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해녀에 관한 사회적 담론 분석

        조철기,이종호,안종수,송원섭 한국지역지리학회 202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9 No.2

        제주도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광지로 주목받는 오늘날, 해녀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위상과 사회적 담론을얻게 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제주 해녀를 바라보는 사회적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기 위해 제주 해녀와 관련된 신문사설을 통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및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 해녀를 언급하는 신문 사설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중심성분석과 콘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설 속에서 나타나는 해녀의 모습은 1) 지역의 경제주체, 2) 지역의 정치주체, 3) 항일 독립운동가, 4) 지역의 관광자원, 5) 국가의 문화유산, 6) 교류 주체(대상)의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 ‘변경에 위치한 여성노동자라는 이중적 소수자성’에 갖혀 있었던 제주 해녀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지역과 국가의 경제・정치적 의미를 넘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성과 같은 인류적 과제와 연결되는 등, 다층적인 의미들을 획득하며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제주 해녀의 상징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나타나는 지나친 대상화는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해녀의 사회적 담론이 다양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파편화되지 않도록 각 사회적 담론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수 있도록 하는 노력 또한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세계지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조철기,이종호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investigate ‘World Geography’ subject which is taught as one of the elective subjects in Korea’s Secondary Education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to world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Currently,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are the two of elective subjects in Korean high schools. But, we raise a question about the dichotomy of geography subjects because geography subjects are required not only to meet the social needs in an era of globalization, but also to embrace huge volumes of geographical knowledge developed and accumulated as a result of modern geographical research. As a parent discipline of geography education, geography continues to put emphasis on the multi-scalar approach and the relational thinking through the relational turn. However, the subject dichotomy in geography education can be a great barrier to receive things mentioned above and therefore to strengthen the social usefulness of geography education. In sum, we propose that it is urgently necessary for geography education to introduce integrated non-scalar subject names in order to deal with various scales. Under these non-scale subject names, content organization should be the systemic approach in the first and the regional approach in the second.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geographical issues should be properly combined with the two approaches. In addition to this, we suggest that the regional approach should be based on the case studies that typically show geographical issues about specific regions rather than based excessively on the regional divisions of the world.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선택과목의 하나로 가르치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목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그에 대한 대안을모색한 것이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선택과목명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는 과연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사회적 적실성에 부응하고 현대 지리학이 제공하는 새로운 지리적 지식을 담는 그릇으로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지리교육의 모학문인 지리학은 관계적 전환을 통해 다중스케일적 접근과 관계적 사고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등 지리교육은 여전히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로 양분된 교과목 체제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반영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스케일이 함께다루어질 수 있는 비스케일적 교과목명의 도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비스케일적 교과목명 하에서의내용조직은 ‘선 계통적 접근, 후 지역적 접근’으로 하되, 쟁점 중심으로 적절히 결합될 필요가 있다. 한편 지역적 접근에서는 세계의 지역구분에 과도하게 매몰되지 말고, 선정된 지역 하에 주제기반 사례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에너지 시민성과 에너지 정의를 위한 지리교육

        조철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8 No.1

        Climate change is closely related to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mong human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geography education for energy citizenship as a practical way to prevent climate change caused by human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iscussed what an energy system is and why transition from a hard energy system based on fossil fuel to a soft energy system based on renewable energy, i.e., energy transition, is necessary. After that, various discourses related to this energy transition were critically considered.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energy citizenship as a sub-area of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nergy citizenship. Subsequently, the need for energy citizens as prosumerism and prosumer required for energy transition to decentralized energy systems was discussed. Third, as a way to specifically practice energy citizenship, the practice of mundane energy citizenship through material participation was proposed. Finally, after examining the necessity of energy justice beyond energy citizenship, two practical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energy citizenship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 중에서도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기후변화의 원인을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써 에너지 시민성을 위한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에너지 시스템이란 무엇이며, 화석연료에 기반한 경성에너지 시스템에서 재생가능 에너지에 기반한 연성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즉에너지 전환이 왜 필요한지를 논의하였다. 그후 이러한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다양한 담론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생태시민성의 하위 시민성으로서의 에너지 시민성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이러한 에너지 시민성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탈중앙집중화된 에너지 시스템, 즉 분산적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에너지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프로슈머리즘과 프로슈머로서의 에너지 시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에너지 시민성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물질적 참여를 통한 일상적 에너지 시민성의 실천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시민성을 넘어 에너지 빈곤과 에너지 정의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한 후, 에너지 시민성을 위한 지리교육의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론으로서 OSDE 탐색

