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Pseudoalteromonas carageenovora 유래 Arylsulfatase 유전자의 표층 발현

        조은수,김현진,정소아,김정환,김연희,남수완,Cho, Eun-Soo,Kim, Hyun-Jin,Jung, So-A,Kim, Jeong-Hwan,Kim, Yeon-Hee,Nam, Soo-Wa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5 No.4

        P. carageenovora 유래 arylsulfatase 유전자(astA)의 효모표면발현 plasmid pCTAST(7.1 kb)를 구축하여 S. cerevisiae EBY100에 형질전환하였고, 선별된 형질전환체들을 YPDG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4-methylumbelliferyl sulfate를 분해하여 형광을 보였다. 이는 효모에서 arylsulfatase가 활성형으로 생산되었음을 의미하였다. S. cerevisiae EBY100/pCTAST를 플라스크 배양했을 때 arylsulfatase 활성은 galactose가 완전히 소모된 배양 48시간째 최대 활성인 1.2 unit/mL로 나타났으며 배양 상등액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효모 S. cerevisiae의 세포표면에서 발현된 재조합 arylsulfatase로 제조된 agarose를 agar와 시판용 agarose와 함께 ${\lambda}DNA$ HindIII marker를 사용하여 DNA 전기영동 성능을 비교 실험한 결과, agar보다는 재조합 arylsulfatase 처리로 제조한 agarose가 이동성이나 분리능에서 우수하였으며, 시판용 agarose와 비교하여 이동성이나 분리능이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효모 S. cerevisiae의 세포표면에서 발현된 재조합 arylsulfatase 효소를 이용하여 한천으로부터 전기영동용 고순도 친환경적인 agarose 생물 생산 공정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arylsulfatase gene (astA, 984 bp ORF) from Pseudoalteromonas carrageenovora genome was expressed on the cell surface of S. cerevisiae by fusing with Aga2p linked to the membrane anchored protein, Aga1p. The constructed plasmid, pCTAST (7.1 kb), was introduced to S. cerevisiae EBY100 cell, and yeast transformants on YPDG plate showed the hydrolyzing activity for 4-methylumbelliferyl-sulfate and p-nitrophenyl-sulfate. When S. cerevisiae EBY100/pCTAST was grown on YPDG medium, the arylsulfatase activity of cell pellet reached about 1.2 unit/mL, whereas no extracellular arylsulfatase activity was detected. The DNA ladder in agarose prepared from agar by this recombinant arylsulfatase showed similar resolution and migration patterns with a commercial agarose. This results revealed that arylsulfatase expressed on the cell surface of S. cerevisiae could be applicable to the economic production of electrophoretic-grade agarose.

