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중 과잉치 발거 이후 정중 이개의 폐쇄

        조은주,최영철,이긍호,Cho, Eun-Ju,Choi, Yeong-Chul,Lee, Keung-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Early detection and prudent management of mesiodens or supernumerary tooth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in reducing disturbance in the eruption and position of the adjacent permanent incisor. While it is true that the presence of diastema may be regarded as normal at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ge, the early detection and removal of the mesiodens is a prerequisite to facilitate spontaneous alignment or subsequent approximation of the permanent central incisors. In many cases, diastema due to mesiodens can be physiologically corrected spontaneously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The best choice of treatment of diastema may be observation. Orthodontic intervention is required only spontaneous closing of diastema does not occur within observation period. In orthodontic intervention, careful treat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Clinician gives considerations to angulation of central and lateral incisor, proximity of lateral incisor, developmental stage and position of canine, pattern and extent of anterior crowding. Orthodontic movement should be done slowly with light force. In addition, periodic radiographic observation are needed to monitor the root development and root resorption. Case 1, 2 and 3 showed physiologic closures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In these cases, acceptable alignment of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obtained. In case 4, orthodontic correction for diastema was performed successfully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After the orthodontic closure of the diastema, it was decided that a retainer was not needed, because the dentition was under a dynamic stage in exchanging teeth and also developing arches. 정중 과잉치를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이를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은 인접 영구 전치가 맹출하고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 잡는데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초기 혼합치열기에 있어 정중 이개가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정중 과잉치의 존재를 이른 시기에 파악하고 이를 적절한 시기에 제거하는 것은 이어지는 영구 중절치의 자발적인 배열과 근접화를 가능하게 한다. 정중 이개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선택은 주기적인 관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 기간 동안에 정중 이개가 자발적으로 폐쇄되지 않을 때에는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로 인한 정중 이개의 폐쇄에서 정중 과잉치의 제거 이후 자발적 즉 생리적으로 폐쇄되는 증례(증례 1-3)와 함께 교정적 처치로 정중 폐쇄를 시행한 증례(증례 4)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B(Eun-Ju CHO),조은주A(Eun-Joo JO)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 되었다. B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에서 8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영적간호역량과 영적안녕 및 영적안녕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적간호역량과 정신건강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적간호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건강이었으며 다음으로 영적안녕과 종교기간 순이었고, 설명력은 29.4%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과 영적안녕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Mental Health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16 nursing college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5th to 8th, 2020 through the survey of the participants. Then, this study statistically processed the data using th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Spiritual Well-be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Mental Health. The meaningful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Mental Health, Spiritual Well-being and period of religion in order. These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29.4% of the total variance i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Spiritual Well-being intrevention program.

