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에서 Aripiprazole 병용요법을 사용했을 때,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 2예

        조진우,오승민,김철응 대한정신약물학회 2015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6 No.2

        고프로락틴혈증은 거대유방, 유루증, 난소기능부전, 성욕감소, 월경이상, 불임, 요로 및 질 점막의 위축, 성교통, 골밀도 저하, 유방암의 위험인자로 항정신병약물의 흔한 부작용이다.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에서 aripipra-zole 병합요법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amisul-pride, olanzapine으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에 aripipra-zole을 추가하였을 때, 각기 다른 변화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Hyperprolactinemia is a well-known neuroendocrine side effect to antipsychotic agent. Combined treatment of aripiprazole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solution against hyperprolactinemia caused by antipsychotic agent. We report 2 progressive clinical cases where both are treated with combined use of aripiprazole which has a unique mechanism of action to resolve olanzapine and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 KCI등재

        동작관찰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진우,방요순,방주희,손보영,이문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본 연구는 동작관찰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목적 있는 활동 과제와 관련된 상지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3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동영상을 통해 목적 있는 활동 과제의 수행 동작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 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평가는 울프운동기능과 장악력 및 파악력을 시행하였고, 각 군의 전후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과 두 군 간의 비교는 맨 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상지 운동기능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실험군은 훈련 후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실험군의 장악력과 외측집기는 훈련 후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동영상을 통한 동작관찰은 같은 동작을 집중적이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전통적인 작업치료 접근보다 상지 운동기능 회복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주었다. 따라서 동작관찰 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s that a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purposeful activity task related to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of a chronic stroke patient. Methods : 13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observed performance actions of purposeful activity task through a video and imitated actions repeatedly, and a control group conducted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raining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and 30 minutes for each round for 3 weeks.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and Grip strength test and Prehension test were performed for a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evaluation. Results : After the training, a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of the targe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especially a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grip strength and lateral pinch of a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p<.05). Conclusion : Action observation through a video lead a positive effect of recovering a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than a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 of practicing the same action intensively and repeated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s one strategy of an intervention typ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법적 과제 - 일본의 「과소지역자립촉진특별조치법」을 중심으로-

        조진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법학논고 Vol.0 No.68

        In Korea, due to continuous low fertility and aging and economic growth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the population is biased, and the crisis of population decrease is being raised in rural areas. Japan, which has long struggled with the decrease in population, has established special laws for the under-reduced areas of the population, selecting under-regions and granting them many special cases to encourage independence. The support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defines the support related to real life, such as childcare and education, rather than the construction of existing factories, suggesting ways to suppress the decline of the population and to make the region sustainable. In addition, a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is prepared by focusing on the underprivileged and a bottom-up plan approved by the government. Similarly, legislation is being promoted in Korea, such as enacting special act or amending local autonomy act. In order to revitalize the underprivileged areas, it is necessary to enact related special act and review the planned legislation focusing on population reduction. In addition, when establishing a city plan, a clearer standard for establishing a planned population and selecting undersized regions should be established. Bottom-up planning should be carried out with local revitalization measures centered on local residents. In addition,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underprivileged an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is, we must overcome the crisis of extinction due to the rapidly decreasing population. In addition, the foundation should be prepared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y overcoming the crisis of underestimated regions.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저출산・고령화와 수도권 중심의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인구가 편중되었고 지방에는 인구감소의 위기가 제기되고 있다. 인구감소에 대해 이미 오래전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은 인구가 줄어드는 과소지역에 대해 특별법을 마련하여 과소지역을 선정하여 많은 특례를 부여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등 자립을 유도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은 기존의 공장 건설이 아니라 보육, 교육 등 실제 생활에 관련된 지원을 규정하여 지역의 인구 감소를 억제하고 지역이 지속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과소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지역 활성화를 위한 계획을 마련하여 이를 정부가 승인하는 상향식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하게 특별법을 제정하거나 지방자치법을 개정하는 등의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과소지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 특별법의 제정과 인구감소 중심으로 계획법제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도시계획 수립시 계획인구 설정을 현실화하고 과소지역 선정을 위한 보다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 활성화 대책을 지역 주민이 중심이 되어 수립하는 상향식 계획수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과소지역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그리고 중앙정부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급격하게 감소하는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보다 서둘러 극복하여야 한다. 또한 과소지역의 위기를 넘어 지역이 자립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민 주도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과제