      • KCI등재

        고엥카 리더십

        조은수(Cho, Eun-s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2

        본 논문은 국제적 비파사나 명상 네트워크인 고엥카의 “비파사나 명상 센터”(Vipassana Meditation Center)의 운영 방식을 주목하여, 그 운영의 원칙 속에 녹아서 작동하는 초기불교의 이념을 분석해 보임으로써, 가르치는 법(法, Dharma)의 내용과 이 수행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 간에 존재하는 일관성이 이 단체를 세계적인 조직으로 성장하게 한 원동력이 되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정교한 체계와 광범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운영의 원칙은 프로그램의 내용과 상관성을 가지며 명실상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열흘간의 수행프로그램을 통해 수련생들은 명상법과 불교의 가르침을 배우고 느끼며, 궁극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의 원칙이 불교의 담마(Dhamma)에 기반하고 있음을 체험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해 존경 뿐 만 아니라 나아가 여기서 가르치는 명상법의 유효성도 받아들이게 된다. 즉 주도하는 이념과 실천 방식 간에 유기적인 관련이 있는가의 여부에서 그 체제의 진정성에 대한 신뢰가 발생한다. 리더십은 외부적 관련을 염두에 두면서 자신의 내면적 가치와 통찰에 걸맞은 방식으로 세계와 주체적으로 접촉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내면적 통찰의 힘을 불교적 가치에서 끌어 내서 자신의 삶 속에서 세계와의 접촉에 적용할 때 ‘불교 리더십’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불교의 이념과 원칙에 기반하여 삶속에서 실천하는 불교 리더십의 모형을 고엥카 프로그램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고엥카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고엥카는 개인적인품과 카리스마의 기반 위에, (1) 도덕성의 함양을 프로그램의 지표로 삼고, (2) 트랜스내셔설하며 다문화적 관점을 포용하는 개방적 문화를 실천하며, (3) 종교적 색채를 지양하는, 합리성과 논리성에 기반한 이념과 실천법을 제시하고, (4) 자칫 교조적으로 전락할 수 있는 수행 환경에서, 불교적 가치와 명상법을 실용적 태도를 가지고 교육함으로써, 세계인들의 마음에 다가갈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으로, 보시와 공덕과 은혜의 삼원적 체계, 윤리적 실천의 요소, 초종파적 초국가적 다문화적 다언어적 성격, 개인이 아니고 조직이 움직이며 내가 하는 일이 아니고 담마가 하는 일이라는 하심의 정신, 개별성과 공동체, 로칼리티와 보편성 간의 조화,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리더십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이상 열거한 운영원칙이 불교의 가르침과 연관성을 가지고 실천되고 있음을 보이고, 이러한 점이 한국 불교의 조직화와 국제화를 입안하는 데에 있어서 큰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음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operating principle of S. N. Goenka’s Vipassana meditation program and shows that the coherency that exists between the underlying ideological principle, which is based on early Buddhist doctrinal concerns, and the way in which this principle is carried out provides the moral confidence and integrity necessary for teaching this program. I would argue that these qualities have become essential and are responsible for the program’s rise to current world prominence, receiving genuine respect from those looking for a rational and practical way of escaping life’s dissatisfaction. In this paper, I define leadership as a method of living a good and meaningful life in consideration of others and the surrounding world. Equipped with a mature insight on the nature of life and the world, which is characterized by transitory and impermanent nature, we can bring about good results in whatever we do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outside world. When this power of insight is drawn from the Buddhist value to be applied in real life, it can become known as “Buddhist leadership.” I argue that Goenka’s program provides a good model for Buddhist leadership where Buddhist ideas and principles are applied in real life. This paper will touch on five qualities that enable Goenka’s leadership: (1) personal integrity and charisma, (2) transnational and multicultural considerations, (3) transcendent attitudes toward different religions and ideologies, (4) emphasis on moral integrity, (5) focus on practical and applicable knowledge. In addition, the paper addresses the ternary connections between generosity, merit, and benefit; humility and attitude based on deferring to the anonymous and community working spirit; harmony between locality and universality; and autonomous and horizontal work relations.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re at work in the meditation program’s organization. I also argue that these points can have great implications on the success of current Korean Buddhist organizations’ internationalization efforts in the present and future.

