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셀프 가운셀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현재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999 동서정신과학 Vol.2 No.1

        본 연구는 셀프 카운셀링이라는 비교적 생소한 상담방법을 소개하여 상담장면에 많은 융통성을 제공하고자 한 연구이다. 최근의 상담의 경향은 중심이 되는 한가지 이론 위에서 내담자의 상황에 맞게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는 절충주의 적인 경향이 대세를 이루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 가지 이론으로 모든 내담자를 상담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셀프 카운셀링은 개인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안겨 주었던 일을, 내담자 스스로 그 당시 자신과 상대방의 행동, 감정, 사고들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정리해 가면서 자신과 상대방의 내면을 통찰해 나가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시공간적 제약 없이 내담자 스스로 언제 어디서건 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학생들에게 방법을 설명하고 상담을 실시해본 결과, 자신과 상대방의 감정과 생각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셀프 카운셀링은 개인상담, 집단상담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학교장면에서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지도의 형식으로도 활용될 수도 을 것이다. 특히 서로의 말과 표정 행동들을 직접 볼 수 없어서 감정이나 생각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 불리한 인터넷 상담에 깊이를 더해 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r providing much elasticity with counseling spots by introducing comparatively unfamiliar counseling method. The recent propensity of counseling is that eclecticism of using various technique to be in harmony with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n counselor is, on one central theory, is spreading predominantly. It is because counseling all client on one theory has its limit. The self-counseling introduced in this study is the method of seeing through the inside of each of them while arranging the behaviors, emotion, and thoughts of himself and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order of time.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client can use it wherever and whenever for himself without the constriction of space time. The results from having done counseling after explaining the way to university students made me sure that it would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deep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himself and the subject. The self-counseling may be used in personal counseling, group counseling spot. Especially it could be a good way to add additional profundity to internet counseling which is at a disadvantage in conveying emotions or thoughts because of the impossibility of seeing the words, looks, and behaviors of each other directly

      • KCI등재

        Ingenol Mebutate 겔 도포로 치료한 소아 물사마귀 1예

        조현재,오병호 대한피부과학회 2017 大韓皮膚科學會誌 Vol.55 No.2

        5세 여자 환아가 안면부, 체간 및 사지에 발생한 소양감을 동반한 반구형 모양의 진주색 구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A, C). 병변은 내원 7개월전 안면부에서 시작되어 주변부와 접촉부위에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개인의원 및 타 대학병원에서 물사마귀로 진단받고 소파술 시행을 권유받았으나 환아의 치료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시행하지 못하였다. 본원에서도 도포마취 후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호자의 동의하에 하여 2∼3일 도포만으로도 치료효과가 있는 약물이다<sup>1</sup>. 최근 IM 도포로 물사마귀 병변을 치료한 증례보고가 있는데<sup>2</sup>, 도포 시 제형성부위의 각질형성세포가 괴사되고 연속종소체가 빠져나오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대한 세포성면역반응이 촉진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adapalenegel<sup>3</sup>, tretinoin cream<sup>4</sup>, imiquimod cream<sup>5</sup>을 이용하여 물사마귀를 치료한 보고가 있으나, 도포기간이 평균 8주 정도로 길고 치료효과 또한 50∼60%로 낮다는 단점이 있다3-5. 본 증례와 같이 지속적으로 전파되는 양상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시급한데, 환아의 치료협조가 어렵다면 전통적인 소파술 대신 IM 겔의 사용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디지털 스토리텔링 관련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조현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5 No.-

