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어 젯 밀(Air jet mill)로 분쇄된 고미분말 고로수쇄슬래그 혼합시멘트의 수화특성

        조진상,유영환,최문관,계홍,안지환,연규석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3

        Blast furnace slag blended cement has some advantages of better concrete workability, lower permeability, and improved resistance to aggressive chemicals, higher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However,blast furnace slag cement also has demerits of diminution of early strength, promotion of neutralization and increase of dry shrinkage. Two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se demerits are able to be adopted. The first is a mixture of activators such as NaOH, Na2CO3, Ca(OH)2, CaSO4 and so on for promoting early hydration. The other is related to increase the fineness of blast furnace slag. In this study, by-product calcium hydroxide (Ca(OH)2) as an alkali activator was used, and effect of superfine blast furnace slag on the hydration properti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e early hydration was better,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t curing 91days was higher up to about 20% than the specimen mixed with slag 50wt.% of 8,000 cm2/g. 고로수쇄슬래그 혼합시멘트는 높은 콘크리트 작업성, 불투수성, 화학적 침투저항성과 높은 압축강도및 인장강도를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로수쇄슬래그 혼합시멘트는 초기강도의 저하, 중성화 촉진그리고 높은 건조수축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NaOH, Na2CO3, Ca(OH)2,CaSO4등과 같은 활성화제를 활용 할 수 있으며, 고로수쇄슬래그 자체의 분체특성을 개선시켜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수쇄슬래그의 초기수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에어 젯 밀을 이용하여 슬래그의 분말도를약 16,000 cm2/g까지 증가시켰으며, 알칼리 활성화제로서 부산소석회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분쇄된 고미분말고로수쇄슬래그 혼합시멘트의 수화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혼합시멘트의 초기수화가 개선되었으며, 압축강도가 분말도 8,000cm2/g인 고로수쇄슬래그를 혼합한 경우보다 약 20%정도 향상되었다.

      • KCI등재
      • 광주 중앙공원 정비 및 활용 기본구상

        조진상 동신대학교 환경연구소 2002 환경연구 Vol.7 No.1

        중앙공원은 광주광역시 제19호 공원으로서 서구 금호동, 풍암동, 화정동과 남구 주월동에 걸쳐 있는 광주시 도시공원 중 가장 규모가 큰 공원이다. 중앙공원은 1975년 최초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 변경 고시되었으며 2001년 말 현재 공원지정면적은 294만m² (89만평)에 이른다. 이중에서 사유지가 전체의 71.8%인 211만m²에 이른다. 중앙공원은 근린공원으로서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규모면이나 위치면에서 볼 때 광주시 전체 또는 국토 서남권의 중심공원으로서 기능도 요구 받고 있다. 1992년 2월 수립된 중앙공원조성계획에 따르면 광주광역시를 대표할 만한 미래지향적 중심공원으로서 광역이용 관광문화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중앙공원전체를 자주, 민족, 협동의 장과 청소년 모험지구로 구분해 주제를 설정하고 기존의 청소년 회관뿐만 아니라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광주타워, (서울의 에버랜드나 광주의 우치공원 패밀리랜드와 유사한) 유희시설, 다목적 잔디운동장을 설치할 계획으로 있다. 위 계획에 따르면 이러한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부지매입비 및 지장물 보상비를 제외한 순수 공공투자사업비로서 56억 7천만원 (1992년 기준)이 소요되며 민간투자사업비로서 227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중 공공투자사업비는 4단계로 나누어 1992년부터 2001년까지 단계적으로 투자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이와 같은 사업들은 방치되다시피 했으며 대신 중앙공원부지 일부를 1991년부터 1994년말까지 비위생 쓰레기 매립지로 사용하는 등 공원기능을 저해하는 사업들이 추진되었다. 현행 중앙공원조성계획은 과다한 사유지비율, 광주시의 공원녹지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의 결여, 열악한 광주시 재정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마스터플랜식 과잉계획으로서 기존의 행정관행이나 재정형편으로 볼 때 앞으로 수년 또는 수십년이 지나더라도 현행 공원조성계획의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은 편이다. 지난 10여년간 중앙공원의 주변 지역은 금호지구, 염주지구, 백일지구의 개발에 이어 풍암지구의 개발까지 이어지는 둥 도시개발이 계속되면서 이제 도보권에 해당하는 공원경계 반경 500m이내에 15만명 가까운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1일 및 주말 휴식을 위한 근린공원으로서 중앙공원의 기능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중앙공원은 월드컵 경기장과 염주종합체육관 둥 스포츠 관련 시설이 가까이 집중 · 입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문화센타, 사회복지시설 등이 가까이 입지하고 있다. 중앙공원은 수변경관을 창출하는 풍암저수지의 잠재력이 높은 반면 풍암매립지를 환경친화적으로 재활용하는 과제를 아울러 안고 있다. 중앙공원이 제 기능을 찾아 지역주민들에게 적합한 공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마스터플랜식 인공시설 위주의 공원개발보다는 저비용, 환경친화형 정비 및 활용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광주시 전체 시민을 위한 공원보다는 지역주민을 위한 공원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물론 중장기적으로는 광주시민 나아가서 국토 서남권을 대표하는 도시공원으로서 기능을 갖는 것도 무방하겠지만 이는 예산의 뒷받침이 전제될 경우에만 유효하며 이것이 오히려 지역주민을 위한 공원서비스제공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되어서는 안된다. 우선 풍암저수지 주변의 산책로를 정비하고 자전거 하이킹 코스를 개발하며 어린이와 가족 나들이를 위한 생태학습장을 설치하고 야생화단지, 들풀단지를 조성하며 생태학습가이드코스를 개발·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풍암매립지를 환경친화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꽃길과 꽃밭 (예를 들면 빛고을 광주를 상징하는 해바라기꽂밭)을 조성하며 나아가서는 소위 '다목적 잔디구장을 비롯한 녹지가 풍부한 옥외용 생활체육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 풍암저수지 서쪽 지구에 계획하고 있는 유회시설 설치계획을 전면 취소하고 대신 서구문화센타, 국악박물관과 연계한 야외음악당을 건설해 문화예술벨트로서 중앙공원의 기능을 강화한다. 재원조달가능성과 시의 공원 · 녹지 확충의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고비용, 시설위주, 시민전체를 이용대상으로 하는 개발위주의 중앙공원조성계획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공원조성을 마냥 방치할 것이 아니라 저비용, 환경친화형, 주민친화형 정비 · 활용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인 공원혜택이 돌아 가도록 해야 한다. The area of Jung-Ang Park is 2,940,000m² great, the greatest Park in the Metropolitan City Gwangju. The Jung-Ang Park Plan (planning period : ten years long from 1992 to 2001) was established in 1992 . But the plan was not realized mainly due to lack at financial resources and willingness to delivering of park services to citizen of the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Gwangju and the local government Seogu. In order to produce better park services to citizen, the park plan should be changed from the existing high-costly, master plan-styled, over planned plan to the low-costly, environmental-friendly and resident-friendly plan.

