 하나 기존의 예술교육이 갖는 장르 중심적 사고를 뛰어넘는 통합적 교육방법을 수용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하고 문화예술교육 역시 그 범위를 확대하여 미적(학) 교육, 문화 다양성 교육, 여가교육, 매체교육, 문화적 문예교육이 지향하는 개인적 심미 체험, 창의적․성찰적․소통적 역량을 북돋워줌으로써 개인의 발전과 성숙은 물론, 사회의 문화적 성장과 성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유기적 연계교육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로는 문화적 문해, 문화적 대응력 향상, 역사적․사회적 맥락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식 함양, 자존감 고양과 자아정체성의 재발견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를 담당하는 전문가가 풍부해야 한다. 따라서 기술과 지식이 결합될 때 가장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농 간 고교 교육격차 및 교육균형 발전방안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주동범,정일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농 간 고교 교육격차 및 고육균형 발전방안에 대한 교원 인식 및 배경특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농 간 교육격차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경북지역 고등학교 교원 72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체적으로 볼 때, 교원들은 학교장의 학교경영 방식,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학교 특성화 프로그램, 학교시설, 행?재정 지원 등에서 도농 간 격차가 다소 크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사능력에 있어서는 도농 간 격차가 크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교원의 배경특성별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도농 간 고교 교육격차 발생 원인에 대해 교원들은 행?재정 지원의 차이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이것은 직위별과 재직학교 유형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도농 간 고교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시급한 개선사항에 대해 교원들은 행?재정 지원의 차이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이것은 직위별, 재직학교 유형별, 학교 소재지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도농 간 고교 교육균형 발전방안에 대해 교원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특히, 읍면지역에 대한 행?재정 지원의 대폭 확대, 시설 낙후 학교에 집중 투자 방안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인식은 교원의 배경특성별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정책적 시사점 등이 제시되었다.

      • 어머니의 직업이 자녀의 교육 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동범,주은경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1997 교육학논총 Vol.18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school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The research focused on three main questions: (1) What is the impact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2) Does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if any) varies by the child's gender and age? (3) Do family income,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for the chi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school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The sample consisted of 1,294 fifth and tenth graders who were attending public schools and living in both parents families in Taegu, and their mothers. Children wer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design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ir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spirations, the degree of parents' involvement in their education. Mothers were sent a questionnaire constructed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ir and their husbands' background characteristics, employment, their and their husbands' educational expectations for the child. The analyses used three measures of maternal employment: (1) whether employed, (2) if employed, part-time/full-time, (3) the number of hours worked. Descriptive and Ordinary Least Square(O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full sample of fifth and tenth graders as well as by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The results of the full sample of fifth and tenth graders showed that maternal employment influence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negatively. After controlling for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family income,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children whose mothers were working full-time and children with mothers who worked more hours per week had lower educational aspirations, compared with those with mothers not in the labor force and those with mothers who worked fewer hours per week. Other variables such as the child's grade level, family income,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ducational aspirations. The results analyzed separately by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revealed that full-time maternal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hours worked had negative effects on girls' (but not boys') and fifth graders' (but not tenth graders') educational aspirations. Girls with mothers working full-time had lower educational aspirations than those whose mothers were not working. Fifth graders whose mothers were working full-time had lower educational aspirations than tenth graders with mothers not in the labor force.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varied by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M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in part mediated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suggesting that the harmful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especially girls' and fifth graders' educational aspirations, can be compensated for by working mothers' involvement in children's education. These findings, gender and age difference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효과적인 교사 분석

        주동범,안우환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1999 교육학논총 Vol.19 No.2

        Using 275 fifth and sixth graders, this study examines what are the factors in the teaching behavior of effective teacher, an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fifth and six graders and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perception of effective teacher. The findings show that although the factors are not consistent with theoretical factors assumed by researchers, six factors(clarification, organization, diversification, motivation, behavior management, and learning management) are identified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The findings also show that fifth graders perceive organization, diversification, and learning management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and females perceive clarification, organization, diversification, motivation, and behavior management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ffective teacher, and six factors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are discussed.

      • 포스트모던 시대의 성인교육

        주동범,정진국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1997 교육학논총 Vol.17 No.-

        This study examined adult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ity,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what is adult educa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dult education, and what is the tendency of postmodern adult education with American or western adult education in the center.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adult education is variably defined, and today rapid social and cultural change tends to make the concept complex. However, adult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counties is regared as a systematic discipline beyond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nd social education for adults. These countries tries to define adult education based on its function and goals. Therefore, today's adult education is defined as education, in which scientific and empirical approach such as needs assessment and critic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ntents are used.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main tendency of postmodern adult education is critical adult education and participative adult education. The critical adult education emphasizes cultural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all things related to adult education are constituted. And, the participative adult education emphasizes that adult learners have to participate in deciding educational activities or contents related adult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in Korea, for enhancing adult education and making adult education an independent discipline, m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 KCI등재

        The Case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of Career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y

        주동범(Ju Dong Beom),정일환(Chung Il 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대학에서 진로교육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한국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Florida State University), 콜로라도주립대학교(Colorado State University),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를 선택하였고, 이들 3개 대학교에서 진로교육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진로교육 시스템, 코스들, 상담시스템 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3개 대학들에는 ‘진로센터’ 또는 ‘진로서비스’라는 공식적인 조직이 있다. 둘째, 진로교육 내용으로서 학생이해에 의한 진로상담이 매우 강조된다. 3개 대학들은 전공 선택이나 진로 선택 문제를 가진 학생들을 위해 심층 면담과 같은 다양한 진로상담 방법들을 사용하면서 진로 또는 전공 선택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셋째, 3개 대학들은 진로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들을 운영한다. 특히. 네트워킹의 강화는 중요한 목표이다. 마지막으로, 3개 대학들은 진로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과목들을 운영하며, 다양한 자료들을 개발한다. 진로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과목들은 크게 진로 계획 과목들과 직업 찾기 과목들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주요 결과들에 기초하여 한국 대학의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career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y and draw som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study chose Florida State University(FSU), Colorado State University(CSU),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PSU), collected the information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above three universities, and analyzed career education system, courses, counseling system, and so on.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Firstly, there is official organization in universities. Secondly, career counseling by student’s understanding as career education content is very emphasized. The universities tries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career or major choice using various career counseling methods including intensive interview for students who have major choice or career choice problem. Thirdly, the universities operate a number of programs and events for career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inforcement of networking is an important objective. Finally, the universities operate various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nd develop numerous materials. The various cours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divide into career planning courses and job search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