        2000년대에 들어서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기존의 주된 관련 분야였던 게임,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이제는 모바일 콘텐츠, 웹 커뮤니티, 모션그래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의 수와 연도별 추이, 세부 연구 분야의 변화 등을 파악하여 향후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회도서관 웹사이트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라는 키워드를 검색한 결과 학위논문 29개가 검색되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디자인 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구현되어감에 따라 인터페이스와 공간의 구분이 사라져가고 있으며 이 두 주제가 결합되어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할 논문들이 향후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근원으로부터의 연구가 시도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또한 그동안 주류를 이루었던 교육, 언론 뿐 아니라 새로운 타 분야에도 접목되어 응용될 것이다. 특히, 인터랙션/사용자 참여, 즐거움, 몰입 등의 효과를 기대하며 적용되고 있다. 게임에서 모바일 분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분야도 변화하는 것을 보면 사용자의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매체의 변화가 곧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분야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현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and impact of university student'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otal of 496 Participants in universiti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Grade, employment stress, leader experience, career course, career fair had difference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niversity satisfaction, career goal had difference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tern experience, career counseling, club had differ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rk has difference on career indecision. These result are used in career education and making career program. Results from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employment preparation, leader experience, job search engine had impact on career indecision. Second, employment possibility, job search engine, employment preparation,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stress, leader experience had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employment preparation, career counseling, job search engine, employment stress had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ath and employment prepara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한 개인적 특성(일반특성, 진로특성, 경험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떤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496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개인특성이 진로변인들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인 특성 중 학년과 취업스트레스, 리더경험, 진로과목수강, 진로행사참여는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학만족도, 희망진로, 전공일치는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상담, 동아리 참여유무와 인턴경험은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점수준은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효율적인 진로교육을 계획하거나 실행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구체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개인특성들이 진로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에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전공만족도, 취업가능성, 취업준비여부, 리더경험, 취업진로사이트 순이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취업가능성이 높고, 전공만족도가 높고, 리더경험이 있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고, 진로사이트 이용경험이 있을수록 진로미결정수준이 낮았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취업가능성, 취업진로사이트, 취업준비,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순이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전공만족도가 높고, 취업가능성이 높고, 취업준비를 하고 있고, 리더경험과 진로사이트 이용경험이 있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았고, 취업스트레스는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낮았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취업준비, 진로상담, 취업진로사이트, 취업스트레스 순이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취업준비를 하고, 진로상담을 받고, 진로사이트를 이용하고, 취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진로준비행동수준이 높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취업지도를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난독증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특성 활용에 대한 연구

        조현재 디자인 여성학회 2006 디자인여성학연구 Vol.2 No.1

        난독증 어린이들이들은 글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긴하지만 스토리텔링을 즐기거나 창작하는 것 자체에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이 글을 배우는데 어려움을 느끼기 시작하면 스토리텔링 자체를 거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이 좀더 편하게 스토리텔링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의 특성인 하이퍼미디어(hyper media)와 비선형(non-linear)의 특성이 난독증 어린이들의 특성이자 장점인 그림사고(picture thinking)와 다차원적 사고(multidimensional thought)와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난독증 어린이들에게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즉 난독증 어린이들은 그림으로 사고하고 다차원적으로 사고하기 때문에 사고의 구조가 비선형적이다. 이것은 멀티미디어의 특성 중 하나인 하이퍼텍스트의 비선형 구조와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글보다 이미지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그래픽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동의 다양한 이미지 언어를 활용하는 하이퍼 미디어 방식이 그들에게 좀 더 편하게 접근 될 수 있다. 이것은 멀티미디어의 특성 중 하나인 하이퍼미디어의 비선형 구조와 일맥상통한다. 종이 위에 쓰인 글자를 선형적으로 원고 사고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는 난독증 어린이들은 물론 글을 읽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들의 사고구조와 비슷한 매체를 활용하여 그 림사고와 다차원적 사고라는 재능을 더욱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그들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Dyslexic have difficulties to read text. Although it does not mean that they have difficulties to enjoy and create storytelling itself, they can refusal even to enjoy it when they feel difficulties to learn reading. Dyslexic have a hard time every time attended to school. Most of their schoolteacher doesn't understand why their students have a learning language difficulty, especially in reading, It makes dyslexic children depressed and stres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ffer them various way to enjoy storytelling. This study insists that storytelling education using multimedia is effective for them. This idea comes from the observation that hypermedia, the feature of multimedia, is similar to picture thinking, the feature of dyslexic, In other words, their non-linear thinking way is due to their multi-dimensional picture thinking, and this have something to do with structure of hyper text. Dyslexic's multidimensional thought leads to their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non-linear story structure. Accordingly, Storytelling Education using multimedia can bring calm and smoothing experience for their relaxing at home in order to release the stress of learning language difficulty. And it is effective for them to learn storytelling.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조현재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relationship between self leadership and career motivation in collage student and to examine a mediateing effect of self control and job seeking stress. For this we collected data from 263 students and analyzed with path analysis. Study finding are as follow. First self leadership, career motivation, self control and job seeking stress were sta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except career motivation and job seeking stress. Scond self leadership, career motivation and self leadership, self control and self control, career motivation and self control, job seeking stress were sta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Third the mediated roles of self control for self leadership were confirmed.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necessity for the understanding and self leadership and self control on collage student’s career motiv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통제력과 취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63명의 대학생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진로동기, 자기통제력,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동기와 취업스트레스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진로동기, 셀프리더십과 자기통제력, 자기통제력과 진로동기,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는 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셀프리더십은 진로동기와 자기통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통제력 또한 진로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자기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낮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이 진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기통제력을 경유할 때 그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 사실은 진로동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셀프리더십과 자기통제력의 중요성을 확인해 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