      • KCI등재

        ‘나’의 기원으로서의 ‘단군’과 창세기적 문학사상의 의미 : 최남선, 신채호를 중심으로

        조은주(Cho Eun-joo)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이 논문은 1920년대 개벽사상과 단군복원운동이 내재하고 있었던 ‘창세기(創世記)적 사유’에 주목하고 그 사유의 방향성을 포착하려는 시도이다. 창세기는 흡사 카오스적 ‘혼돈’으로 파악되고 있었던 당대 불행한 시대를 구원하기 위해 호명되고 있다. 민족의 시원을 표상하는 단군의 복원이란 창세기적 장면의 재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최남선과 신채호는 실증적인 자료를 섭렵하며 단군의 실체를 검증하려 했고, 단군을 통해 조선의 고유한 정신을 찾으려 했던 대표적 작가이다. 이는 문학적 텍스트에서뿐만 아니라 역사학자의 입장에서도 그들에게 중요한 문제였다. 최남선이 주창한 불함문화권의 중심과 신채호가 내세운 역사철학인 ‘회통’의 중심에, 모두 ‘단군’이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최남선과 신채호의 특별함은 단군에 대한 사유를 ‘我’와 ‘自己’의 기원에 관한 사유와 중첩 시키며, ‘나’의 계보에 대한 탐색을 자신들의 역사학의 방법론 혹은 핵심적 사상으로 환치시켰다는 점에 있다. 자아를 포괄하여 세계와 온 우주 전체를 재창조하려는 개벽시장 위에, ‘나’의 개념과 그 기원을 탐색하는 계보학적 사유를 결합시키는 방식, 이것이 이 글에서 살펴본 두 작가의 창세기적 사유이다. 창세기적 사유는 직접적으로 단군을 호명하는 역사학적 텍스트뿐만 아니라 은유적 차원에서도 동원되었던,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려는 낭만주의적 기획과도 같았다. Ghoi Nam-sun and Shin Chae-ho reviewed Dan-gun's texts from the 1920s and 1930s in order to study the traditional spirit of Cho-sun. Dan-gun is at the cultural center of Bulham(不咸) that Ghoi Nam-sun advocated, but Dan-gun is also at the center of Hoetong(會通) that Shin Chae-ho advocated. Gae-byeok(開闢) was connected with the Cheondo religion, therefore we assume that the texts related to Dan-gun are connected to Gae-byeok's magazine idea. Specifically, Ghoi Nam-sun and Shin Chae-ho summarized Dan-gun's thoughts on the origin of Na, and they replaced a search of Na's genealogy with their historical analysis. They combined Gae-byeok's ideas, recreated the world and the universe including ego and considered the origin of Na. In this essay, Genesis as a literary idea is examined, as Genesis is also a romantic plan to establish a new world.

      • KCI등재

        이상(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 연구 -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조은주 (趙恩珠) ( Cho Eun-jo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본 논문은 李箱 시에 광범위하게 나타난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를 분석한 것이다.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는 ‘신의 죽음’을 선언한 니체의 철학과 긴밀한 상관성을 지닌다. 일본 제국주의는 물론이거니와 인간을 억압하는 종교와 도덕, 기술, 과학 등은 근대적 세계를 파국적 현실로 만든다. 그러나 니체의 ‘몰락’이 단순히 파괴적 종말이 아닌 새로운 주체(위버멘쉬)의 탄생과 관련을 맺듯이, 李箱 시에서도 ‘몰락’은 세계를 구원하는 문제로 연동된다. 육체의 몰락과 죽음을 노래하는 시적 주체는 소멸의 언어를 생성의 언어로 전환시키는, ‘反時代的’ 글쓰기를 감행한다. 그는 시대의 흐름에 순응하지 않고 오히려 삶의 이유를 찾아 몰락의 길을 선택하는 니체적 주체에 가깝다. 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은 매우 광범위하게 재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연구에서 충분히 주목되지 못했다. 李箱이 적극적으로 형상화한 니체적 모티프는 근대의 억압적 가치를 폐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함으로써 병든 삶을 치유하고 몰락하는 세계를 구원하려는, 주체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물들이다. This study examines Nietzsche philosophy widely present in Li Sang’s poem. Motifs of a ‘ruin’ and ‘disintegration’ in Li Sang’s poem are reminiscent of Nietzsche’s voice who claimed god was dead. In addition to Japanese imperialism, oppressive religions, ethics, technologies and science turned a modern Korean society to a ruinous reality. However, as a ruin did not merely mean a destructive ending, but instead led to a birth of a new being (ubermensch) in Nietzshce’s philosophy, a ruin in Li Sang’s poem also developed into an issue of redeeming the world. Stories of an ailing and dying body that frequently appeared in Li Sang’s poem can be also seen as a metaphor to a ruin of the world. Those that eulogizes a physical ruin and death in Li Sang’s poem dare to undertake writings that are against the times by converting language of extinction to language of creation. They are Nietzschelike beings who willingly go down the road of a ruin in search of life’s meaning, rather than riding with the flow of the time. Nietzsche philosophy present in Li Sang’s poem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as it has been neglected in earlier studies. Nietzsche's motives and images in Li Sang’s poem are the result of an endless effort to abandon modern oppressive values, heal sick lives and save the world.

