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ISA 기법을 활용한 자활사업 성과지표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 지역 유형을 중심으로

        조준용,김경휘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지난 25년간 우리나라의 자활사업은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고용복지정책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그러나 그간 자활사업 성과지표는 현장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특히 경제적 성과 중심의 지표와 지역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적용 방식에 대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ISA 기법을 활용하여, 자활사업 성과지표에 대한 실천현장의 인식을 분석하고, 현장 적합성을 제고하는 지표 개선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성과지표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에서는 자활사업의 결과보다 과정에 대한 중요도가 크고, 현행 지표가 현장을 만족스럽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A 매트릭스 분석에서는 유지와 개선, 그리고 정책적 재고를 요하는 성과지표들이 분류되었는데, 이때 도시형과 농촌형의 매트릭스의 차이가 확연히 다른 것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견들을 통해 본 연구는 현장 지향성을 가진 성과지표를 제안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향후 성과지표의 개선을 위한 탐색적 기초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Korea’s self-support program has constituted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fare policy for the past 25 years. However, many pointed out the lack of field perceptions in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self-support program, such as overemphasi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uniform application regardless of regional types. This research intend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performance indicators of self-support program by analyzing field perceptions, utilizing ISA(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method.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hows that the procedure was perceived more important than the consequences. It also reveals that current indicators were not satisfactory enough to reflect field practices. Finally, ISA matrix classified indicators into keep, improve, policy reconsideration area, and obvious differences were found by regional 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field-orientation in performance indicators, and by which, can serve as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 SCOPUSKCI등재

        질식사한 흰 쥐 심장의 기능평가

        조준용,허동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3

        The donor pool for heart transplants is severely limited and there is still a legal problem of brain death. This study assessed the function of hearts "absolute anoxic" for ten minutes after asphyxia by perfusing the hearts on a Langendorfr apparatus for 45 minutes with Krebs-Henseleit buffier at 37 t at 80 cm H2O. Forty isolated rat hear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en control hearts (group 1) were perfused on the circuit without intervening ischemia. Ten hearts (group 2) were harvested, quickly flushed with 5cc of cold University of Wisconsin solution, and stored in the same cold solution for 4 hours. Ten hearts (group 3) were excised, quickly flushed with 5 u of cold Stanford cardioplegic solution and stored in cold saline solution for 4 hours. Ten asphyxiated hearts (group 4) had warm ischemia for ten minutes and were perfused with 5u of cold Stanford cardioplegia containing 7,500 units of urokinase to dissolve intravascular clots, and stored in cold saline solution for 1.5 hours. Time of spontaneous defibrillation (TSD) after perfusion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 2, group 3 and group 4 than in group 1. TSD in group 3 and group 4 was significantly longer in comparison to that of group 2.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LVDP) at 15 minut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3 and group 4 than in group 1 and group 2. In group 4, LVDP at 30 minutes and 45 minute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at in group 1 . In conclusion, asphyxiated rat hear;ts which had absolute anoxia for 10 minutes after as hyxia showed relatively satisfactory cardiac function. function. 본 연구는 횐 쥐의 적출심장을 이용한 질식사심장의 기능평가로서,기도압박에 의한 질식으로 심정 지가 일어난 후, 10분 지나서 심장을 적출하고 체외관류장치에 연결하여, 80cmH20높이에서 37C의 Krebs-Henseleit용액을 적출 심장에 관류시켜, 그 기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prague-Dawley계 흰 쥐를, 제 1군(10마리)은 대조군, 제2군(10마리)은 위스콘신대학용액 저장군, 제3 군(10마리)은 스탠포드심정 지용액-생 리식 염수 저장군, 제4군(10마리)은 질식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자연 제세동시간은, 모든 군에서 대조군보다 길었으며, 제2군에 비 해서 제3군과 제4군의 제 세동시간도 길었다(p < 0.05). 좌심실내압은, 관류 15분, 30분, 45분에서, 대조군 및 제2군에 비하여 제3 군이 모두 낮았으며,제4군은 관류 15분에, 대조군과 제2군의 15분에 비하여 낮았고, 관류 30분과45분 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p < 0.05). 관류 15분, 30분, 45분에 측정한 심박동수와 좌심실내압을 곱한 간은, 제3군에서 대조군과 제2군에 비하여 모두 낮았으며, 제4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낮았고, 제4군의 15분값은 제2군의 15분값에 舟漫\ulcorner\ulcorner낮았다(p<0.05).관류45분에 측정한심근의 수축예비 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3군과 제4군이 모두 낮았으며, 제3군은 제2군에 비하여도 낮았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질식사로 사망한 조기 적출심장의 기능은, 허혈손상이 없는 대조군과 위스콘신 대학용액에 저장한 심장의 기능에 비하여 그 성적이 불리하나,스탠포드심정지용액-생리식염수 저장군 의 심기능 평가 결과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공여심장으로서의 심기능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채널 간격을 가변할 수 있는 샘플격자