      • KCI등재

        조망거리별 색채경관 분석기준에 관한 연구

        조은수 ( Cho Eunsoo ),채민규 ( Chae Min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은 오랜 세월동안 자극적이고 자연배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모습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60년대 경제개발 시기를 기점으로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이농(離農)현상과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70년대 새마을 운동의 주택개량사업을 들 수 있다. 주택개량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모습은 과거 전통적인 마을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띠게 되었다. 어떠한 기준이나 제지 없이 지붕에 도색된 무절제한 색채의 남용은 이 시기부터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혼란스러운 색채의 남용은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못한 채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원인 중 하나로 각 지자체의 색채경관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사 및 분석방식, 관리방식 등이 색채경관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색채경관 가이드라인의 조사 및 분석방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할 방안의 하나로 조망거리에 따른 색채경관 현장분석기준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색채경관관련 이론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적용할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색채경관 현장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을 설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기준의 적합도를 검증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조망거리에 따른 색채분석의 기준은 인간의 시지각 현상에 기반을 둔다. 시지각 현상을 근거로 하여 조망거리, 시각적 형태를 이루는 기본요소이자 경관 구성의 주요 요인인 점ㆍ선ㆍ면, 색채의 동화현상에 해당하는 시각적 혼색,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성의 네 가지 요인을 분석기준의 주요 개념으로 적용한다. 이것을 조망거리별 원경, 중경, 근경관점의 색채 분석기준으로 분류한다. 원경 분석기준에서는 사계절 배경색과 대상색과의 상호관련성을 통하여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성 및 조화여부를 파악한다. 중경 분석기준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의 색차 그래프를 통하여 인접 건축물과의 연속성 및 조화여부를 파악한다. 근경 분석기준에서는 개별 건축물의 구성요소별 색채조화여부를 파악한다. (결론) 지금까지의 점적인 근경위주의 색채계획은 주변과의 조화 및 배경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속되어 왔으며, 오늘날까지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색채경관의 본질적 개념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적용한 조망거리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색채분석기준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본 연구의 방안이 우리나라 농촌경관의 색채를 조금이나마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lor landscape of rural villages in Korea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as stimulating and inconsistent with the natural background.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s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started in the 1960s, and the displacement from agriculture, and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The appearance of rural areas in Korea took on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from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 villages in the past. As a result, the abuse of the roof color painted of this period has not been resolved yet. As the main factor in this phenomenon,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field survey and analysis method suggested in the color landscape guideline of each local government did not reflec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landsc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lor landscape field analysis standard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theoretical basis to be applied to this study is prepared through the study of color landscape related theories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second stage, color landscape field analysis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the third stage, the suitability of the analysis criteria is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In the fourth stag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presented. (Results) The standard of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phenomenon. Four factors are applied as the main concepts of the analysis criteria: viewing distance, the main factors of landscape composition: dots, lines, and planes, visual color mix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Thi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or analysis criteria by viewing distance. In the distance view analysis standard, it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object color through the four seasons analysis tool. In the mid view analysis standard, the continuity and harmony with neighboring building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olor difference graph. In the near view analysis standard, it presents whether color harmony of each component of housing or not. (Conclusions) The near-sighted color scheme has continued without considering the harmony with surroundings and has been the main cause in polluting the colors of rural village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time」and 「space」, which are the factors of color landscape, is introduced to propose a standard for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t is hoped that the method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changing the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n Korea in a better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梵網經』異本을 통한 고려대장경과 돈황 유서 비교 연구

        조은수(Eun-su Cho)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본 논문은 梵網經 (K. 0527, T. 1484)에 대해 돈황사본, 고려 초조대장경, 그리고 고려 재조대장경의 다른 판본들을 대조하여, 범망경의 구성과 성립 과정에 대해 시사점을 가지는 문헌상의 몇 가지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범망경은 5세기경 중국에서 성립된 위경이며, 대승보살계를 설하는 주요 경전으로 동아시아 불교의 계율사상 형성에 핵심이 되는 문헌이다. 본 연구에서는 50종 총 342 점에 이르는 돈황사본을 활용하여 이들 사본과 인경본들을 검토한 결과 범망경은 그 글자의 출입이 상당하며 오랜 시일을 거쳐 많은 교열 과정을 거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대장경 재조본은 상권·하권이 모두 존재하는 반면, 초조본은 하권만 존재하는 등, 판본에 따라 경전의 수록 범위도 다르며, 글자 교열을 통해서 내용의 수정도 가해져서 흥미로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같이 필사본과 인쇄본 등을 대조 연구함으로써 상이한 매체에 따라 어떻게 지식이 교정되고 선택되며 표준이 정립되어 가는지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notabl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various recensions of the Fanwangjing (K. 0527, T. 1484) by conducting a comparative examinations of the many Dunhuang manuscript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editions of the Tripitaka Koreana. The Fanwangjing, an apocrypha Buddhist text, presumably created around 5th century China, is a popular sutra in East Asian Buddhism, famous as a major textual source that systematically presents the Mahayana Bodhisattva precepts. Over time, significant corrections were made, hence the breadth of changes to the contents, and even the range of the inclusion of texts varied depending on the versions. By investigating these exciting features of diversity and variation, we were able to come up with an explanation about the course of the life of the Fanwangjing, presenting an interesting case study of how knowledge can be distribu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dia, how it can be corrected and selected in order to make a standard version that asserts an authenticity both in the form and contents it provides.