      • KCI등재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조은주 ( Eun-ju Cho ),임순연 ( Soon-ryun L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하여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갈등 경험을 파악하고 치과위생사 갈등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13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갈등 경험을 생생하게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Giorgi<sup>13)</sup>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은 업무 갈등, 대인 갈등, 조직환경 갈등, 갈등 대처를 중심으로 범주화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업무 갈등으로 신규 치과위생사로 업무 습득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역량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으며, 역할이 명확하지 않음에 대한 혼란으로 힘들어 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아닌 업무가 주어질 때, 주어진 역할의 한계에 부딪쳤을 때, 새로운 업무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주는 대인갈등으로 직원과의 갈등, 환자와의 갈등, 의사와의 갈등으로 분류하였다. 상사와 동료, 타 직종과의 어려움, 직원의 역량 부족으로 오는 피해로 힘들어 하였다. 환자가 의사와 나를 다르게 대우할 때 회의감을 느끼며, 항상 친절해야 한다는 것으로 감정 노동을 호소하였다. 의사의 권위적인 태도에서 힘들어 하고, 치과위생사를 인정해 주지 않음을 호소하였다. 또한 의사의 진료에 대한 질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조직환경 갈등으로 근무조건, 임신과 출산, 육아에 따른 이해 부족으로 오는 어려움, 선배 치과위생사의 의견과 행동을 무조건 따라야 하는 위계질서 문화, 매출에 대한 부담으로 구성되었다. 네 번째 범주는 갈등 대처로 주위의 지지로 이겨내기,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회피하기, 떠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업무보다 사람들의 태도나 대우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힘들어 하였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에 대한 다각적 접근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갈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갈등과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conflict experien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depth interviews with 13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a dental clinic were conducted. Giorgi`s method was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Conflict experien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entral meaning as task conflicts, interpersonal conflicts, organizational environment conflict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 Participants felt more sensitive towards the attitudes of people than treatment itself. Further studies on the multifaceted approach to conflict experiences of dental hygienists should be made. Additional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measures and program to prevent and reduce conflict and stress in the work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 KCI등재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에 나타난 ‘표박(漂迫)’의 의미 - 1920년대 세계고(世界苦) 담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조은주(Cho, Eun-joo)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6 No.-

        본고는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에서 ‘표박’이 1920년대 세계고(世界苦) 담론과 조우하고 있으며 당대 김억의 시적 사유의 방향성이 응축된 복합적 이미지라는 점에 주목한다. ‘표박’ 이미지는 김억의 시가 격조율, 조선시형 등과 결부된 운율 내지는 어떤 형태적인 것에 대한 관심에만 머물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세계고’란 독일어 Weltschmerz를 번역한 비평적 용어로서, 문화가 급변하는 시기 자아와 세계가 조화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염세주의적 감정을 뜻한다. 세계고는 세상의 고통, 세상에 대한 고통, 정신적 고통 등을 아우르는 용어이다. 그런데 동시에 그것은 고통의 시대에 대한 인식을 넘어서 현실적 문제를 정면에서 돌파하려는 정신의 탐색과도 연결된다. 특히 조선의 작가들에게 세계고 담론은 필연적으로 민족고(民族苦), 조선고(朝鮮苦)의 문제를 환기하는 측면이 강하다. 김억의 시집 『해파리의 노래』에 두드러지는 상실감과 인간의 근원적 고통에 대한 성찰은 ‘세계고’ 담론과 조우하는 장면이다. 「漂迫」편에서 시인은 이 작품들이 당대 표박의 길에 오른 많은 조선의 민중을 대상으로 쓴 작품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 또한 「北邦의 小女」편에서는 1920년대 농촌경제가 무너진 이후 많은 농민들이 이주해 간 만주 서사를 다룬다. 즉 김억의 시에 나타난 ‘표박’ 이미지는 세계고 담론은 물론이거니와 당대 만주와 일본, 조선을 ‘표박’하는 조선 민중을 향하는 시선을 함축한다. ‘표박’ 이미지는 세계고로부터 출발한 보편적 인식이 민족고, 조선고와 같은 특수한 인식으로 전이/교체되는 장면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김억 시의 핵심적 사유가 내장된 이미지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at ‘wandering’ as described by Kim Eok in “A Song of Jellyfish” is a complex image that overlaps with discourses on universal pain in the 1920s and also signifies the direction of the writer’s poetic thinking. His portrayal of ‘wandering’ shows that his poem was not only concerned with style, cadence relating to poem of the Joseon Dynasty, or other formal elements. Universal pain is a critical term translated from a German word, Weltschmerz, and indicates a pessimistic view that arises from the state of discord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during the period of rapid cultural transition. It is a term that broadly encapsulates pain present in the world, pain felt about the world, and one’s inner pain. At the same time, it is tied to a psychological exploration undertaken to surmount perception of a painful period and address real problems head on. Particularly, for writers of the Joseon period, discourses on universal pain were inevitably evocative of pains experienced by Joseon and its people. Reflections on the sense of loss and fundamental pain of the human being, which stand out in Kim Eok’s “A Song of Jellyfish”, set a stage for encounters with discourse on universal pain. In dedication to the poem series “The Wandering”, Kim Eok clearly stated that he wrote them for many Joseon people who had no choice but to wander at the time. In “A Girl from the North” as well, he wrote about many farmers’ migration to Manchuria after the agricultural economy collapsed in the 1920s. The image of ‘wandering’ in his poem not only shows the poet’s understanding of universal pain and pain experienced by Joseon and its people, but also signifies his view toward Joseon people who had to wander far and wide along Manchuria, Japan, and Joseon. ‘Wandering’ can be seen as an image that contains the writer’s core poetic contemplations as it portrays a scene where a universal perception stemming from universal pain makes a transition toward and replaced by a more specific perception of pain experienced by his people and his country.