        조철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examines OSDE, an open space for dialogue and inquiry developed as a methodology of development education for global social justice. Development education help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inequality in global scale and explores global and development issues such as poverty. In order for students to understand global and developmental issues, they must be able to create connections between people who live in their lives and elsewhere in the world, and develop the ability to critically assess their prejudices and persp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OSDE provides students with a space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and discussion, i.e. critical literacy, on global and development issues. In this space, students are allowed to study together and critically look at their own perspective as well as other perspectives and make wise and responsible decisions about what they want to think and act on. OSDE’s core is, in a word, a space where students gather together to learn, to listen to each other’s views, and to transform themselves. 이 연구는 글로벌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개발교육의 한 방법론으로 개발된 대화와 탐구를 위한 열린 공간인 OSDE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개발교육은 글로벌 스케일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의 원인을 이해하게 하고, 빈곤과 같은 글로벌 및 개발쟁점을 탐구하도록 한다. 학생들이 글로벌 및 개발쟁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과 세계의 다른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 간에 연결을 만들 수 있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자신의 편견과관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발달시켜야 한다. OSDE는 바로 학생들에게 글로벌 쟁점 및 개발 쟁점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토론, 즉 비판적 문해력을 촉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공간에서 학생들은 함께 학습하면서 자신의 관점뿐만 아니라 다른 관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자신이 생각하고 행동하기를 원하는 것에 관해 현명하고 책임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허용된다. OSDE의 핵심은 한마디로 학생들이 함께 학습하고 서로의 관점에 귀기울이며 스스로를 변혁시키기 위해 함께 모이는 공간인 것이다.

      • KCI등재

        싱가포르 영재교육과 인문사회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특징과 함의 -지리 교과를 중심으로-

        조철기 ( Chul Ki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중등교육연구 Vol.63 No.3

        최근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수학과 과학 분야를 넘어 인문사회 영역으로, 그리고 영재학교 중심에서 일반학교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 중의 하나가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인문사회 과제연구’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인문사회 과제연구 프로그램은 초기 단계로서 대개 일반학교 내에서 참여 학생이 교사의 지도를 받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이를 발표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학과 고교가연계한 인문사회 과제연구 프로그램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문사회 분야의 대학 전문가들의 안내 하에 연구에 참여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학-고교 연계 인문사회과제연구 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이며 윤리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인식 속에, 오래 전부터 싱가포르 교육부의 영재교육과가 주도하여 운영하고 있는 대학-고교 연계 인문사회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와의 만남, 연구 워크숍, 프로젝트 검토, 심포지엄, 프로젝트 논문 출판이라는 5단계의 체계적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전문가와의 만남을 통한 멘토십, 그리고 학생 상호간의 튜터링을 통해 프로젝트 주제에 관해 독자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결과를 산출하고 공유하는 심화학습 모형이다. Recently, gifted education in Korea is extended from mathematics and science to humanity and social science, and to regular schools beyond gifted schools. One of the case is ‘R&E Activit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at is run by academic high schools. But the programme is still initial stage and students work with mostly their mentors in the school on projects. The alternative programme is university level programme for R&E Activit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hich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research under the guidance of experts in the various field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ecause the programme is need to be run by systemic, organized and ethical approach,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Programme(HSSR), enrichment learning model organized by the Gifted Education Branch,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 long time ago. Students work research independently on their project through mentorship with experts and tutoring with peers in the programme that comprises five components, mentorship attachment, research workshop, project review, symposium, publication of project papers.

      • KCI등재

        음악의 지리교육에의 활용 방안 탐색

        조철기 ( Chul-ki Ch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2

        이 연구는 음악의 문화지리적 적실성 및 지리교육적 적실성을 검토한 후, 음악을 활용한 지리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근 음악은 단순히 부르고 듣는 차원을 넘어 재현된 장소성을 읽고 음미하며 나아가 실천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특히 장소를 배경으로 한 음악은 지리수업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노래가사는 학생들에게 장소감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장소의 재현에 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토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리수업은 학생들에게 그들의 지식을 사용하여 장소에 관해 더 심층적으로 생각하도록 한다. 그리고 음악은 학생들에게 세계 속에서 자신의 장소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키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음악은 지역, 국가, 세계와의 연결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감성적 학습을 통해 장소 정체성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전세계에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는 음악 축제와 음악관련 장소 마케팅 역시 지리수업을 위해 소중한 자료가 된다. 이처럼 장소를 배경으로 한 음악을 활용한 지리수업은 학생들에게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감성적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both cultural geographical and geography educational relevance, then suggests ways to teach geography using popular music. It is recently emphasized that music plays role us to read represented meaning of place beyond dimension of singing and listening, and musicians use music as means to practice a performance. Especially, music with place for background can be widely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Lyrics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sense of place, and to analyze and discuss critically the representaion of place. This teaching and learning of geography has students to think deeply about the place with using their knowledge. Moreover, music helps students to develop awareness of their place in the world. Moreover, music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connection the local with the national and the global, and can contribute education for place identity through emotional learning in multiscale. Meanwhile, music festival and the place marketing using music around the world is good material for geography education. Like this, geography instruction using popular music with place for background can develop students`` intellectual and emotional ability of their and others``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