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조재윤 ( Cho Jaey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2 No.-

        이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및 융합 교육에 대한 학술적 담론, 핵심 역량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핵심 역량 및 융합 교육에 대한 학술적 담론으로는 핵심 역량 연구의 현황과 한계, 다양한 융합 개념의 존재, 국어 교과에서 융합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가능성으로는 2015 개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융합 교육을 시사하는 점, 시·도 교육청의 교육 정책에서 융합 교육의 방향, 시책 등을 제시하는 점, 교수·학습 방법 차원에서 융합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점이었다.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한계로는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선언적으로만 융합 교육에 언급하는 점, 그리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으로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 부족한 점, 아직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 융합 교수·학습 관련 연구와 구체적인 방법이 미흡한 점이었다.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은 선언적인 수준에서 시작하여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아직 그 한계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은 융합 교육이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실현된 교육과정으로서 교실 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실행이 필요한 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key competencies and convergence edu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The possibilities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could be expected from the followings: the 2015 general curriculum revision, each subject curriculum suggesting convergence education, the educational policies at city and province levels, education offices presenting a direc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fact that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explored. There can be limitations in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when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 the general curriculum revision and each subject curriculum only declaratively mentioning convergence education, thus resulting in not enough specific plans for realizing it, and the fact that more should be done in terms of research on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specific methods of implementing a curriculum.

      • KCI등재

        2015 교육과정 중1 국어 교과서 듣기 활동 분석

        조재윤(Cho, Jaeyoo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1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중1 국어 검정 교과서의 듣기 활동을 분석 기준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기준을 ‘듣기 활동의 언어통합적 기능 반영 양상, 듣기 활동의 정체성 반영 양상, 2015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반영의 충실성’으로 설정하였다. 듣기 활동의 언어 통합적 기능 반영에 대한 분석 결과, ‘듣기+말하기(L+S)’ 27.4%, ‘읽기+쓰기(R+W)’ 22.4%, ‘듣기+말하기+쓰기(L+S+W)’ 20.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R+W’는 ‘듣기’ 정체성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듣기 활동의 정체성 양상에 대한 분석 결과, ‘듣기 활동의 정체성 미흡’ 사례수가 ‘우수’ 사례보다 훨씬 많게 나타났는데, 이는 ‘듣기 교육’의 특성 측면에서 적절하지않다. 앞으로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에서 ‘듣기 활동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반영의 충실성에 대한 분석 결과, [9국 01-10]와 [9국01-12]에 대하여 충실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었다. 성취기준을 교과서에 반영할 때는 목표로 제시하고, 그에 따른 학습 활동, 학습 분량까지 충실하게 선정⋅조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중1 교과서를 현장에 적용하는 교사들에게 ‘교수⋅학습 수준의 교육과정(교실 실행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도움 자료, 앞으로 개발될 2015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교과서 개발의 방향 및 방법에 대한 참고 자료로서 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listening activiti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analytical criteria were set as the aspect of the listening activity to reflect the language-integrated skills to some extent, the aspect of the identity reflection of the listening activities, and the fulfillment of reflecting the listening⋅speaking standard of the 2015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nguistic integration of listening activities, L+S 27.4%, R+W and L+S+W were 22.4% and 20.6%, respectively. In particular, R+W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 so it can be said that it needs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 of the identity of listening activities, the number of lack of identity of listening activities cases was much higher than excellent cases, which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education .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lect the textbook contents and organize the identity of listening activities . In the analysis of the fulfillment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 standard, there were textbooks that were not faithful to [9th Korean 01-10] and [9th Korean 01-12] . When the achievement standard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it should be presented as a goal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learning should be faithfully selected and organized.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currently, teachers who apply one of the textbooks to the field are asked to provide help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level curriculum , and references to development directions and methods of third grade textbooks of middle school in 2015 curriculu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또래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인식하는 갈등 조사 연구

        조재윤(Cho Jaeyoon),서수현(Seo Soo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이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 간 의사소통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 642명에게 또래 간 의사소통 갈등과 관련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기술 통계와 t- 검증, F-검증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주로 친구가 자신에 대해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이야기하거나 자신을 무시한다고 인식할 때에 또래 간의사소통 상황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서로 대화 방법이 다르거 나 성별이 다른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은 비교적 적었다.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그리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갈등 해결 방법으로는 협력 유형을 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청소년의 갈등과 관련된 인식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었으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대체로 유의하지 않았다. 청소년의 또래 간 갈등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야기되고 그 해결 방안 또한 의사소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청소년 시기의 갈등 해결 경험이 성인기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밑바탕이 되기 때문에, 청소년에게또래 간 의사소통에서 양질의 갈등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청소년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긴요한 과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the youth peer-to-peer language communication conflicts and resolu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ing 642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sking about recognition related to peer communication conflict, an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F-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had conflicts in youth peer-to-peer communication situations when they realize that their friends often spoke inaccurate contents or ignored oneself.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flicts caused by different way of conversation or gender are relatively small. In the process of resolving conflicts, it was recognized that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were not significant, and as a ways of resolving conflict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other party and adjusting one s thoughts was mainly ado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However, regional differences were generally not significant. Peer conflicts among youths are caused by communication processes and resolutions are also communicated. It is a critical task in terms of youth growth to provide a quality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 for youth because experience of conflict resolution in adolescence is fundamental to successful communication in adulthood.

      • KCI등재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조재윤 ( Cho Jaeyoon ),서수현 ( Seo Soohyun ),방상호 ( Pang Sangh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7 No.-

        청소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신념을 소통한다. 이런 과정에서 형성되는 청소년 문화는 개별 청소년이 지닌 인성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자원이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일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참여가 청소년의 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인성이 얼마나 변화하였는지 측정·분석하였다. 둘째, 문항반응 이론 분석을 통해 해석과 평가의 타당성을 높였다. 셋째, 인성 점수를 규준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인성 점수는 평균적으로 향상되었고 특히 지혜 요인 향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년별 분석 결과 효과성 범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제한적일 가능성을 드러내었다. 문항 반응이론 분석 결과 검사 도구가 대부분 하위 요인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언어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다 정교하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방안과 더불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목표로 프로그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Young people communicate thoughts and beliefs that they value through their language. Their culture formed during this process becomes a key resource that constitutes the characters and identities of individual young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how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ir personality. To this end, we measured and analyzed to what extent their personality was improved as a resul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was also examined through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demonstrated by comparing their scores with the norms. The average scores of participants were improved, and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in the area of “wisdo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cope of effectiveness might be limited if they are in higher school years. The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showed most sub-factors were measured validly and reliably.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improve the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for young people continuously as well as to have a plan to more precisely and validly measure its effectiveness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