      • KCI등재

        비서구의 자기인식과 역사주의

        조은주 ( Eun Joo Cho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98

        이 논문은 1960-70년대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구의 비서 구 인식이 이른바 ‘제3세계’에서 내부화되는 과장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구는 20세기 중반 이래 서구가 비서구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경유하게 되는 개념의 하나였다. ‘제3세계’라는 용어가 과거 식민 지배로부터 해방 된 신흥독립국들을 인구학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등장했다는 사식은 이를 잘 드러내준다. 제3세계, 특히 아시아 지역의 과잉인구와 저발전에 대한 서구의 관심은 이 지역의 인구를 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시도로 이어졌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된 가족계획 사업은 그 적극적인 형태였다. 이 연구는 ‘탈식민(postcolonial)’의 맥락에서 가족계획 사업의 이 같은 속성을 읽어내고자 하는 시도다.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은 서구가 인구 개념을 경유해 인식하는 비서구 세계의 상(象)이 비서구가 스스로를 인식하는 양식과 어떻게 공명하는가를 보여준다. 가족계획 사업의 전개과정에서 농촌과 도시의 이항대립은 전근대와 근대, 야만과 문명, 과거와 현재(미래), 정체와 진보의 표상과 결합하면서 서구에 준거하는 비서구의 자기인식과 연결되었다. 특히 동시대인으로부터 동시대성을 제거하고 이들을 타파 되지 않은 나머지(remnant)이자 시대착오로 간주하는 비서구 엘리트들의 인식은 발전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인 역사주의(historicism)를 반영한다. 가족계획 사업은 역사주의와 결합하여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메워지지 않는 격차를 상정하고 그 낙오를 만회하기 위하여 식민주의의 이른바 문명화 임무를 내부화하며 전개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West’s perception of the non-West in the ‘Third World,’ by analyzing the Family planning Program in South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Population has been on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way in which the West has perceived the non-West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term ‘Third World’ itself emerged as a demographic description of newly independent countries that had been decolonized and liberated from colonial rule. The West’s concern about overpopulation and underdevelopment in the Third World, especially in Asia, resulted in strategies to control Asia’s population. One of these strategies was the Family Planning Program, which was deployed extensively in Asia. This gaze and Western perception was infused into the Family Planning Program from the beginning an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South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started through the direct intervention of the West, which intended to control the population of the Third World. This intention was deeply imprinted in the deployment of the Family Planning Program in South Korea. Binary opposition between country and city was tenaciously and persistently applied and it was connected to the dichotomy of non-Western/Western, pre-modern/modern, barbarism/civilization, past/present, and degeneration/progress. The life habits of ordinary people, whose childbirth was not controlled in the modern way, were represented as the habits of ‘animals’ and ‘worms’ and their way of life was portrayed as stagnant and anchored in ‘the past, hundreds of years ago.’ This view represents historicism, a form of developmentalism ideology, which strips contemporaries of their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and replaces them with attributions of “remnant” and “anachronism.” Combined with historicism, the Family Planning Program postulated the gap between the West and the non-West, and in order to redeem it, internalized the so-called civilizing mission of colonialism.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학습역량간의 관계