      • KCI등재

        지율스님의 생태운동과 에코페미니즘

        조은수(Cho, Eun-S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지율스님의 천성산 개발 반대 운동과 도롱뇽을 원고로 하는 ‘자연의 권리’ 소송은, 환경 훼손을 감수하고 진행하는 개발의 가치에 대해 사회 일반에게 첨예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그의 환경 운동이 생명의 존엄성과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에 대해 한국 사회의 인식을 환기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흔히 그가 불교 승려이고 여성이라는 점에서 그의 생태관은 당연히 불교나 여성주의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흔히 생각하지만 실질적 분석은 행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지율스님의 글과 행동에서 드러나는 그의 생태관을 분석하여, ‘불교’와 ‘여성’이 실제로 그의 생태 사상의 두 주요 축이 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는 환경과 생태를 모두 일종의 생명으로 본다. 이러한 생명들 간의 소통부재가 현재의 생태 파괴를 가져왔으며 소통을 통해 생태적 감수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글과 사진을 중요한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특히 그의 포토저널리즘은 무상하고 공하며 연기로 얽힌 우리의 삶의 파라독스를 미학적 감각으로 표현하고 있다. 자연은 침탈의 대상이 아니며 인간과 자연은 상호 존중하는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그는 이것을 화엄불교 사상의 언어와 논리로서 설명한다. 화엄의 중중무진연기를 이해함으로써 세계와 내가 동체이며, 나와 다른 생명과의 평등성을 깨달을 수 있다. 그의 생태관은 자연계와 인간계 간의 평등한 관계의 회복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여성과 남성간의 가부장적 지배관계와 자연과 인간 사이의 지배관계 사이의 관련성에 주목하는 에코 페미니즘의 원리와 공명하고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and explores Jiyul Sunim’s efforts to protect nature and the environment in Korea, an undertaking necessitated by the widespread an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growth in modern Korea. Although her efforts in fighting for nature have created a huge response in Korean society and have elicited many analyses of her protest movement, there has as of yet been no discussion of the strong Buddhist convictions that underlie her activism, particularly the Huayen doctrine of dependent causality. Her Green Resonance movement is intended to raise awareness and sensitivity about our own reciprocity of being, as it is inherently connected to nature. That is, we too are connected to nature, although we can become insensitive to that connection through a lack of communication. This broader vision of connection gestures also to a broader approach to communication, through channels other than language and media. The language of nature, for example, is especially expressed through visual presentations. Jiyul Sunim’s exceptionally visual presentations in photo journals and other digital media represent her holistic vision of the Buddhist world. Her activism offers an exceptional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Buddhist ideas on nature and environmentalism, while also demonstrating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eco-feminism drawn from Buddhist concepts.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와 환경, 과연 동행자인가 : 이론적 가치와 실천적 전망

        조은수(Eun-su Ch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1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6