        조진우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2

        관광 사업은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를 늘리는 것에 중점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관광객이 증가하면 지역 내 소비가 증가해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고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관광 사업은 중앙정부 중심의 획일적인 형태로 이루어졌고 지역의 특색보다는 관광객이 더 올 수 있는 대규모 시설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지역주민은 관광 사업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가지지 못하고 정책의 수혜자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관광 사업으로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기대한 비즈니스 창출도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지방분권의 가속화되면서 주민이 단순히 수동적인 입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입장으로 정책에 참여하고 주도하는 것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지역 주민들이 관광 비즈니스를 경영하고 지역과 관광객을 유도하여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관광두레가 등장하였다. 관광두레는 지역 주민의 협력과 상생을 토대로 하여 더 좋은 지역공동체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두레는 주민주도의 관광 사업을 상징하는 것으로 2013년 실시된 이후 매년 관광두레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 관련 법제는 주민 참여나 주민주도에 대해 별다른 규정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광두레에 대한 법적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다. 관광두레의 지속성과 주민주도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진흥법에 기본적인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지방자치단체마다 주민주도 관광을 전제로 한 관광진흥조례의 개정이 필요하다. 관광두레의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관광두레PD에 대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역량 강화 교육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주도 관광이 지속가능하도록 초기부터 참여하여 지원할 수 있는 근거 마련도 필요하다. 주민참여를 넘어 주민이 주도하는 관광은 지방분권의 실질적인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두레를 중심으로 주민이 주도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이 자리매김할 수 있는 법제 연구가 앞으로도 활발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ourism projects have been focused on increasing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the region. This is because it was recognized that when the number of tourists increased, consumption in the region increased and the local economy was revitalized. Until now, tourism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a uniform form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have been promoted centering on large-scale facilities that can attract more tourists than lo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has been widespread recognition that the existing tourism business cannot guarantee sustainability and that it is difficult to create the expected business. As decentralization accelerated, the emphasis began to emphasize that residents participated and lead the policy from a simple passive position to a more active position. As a result, tourism has emerged as a sustainable tourism in which local residents run tourism business and induce local and tourists to revitalize the economy. Tourism Doure is a symbol of resident-led tourism projects, and since its implementation in 2013, the number of Tourism Doure cases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the legal basis for tourism is weak because the tourism-related legislation does not stipulate any special regulations on resident participation or initiative. For the continuity of tourism and the vitalization of resident-led tourism, it is necessary to prepare basic regulations in the Tourism Promotion Act and to amend the tourism promotion ordinance on the premise of resident-led tourism for each loc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capacity-building educ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for the Tourism Doure PD,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the Tourism Do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basis for local governments to participate and support from the beginning so that resident-led tourism is sustainable. Beyon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ourism led by residents can be said to be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decentraliza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legal system that residents can lead and sustainable tourism can establish, centered on Tourism Doure, will need to be actively discussed in the future.

      • KCI등재

        Effect of Calamansi Pulp Ethanol Extracts on the Meat Quality and Biogenic Amine Formation of Pork Pat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조진우,Farouq Heidar Barido,김혜진,김희진,김동욱,신동진,장애라 한국축산식품학회 202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43 No.1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calamansi pulp (CPE) and its effect on quality and biogenic amine (BAs) formation in pork patties during storage. The CPE were prepared in various conditions (ethanol concentrations of 50%, 70%, and 90% with extraction periods of 3 and 6 days). The extract with potent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90%, 6 days) was selected for addition to pork patties. Three groups were tested: Control (without extract addition), CPE addition at 0.2% w/w (0.2PCPE), and 0.4% w/w (0.4PCPE). The addition of CPE inhibited the formation of BAs, mainly cadaverine, histamine, and tyramine, in pork patties during storage. The pH and bacterial count of pork patti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ollowing the addition of CPE. The instrumental color (CIE L*, CIE a*, and CIE b*) tended to be higher in 0.4PCPE than in the control during storage.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of pork patties were affected by CPE, showing a reduction toward lipid oxidation at any storage period, and maintaining the lowest VBN value in 0.4PCPE at the final storage day. Similarly, the reduction of total BAs in pork patties was observed ranged between 3.4%–38.1% under treatment with 0.2% CPE, whereas 18.4%–51.4% under 0.4% CPE addition, suggesting significant effect of CPE to improve meat quality. These novel findings demonstrate the efficacy of 0.4% CPE as a natural compound to preserve the quality and reduce BAs formation in pork patties during sto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