        조은주(Cho eun ju),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4 Global Creative Leader Vol.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적 성격과 학습역량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역량강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개인배경(성별, 학년별)에 따라 창의적 성격과 학습역량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창의적 성격 및 학습역량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창의적 성격의 하위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학습역량의 하위요인에서는 인지능력과 학습행동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학년별 창의적 성격과 학습역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데, 4학년이 가장 높았으며, 하위요인별 분석에 있어서는 호기심. 민감성, 문제해결력만 학년별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창의적 성격의 하위 변인 간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학습역량에 있어서는 인지능력과 학습행동, 학습동기와 학습행동 간에 상관관계가 유의히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3년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결과에서 성인 초기인 대학생 시기를 기점으로 학습역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현상이 우리나라가 OECD국가 중 연령 간 역량편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노동시장미스매칭으로 창의성이 구현되기 어려운 스펙 쌓기 열풍에 휩싸여있는 현실이지만, 역으로 창의적 성격이 발휘되어 학습역량이 가장 뛰어난 대학생시기에 보다 더 세분화된 창의-학습역량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면 성인기의 창의적 학습역량이 유지 및 개발되어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is research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learning competency to discover th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paper focuses on two main topics; ‘the difference of learning competency and creative personality based on the students’ background(gender, grade)’ and ‘relation between learning competency and creative personality’.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male students’ average score i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creativity and male students’ average score i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learning ability. The differences based on grade leve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Senior students’ deviation was the highest in every section. And it was found that curiosity, sensi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re the only meaningful result in lower factor research. Also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lower 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and in learning competency section,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learned behavior, between learning motive and learned behavior were meaningful. According to PIAAC(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report, the deviation of Korean learning competency based on age is the highest in the OECD record. It is hard to implement the education program which helps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in Korea because job market wants only the highly qualified individuals with quantifi-able requirements and achievements. However, if university students can receive education which would nurture the creativity during the time when the learning abilities are at the peak, the creative learning competency will likely be maintained as well as developed even at an adult age.

      • KCI우수등재

        인구의 출현과 사회적인 것의 구성

        조은주(Cho, Eunjoo)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5

        이 논문은 인구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 혹은 사회적인 것(the social)의 인식에 접근하는 연구다. 인구는 18세기 서구에서 사회(적인 것)에 대한 특정한 사유방식과 결합하면서 등장한 개념이었다. 또 다른 근대적 개념인 시민과 마찬가지로 인구는 인간을 추상화하지만, 추상화를 통해 이질적 존재들인 개인들 사이의 등가성을 확립하고 이 등가성에 기반을 두고 개인적 변이들을 넘어서는 규칙성을 포착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고유의 리듬과 규칙성을 가진 통계적 구성물로서 인구는 사회(적인 것)의 인식에 자연(nature)을 도입하는 중요한 기제가 되었다. 인구는 외재적 개입을 통해 강제할 수 없는 내재적 동인을 가지는 것으로, 역사 전개의 법칙에 따라 사회가 진보한다는 사유와는 완전히 이질적인 사회인식을 가져왔다. 특히 인구에 내재된 자연성을 포착하고 이를 조절하는 문제가 긴요해지면서 인구 변동의 요인과 기술에 대한 앎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로써 사회(적인 것)에 대한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체계는 사회(적인 것) 자체를 구성해내는 실천의 영역이 되었다. 근대 정치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지배해왔던 ‘지배-시민-주권’의 계열에서 사회 혹은 사회적인 것은 국가 대 사회, 국가-사회-시장과 같은 지형학적 범주로 인식되지만, 이와 이질적인 근대 정치의 계열로서 ‘통치-인구-안전’의 계열은 사회 혹은 사회적인 것이 지식과 실천을 통해 지속적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is paper approaches a stream of recognition of the social through the concept of population. The concept of population began to appear in the West in the eighteenth century, combined with the emergence of a specific form of thinking of the social. Like another modern concept of citizens, population makes people into abstract entities. But the concept of population is distinctive in that through this abstraction, it establishes equivalences among individuals who are heterogeneous and aims to grasp its regularity beyond individual variations. As a statistical construction with its own rhythm and regularity, population became an important instance of introducing nature into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Operating according to an inherent natural mechanism that cannot be forced by external intervention, the concept of population brought about a substantially different way of thinking about society, compared to thinking of it as progressing along with the law of history. Particularly as it became important to grasp and analyze the inherent agents and techniques of population transformation in order to regulate or modify the naturalness of populati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has been magnified. Contrary to the series of ‘rule-citizen-sovereignty’ on which discussion about modern power and politics has almost exclusively focused, and in which the social was approached in a topographical way of state vs. society, the series of ‘government-population-security’ which has been deployed in mundane administrative reality shows how the social is constructed through various practices, including knowledge production.