        환경 문제가 전 지구적 관심이 되고 있는 가운데, 동양 사상에서 환경 보호적 사유를 찾고자 하는 노력들이 나타났다. 이중 불교는 자연, 환경, 생태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가지고 환경과 생태계의 보존을 뒷받침하는 이론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불교적 이념이 환경적 가치 실현에 얼마나 구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유념하면서, 불교 교리 내에서 환경 내지 생태와 유관성을 갖는 이론들을 분석하고, 현대 한국 불교계에서 나타난 환경운동들이 불교 교리의 실천적 표현이라고 이해될 만큼 이론적 연관성과 건전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따져 본다. 불교가 환경 윤리적인 함축을 가지고 있고 나아가 생태적으로 친화적인 종교임을 주장하는 근거로는 교리적, 그리고 문화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교리적으로는 불교의 생명관과 자연관, 그리고 연기설, 무아설, 공 등의 이론으로 대표되는 불교의 세계관을 들 수 있다. 특히 연기설은 환경을 이루는 각각의 요소들 간의 관계성과 상호의존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생태 철학적 가치가 높다. 한편 불교에서 인간은 육취의 하나로서 다른 존재들과 업의 결과라는 점에서 평등하다. 나의 몸은 음식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여, 몸과 자아에 집착하여 무생물이나 다른 생명들과 차별하여 보는 것을 뒤집어보라고 한다. 또한 자아와 세계는 공하지만 이것을 깨달은 보살은 세상 속에서 방편으로서 각종 이타행을 하며 공을 실천한다. 공에 기반한, 행위의 윤리학이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 위에서 불교의 수행과 문화 전통 속에서 드러나는 생태적 가치는 뚜렷하다. 더구나 지난 십년간 한국 불교계에 나타나던 환경운동은 대규모 개발에 맞서서 환경 보호와 생태적 삶의 가치에 대해 대중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전반적으로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도 제공하였다. 환경 운동의 이론적 실천적 주체가 됨으로써 한국불교는 모처럼 자신의 역동성을 대중들에게 확인시켜줄 수 있었다. As environmental issues become global concerns, Asian philosophical traditions are searched for answers on the ecological crisis. Buddhism has received special attention with its unique interpretations on nature, environment and ecology, and is seen as possibly providing a theoretical framework in guiding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preservation of na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evant doctrines innate to Buddhist thought and to examine if the current environmental movements which merged within the Buddhist society retain theoretical relevancy to the issue and are practically sound. The assertion that Buddhism is both eco-friendly and eco-supportive is based in its doctrine and culture. The former refers to the Buddhist view of life, where nature and its world view is expressed as theories of dependent-arising, no-self, and emptiness. The theory of dependent-arising is highly relevant and efficacious in serving as an eco-philosophy, since it illustrates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among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the world. With the backing of these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ecological implications of Buddhist practice and culture are great. Monastic communities nestled in the deep mountains, surrounded by rivers are self-contained, eco-conscious and organic, setting itself as an example. And environmental events led by Buddhist monastics in contemporary Korea, as outer expressions of their social concerns, not only generated momentum for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issues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critically reflect on its own materialism. By leading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ways, Korean Buddhism has revived itself after a long silence in the public domain.