        조준용,金成春,李景植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0 No.4

        In this paper, a channel spacing-tunable sampled fiber gratings(SFGs) is proposed, and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channel spacing of the proposed SFGs can be tuned by simply changing the period of the external pressure on the fiber Bragg gratings(FBGs). The channel spacing of 1.4㎚ was tuned to 0.8㎚ by changing the pressure period from 580㎛ to 1000㎛. The experimental results agree well with the theoretical results. 광탄성효과를 이용해 채널 간격을 가변할 수 있는 샘플격자를 구현하고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제안된 샘플격자의 채널 간격은 광섬유격자에 인가되는 압력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간단히 가변될 수 있으며, 실험결과 580㎛에서 1000㎛로 압력주기를 튜닝해서 채널 간격을 1.4nm에서 0.8nm로 가변할 수 있었다. 샘플격자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실험치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았다.

      • KCI등재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 이후의 삶의 경험에 대한종단적 질적 연구: 탈수급 경로와 빈곤경험 맥락에 따른 다섯가지 사례연구

        조준용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life after welfare for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who had been conditional welfare recipi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five case studies based on twelve-year-long(2006-2018), three-wave longitudinal qualitative interviews. The outcome from within case analysis suggests three types of lives after welfare : repetitive recipient, vulnerable welfare exit, and sustainable welfare exit. On the other hand, the outcome from between case analysis shows four aspects of experiences: ambivalence, unfit for life and fixation of poverty, less eligibility and conditions for welfare exit. Such research outcomes based on the insider’s perspective can promote the reflection in current social programs which are emphasizing welfare exit but shy of sustaining better living conditions for the poor. 본 연구의 목적은 조건부 수급자였던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 경로와 빈곤경험 맥락에 대한 집합적 사례연구를 통해, 이들의 탈수급 이후의 삶(Life after welfare)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지난 12년간(2006~2018) 세 차례의 웨이브에 걸쳐 실시한 종단적 질적 면접을 분석하여, 탈수급 이후의 경로의 경계가 뚜렷한 다섯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내 분석 결과 이들은 탈수급 이후 빈곤을 재경험하는 ‘반복적 수급’, 경계선에서 탈수급을 유지하는 ‘취약한 탈수급’, 지속적인 소득유지와 자녀취업을 통한 ‘지속형 탈수급’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사례간의 통합 분석 결과, 자활사업 경험에 대한 통찰적 인식은 ‘양가감정’으로 나타났고, 빈곤 경험에 대한 통찰적 인식은 ‘어긋난 톱니바퀴’와 ‘빈곤의 대물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탈수급 이후의 삶의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열등처우의 삶’으로 드러났으며, 탈빈곤 조건으로 ‘전문성 있는 지원’과 ‘일이 가능한 상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을 성공으로 보아왔던 외부자적 평가와 달리, 탈수급 이후에도 여전히 열등처우의 삶을 살고 있는 내부자 시각을 보여주어, 향후 탈빈곤 정책의 지향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