      • KCI등재

        무기질(無機質) 폐기물(廢棄物)의 재활용(再活用)을 통한 CDM 사업(事業) 적용사례(適用事例) 및 전망(展望) - 시멘트 산업(産業)을 중심(中心)으로 -

        조진상,규홍,안지환,엄성일,연규석,Cho, Jin-Sang,Cho, Kye-Hong,Ahn, Ji-Whan,Um, Seong-Il,Yeon, Kyu-Seo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1 資源 리싸이클링 Vol.20 No.2

        현재 CDM사업 등록은 대부분 에너지, 화학공정, 제조공정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무기질 자원재활용을 통한 CDM사업 등록은 그렇게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무기질 폐기물의 재자원화를 통한 CDM사업 등록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외 CDM사업 현황 분석 및 적용사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CDM사업 등록 사례는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산업 중의 하나인 시멘트산업의 원료 대체화 분야에서 다수의 등록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CDM사업 적용 전망은 산업의 규모, 무기질 자원 활용 산업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우기질 폐가물의 현황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 Registration fields of CDM projects are being conducted in a variety of parts such as mostly energy, chemical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CDM project registrations by recycling of inorganic waste. In this paper, analysis abroad CDM project and applications in order to review possibility of CDM project registration through the recycling of domestic inorganic wast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s, registered case of CDM project by inorganic waste recycling was researched to registrate in raw material alternative field of cement industry that inorganic waste can be used in large quantities. Application prospects of CDM project in Korea will be possible to analysis industrial scale, industry using inorganic raw materials, green house gas emissions and inorganic waste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 녹색교통촉진책의 일환으로서 지구(地區)단위의 자전거이용활성화 방안 : 광주 송정지구를 사례로 In Case of Songjeong-District, the Gwangju City in Korea

        조진상 동신대학교 환경연구소 1999 환경연구 Vol.4 No.1

        The existing measures to promote bicycle ride as a green transportation mode in Korean cities have several problems. For example, emphasis of physical approach, especially construction of bicycle roads, too much interest in large area networking of bicycle roads and linear approach. This study has focused on promoting for bicycle ride in Songjeong-District, a part of the Gwangsan-Gu, Gwangju City in Korea. Songjeong-District has following potentials for more bicycle ride at district level than other part of Gwangju City ; population size (33 thousands),population composition (many students, workers, young and old people), appropriate district area (127ha), many existing bicycle user and convenience of bike & ride. This study includes various proposals in physical, institutional and citizen consciousness aspects. This study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other existing studies; (a)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pedestrians, bicycles and automobiles, (b) consideration of present conditions of roads and spatial structure, (c) improving the condition of bicycle use at district level, and (d) approaches not only for physical facilities, but also for institutional and citizen consciousness aspects.

      • KCI등재

        단양지역의 석회석 품위가 소성 및 수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진상,유영환,최문관,계홍,안지환,박진구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4

        In this study, effect of the different grade limestone from Danyang area was investigated on the calcination and hydration properties. Three limestone ore, which are having CaO contents of 49.5~55.8 wt.%, were used, and the grain size were utlra fine-grained as 20~100 ㎛. After crushing the limestone into the various sizes, from the weight loss analysis with calcination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were 1,000~1,100℃ and 1~3hours respectively, for crushing size of 35~50 mm. Also, mea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hydrated lime produced using quicklime synthesized at the optimum conditions was identified as 0.1~0.4 ㎛. In the case of using limestone of high purity, it showed higher decarbonation ratio than others and was appeared high hydration reactivity.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양지역에서 산출되어 나오는 석회석 원석에 대한 소성 및 수화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49.5~55.8 wt.%의 CaO 함량을 가지는 품위별 3가지 원석이 이용되었으며 원석조직의 결정입도는 20~100 ㎛로 극미립 결정을 나타냈다. 여러 가지 크기로 분쇄한 후에 소성온도 및 유지시간에 따른 중량감소 특성을 조사한 결과, 최적소성 조건은 35~50 mm 원석크기에서 1,000~1,100℃온도로 1~3시간의 유지시간이었다. 1,000℃에서 3시간 소성시킨 시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소석회의 입도 분포는 0.1~0.4 ㎛로 확인되었다. 순도가 높은 석회석 원석을 사용한 경우 높은 탈탄산율을 보였으며, 수화활성도도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