      • KCI등재

        농촌마을 색채경관 현장조사 방법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조은수 ( Eunsoo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70년대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주택개량사업은 한국의 농촌경관을 전통적인 이미지와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시켰다. 자연과 동화되었던 한국의 농촌경관은 고채도의 색채와 인공적 재료의 오남용으로 훼손되어갔고, 4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주변 자연배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이 지닌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그동안 많은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각 지자체별로 경관계획을 실시하여 과거에 비해 한층 체계적인 색채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해결에 있어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을 지자체 색채경관의 현장조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관련 이론을 고찰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까지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하나로서 경관계획내의 색채가이드라인과 관련한 연구 자료를 통해 기존 색채경관의 현장 조사방법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농촌 마을의 색채경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서 색채계획 프로세스 중 현장조사 방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기존 현장 조사방식을 분석한 결과, 자연환경의 조사시기가 특정 계절에 한정되어 있고, 조사시 조망하는 거리나 위치 등의 조망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감성적·상징적 항목 등을 통해 대표색채를 추출한다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배경과 인접과의 「관계성」,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사계절특성을 반영하는 「시간성」, 원경·중경·근경에 따른 「조망성」의 세 가지 관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결론) 지금까지 농촌의 색채경관계획은 농촌건축물의 유형별 모델 한 채만을 대상으로 하는 점적인 개념의 가이드라인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의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색채경관계획은 기존의 점적인 근경위주가 아닌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면적인 개념의 접근과 함께 인접한 건축물간의 연속성을 살릴 수 있는 통일성 있는 경관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which was promoted as a part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changed the landscape of rural areas in Korea from its traditional image. The rural landscape of Korea, which was assimilated with nature, was damaged by the overuse of high-chroma colors and artificial materials, and even after 40 years it continues to be a landscape that is no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background. Many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to recognize and solve the problems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and landscape planning has been implemented in all municipalities to provide a more systematic color management plan. However, an effective solution has yet to be reach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ot causes of the problem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which have remained unresolved for a long time through field research methods of colored landscapes, and suggest a practical improvement plan. (Method)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explai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in the second stage the theoretical basis is prepar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data. In the third stag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field research method are identified through data on the color guidelines in the landscape plan as one of the various reasons that the problems of color in the rural landscape have not solved. In the fourth stage, a practical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is suggested as a method of field research and improvement pla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urvey period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limited to a specific season, and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viewing environment,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position to be looked at in the survey, and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color through emotional and symbolic item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improvement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adjacent object, the time reflecting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easons, and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landscape. (Conclusions) So far, the color plan related to the rural landscape has focused on the guidelines of a point concept that covers only one model of rural architecture. In the future, the landscape color plan in rural villages should be planned as a unified landscape that can represent continuity between neighboring buildings, as well as approaching the concept of an area tha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 KCI등재