      • KCI등재

        윤동주 시의 저항성과 탈영토적 상상력

        조은주 ( Cho Eun-jo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3

        본 논문은 윤동주 시의 ‘저항성’을 재고하고 이를 ‘노마디즘’을 통해 새롭게 분석한 것이다. 노마디즘은 영토나 국가가 없는 상태에서 막연하게 떠돌아다니는 것이 아닌, 기존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부정하고 불모지를 옮겨 다니며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내는 일체의 방식이다. 윤동주는 만주국을 역사적 모순과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노모스적 폭력의 공간으로 이해한다. 제국주의적 지도를 벗어나는 방식은 끊임없는 유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윤동주는 국가장치의 한계에 저항하는 노마드적 유랑을 펼쳐 보인다. 유랑의 가운데 만나는 소외된 주변부의 타자들과 ‘슬픔’을 통해 교감하고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하는 상상력을 작동시키기도 한다. ‘슬픔’은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감정이 아니라 온갖 박해에도 불구하고 정의와 진리를 지키는 참된 마음이다. 슬픔의 주체들이 서로의 고통을 있는 그대로 응시하는 순간 진정한 감정적 공유가 이루어진다. 국가권력에 의한 영토화는 ‘오줌’과 ‘눈’으로 그린 리좀적 지도에 의해 거부된다. 리좀적 지도는 울타리가 있는 고정적 공간이 아닌 중심과 주변의 구분이 없고 끝없는 탈주가 가능한 공간, 즉 ‘흐르는거리’의 이미지로 변주되어 나타난다. 윤동주 시인은 파격적인 공간 감각을 도입하며 창조적인 탈주선들을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그가 도달하고자 하는 ‘진정한 고향’은 물리적 고향과는 거리가 먼 ‘또다른 고향’, “到着하여야할 時代의 停車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istance and transterritorial imagination expressed in poems of Yoon Dong Ju. The protagonists in his poems are diaspora and homo-nomads. Homo-nomads are without nationality or geographical restrictions. The emphasis on national borders and the need for map is closely related to an expansion of imperialism. A map turns space into a particular place or an abstract notion separated from the surrounding. A map shrinks the world and transforms it into a text. The poet perceived ‘map’ as a symbol of imperialism, and applied geographical sensibilities that intentionally erased or transcended borders and boundaries. For instance, in his poem, ‘pee’ and ‘snow’ are often used as a device that erases boundaries on a map. They erase boundaries, and at the same time, are used as a device that paves a new path of history. Yoon Dong Ju’s transterritorial imagination expresses his pursuit of a true world, ‘another home’ that the poet dreamed of. The train that carries Yoon Dong Ju’s poems runs toward the last destination-‘true home’ or a ‘station of the time’-and charts a new map that transcends an imperialistic one. His transterritorial imagination is a poetic reflection of homo-nomads who desire to leave the space of idle contentment and settlement behind, and change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