        인도와 중국 불교 경론을 통해 본 “Buddha-vacana”개념의 의미 변천

        조은수 ( Eunsu Cho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4

        붓다의 말씀이라는 뜻의 ‘buddha-vacana’의 성격 규정에 대해 인도와 중국의 논서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논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그 논의가 인도 아비달마 논사들의 저술에서 나타난 이래, 중국 번역 불교에서 어떤 의미로 변천되고 변화 되었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아비달마 불교에서 ‘buddha-vacana’는 붓다의 말씀, 즉 소리를 의미 하기도 하고, 붓다의 가르침, 그 내용을 말하는 buddha-dharma를 가리키는 두 가지 의미가 발견되지만 아비달마 문헌이 2세기부터 중국에 번역되기 시작하면서 ‘佛言’, ‘佛語’, ‘佛說’ 등으로 번역되다가 최종적으로 7세기에 현장의 아비달마 문헌 번역에서 ‘佛敎’라는 번역어로 통일됨으로써, 소리로서의 의미는 점차 희석되고 진리로서의 의미가 부각되는것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현장은 ‘svabhava’의 번역어로 ‘體’라는 이미 여러 다른 뜻을 함의하고 있는 단어를 채택하고, 어떤 경우는 ‘체’를 임의로 삽입하였기에, 아비달마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등장하는 이특정 구절은 불교의 ‘체’, 즉 본질이 무엇이냐는 질문으로 전의되어,‘buddha-vacana’는 불교 즉 붓다의 가르침의 體, 또는 본질이라는 뜻으로 정착되게 된다. 그런데 당시 현장의 학문적 관심을 잇는 제자인 원측이나 규기 등의저술에 보면 이들은 당시 산스크리트 문헌에서 나오는 이러한 혼동스러운 여러 가지 정의에 대해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논의 는 이후 중국 화엄학에서 붓다의 말씀 또는 가르침의 ‘체’, 즉 ‘敎體’라 는 말로 대표되어 붓다의 가르침의 진리성을 보장해 주는 것이 무엇이 냐는 형이상학적 질문의 방향으로 그 관심이 뻗어 나갔다. After the translation of some Abhidharma texts into Chinese, Chinese Buddhists found interesting arguments in the texts about the nature of the Buddha’s word: whether it was “speech,” “sound,” or “name.” These Indian texts based their argument primarily on the assumption that the Buddha’s word should be speech or speaking. The matter of concern was: is the “sound” enough to carry the meaning or do we need another category of “name” in order to communicate? The puzzle began in the different positions in Indian Abhidharma schools. The Sautrantikas asserted that the nature of the Buddha’s word should be “sound” only. Taking a nominalist position, they refuse to accept the category of “name,” which is abstract and hypothetical to them. However, the ambivalent attitude of the opposing Sarvastivadins, attested in the orthodox Sarvastivadin literature, Mahavibhasa, who should have advocated “name” because this is one of the entities approved in their ontological structure, indicates to us that they were hesitant about this delicate issue. Later in the acclaimed Abhidharma compendium, AbhidharmakoSa, both positions were introduced and no claim was made by the author as to which was valid. All these debates across several centuries in India reflect the agony of the situation buddhists had to face oncetheir Buddha had gone. While the Buddha lived, his words were of the nature of speech in a direct, primary sense, as well as of the nature of name, in the sense of a conveyed meaning or second-hand knowledge. Now the teachings transmitted oral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ad to be set down in writing for preservation; meanwhile the challenges to the authenticity of the teaching they claimed to have heard or to have heard from one who had heard it aggravated the intensity of the questions, which the Indian Abhidharma Buddhist had to answer one way or another. To the Chinese Buddhists, whose contact with the Buddha’s teaching was solely through written words in a foreign language, the question as put to them would not have had the same implications. Accordingly their answers were different. The role Xuanzang played in the “language issue” as it developed in Chinese Buddhism should be pointed out here. The Chinese word for the “essence of the Buddha’s word,” jiao-ti , is an abbreviation of fo-jiao-ti and was used by for the first time Xuanzang, who did massive translations of the Indian Abhidharma texts into Chinese. J iao-ti which literally means “the essence of the [Buddha’s] teaching” was chosen as the translation of buddha-vacana, i.e. the word of the Buddha, in Sanskrit. The implication of “the essence” was not there in the first place. Xuanzang, however, by the addition of the component “ti” in translating svabhvava to make the question as “what is the ‘essence’ of the Buddha’s word,” must be said to have paved the way for the change in the Chinese Buddhists’ concerns over this issue. This effort to define the Buddha’s word based on their doctrinal position, integrated with the pursuit of the classification, should be the outcome of the Chinese Buddhist conclusions on the essence of the Buddha’s teaching. The issue of language, which was mainly a linguistic concern inIndia, became transformed into a self-contained system in China to be altered into a religious and metaphysical concern.

      • KCI등재

        가정폭력 목격경험이 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은수 ( Cho Eunsoo )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직접적인 학대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고도, 가정폭력 목격 경험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독립적인 손상을 검증해 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아동학대 실태조사’에 응답한 전국의 중학생 734명이며, 구조방정식으로 모델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폭력 목격경험이 직접 경험의 기여분을 분리한 뒤에도 청소년의 심리ㆍ사회적 발달에 손상을 주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즉, 가정폭력 목격경험만으로도 직접적인 학대 경험만큼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가정폭력 목격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악영향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었다. 가정폭력 직접경험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목격경험의 악영향만이 유의하게 검증된 것은, 목격만으로도 발달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발견을 토대로 폭력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목격만 한 피해자도 사법적 보호체계 안에 포함될 것을 촉구하였고, 그들의 학교적응과 심리·사회적 발달을 돕는 학교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정책이 개발되어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dependent detrimental effects of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on adolescent development, controlling for the impacts of direct abuse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4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Child Abus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even after separating the contributions of direct experiences,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inflicts damage on adolescents’ psychosocial development. This indicates that the experience of merely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can cause damage as severe as that resulting from direct abuse experiences. Second, the detrimental impact of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on school adaptation has been statistically verified. The fact that the impact of direct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etrimental impact of domestic violence witnessing experience is significant suggests that the witness experience alone can lead to developmental dama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adolescent who have solely witnessed violence, yet not experienced it directly, should be included in the legal protection system. Furthermor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and policies supporting their school adaptation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should b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