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여래장사상의 중국적 수용과 전개 - 『원각경』과 그 주석서들을 중심으로

        조윤호(Cho Yoon-Ho)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This study aims to make the new way for understanding Chinese Buddhism by examining the Chinese Way of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the Tath?gata-garbha The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like the following. The Tath?gata-garbha Theory which was transmitted through a Chinese translation, in the early 5th century, of the books of the Tath?gata-garbha caused a great sensation on Chinese Buddhism inside. At the same time, afterwards Chinese Buddhism was developed taking the Tath?gata-garbha Theory as an axis. T"ien-t"ai School, Hua-yen School, Ch"an School as well as Ti-lun School all takes the Tath?gata-garbha Theory as the core of their theory, and the Tath?gata-garbha Theory finally comes to be independent as the ‘Ru-lai-zang-yuan-qi-zong(如來藏緣起宗)".<BR>  Complete Enlightenment S?tra(圓覺經) which was formed from about in the late 7th century to in the early 8th century shows the situation of the Tath?gata-garbha Theory"s development, and presents a more radical ideal of that ‘All beings in itself are Buddha(衆生本來成佛)". Especially this ideal is understood more subjectively by Tsung-mi(宗密). It needs to discuss more deeply how the Tath?gata-garbha Theory is received in the tradition of Chinese Hua-yen Theory and Ch"an Buddhism. Hua-yen Theory, however, which is formed through interpretating Hua-yen S?tra(華嚴經) in the point of view of the Tath?gata-garbha is succeeded to the Complete Enlightenment S?tra interpretation of Tsung-mi, and he tries to combine this with Ch"an Buddhism. That is to say, the Tath?gata-garbha Theory interpretation of Tsung-mi which is shown in the books for him annotating Complete Enlightenment S?tra has the considerable meaning in that it succeeds to the tradition of Hua-yen Theory, and furthermore combines this with Ch"an Buddhism.

      • KCI등재

        견문각지(見聞覺知)에 대한 원측의 해석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8

        이 논문은 견·문·각·지에 대한 원측의 해석 작업을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견·문·각·지 이해의 한 사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측은 『해심밀경소』 「승의제상품」에서 승의제의 의미 설정과 관련하여, 이 문제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원측은 견·문·각·지에 대한 인도불교에서의 이해 방식에 대해 동아시아불교 교리사에서는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상세하게 조사하여 정리·소개한다. 동아시아불교권에서 원측의 작업은 가장 본격적인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설일체유부·경량부·대승교학 각각의 이해 방식은 물론 그에 대한 원측의 해석학적 작업 과정을 거쳐 견·문·각·지의 의미 지평은 동아시아불교사에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원측은 주요 불교 사상체계에서 견·문·각·지의 교설들에 대해 관련 주요 문헌을 통해 꼼꼼히 그 내용을 검토하고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불분명한 내용들은 명료해지고, 서로 어긋나는 견해들은 정합적인 방식으로 재해석된다. 원측이 확인하고 이해한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동분의 근을 기준으로 안근을 견, 이근을 문, 비근·설근·신근 셋을 각, 의근을 지에 대응시킨다. 경량부에서는 ① 육식의 현량이 견, 성언량이 문, 육식의 비량이 지, 분별이 각이라고 보는 입장, ② 오근의 현량이 견, 성언량이 문, 의식의 비량이 각, 의식의 현량이 지라고 보는 입장, ③ 안근의 현량이 견, 의근의 성언량이 문, 의근의 비량이 각, 이근·비근·설근·신근·의근의 현량이 지라고 보는 입장이 있다. 대승교학에서 견은 삼사화합에 대한 가립으로 보며, 문은 삼사화합에 의해 의식에 성립한 마음들로서의 문혜·사혜이다. 각은 『대지도론』에서는 비식·설식·신식의 현량, 『유가사지론』에서는 의식의 비량이다. 지는 안식을 제외한 이식·비식·설실·신식과 현량의 의식 모두이며, 이근·비근·설근·신근까지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원측은 대승교학에서 견·문·각·지의 이해와 관련해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고 있다. ① 유식교학의 식설과 견·문·각·지의 관계에서 제7식은 非量이므로 견 등을 안립하지 않으며, 제8식은 현량이므로 지에 포함된다. ② 육근과 현량의 관계에서는, 소극적으로 근의 현량으로서의 작용을 인정하는 경우와 적극적으로 근의 현량으로서의 작용을 인정하는 경우의 둘이 가능하다. ③ 제8지 이상에서 성인의 가르침을 듣는 제6의식은 현량이 아니다. ④ 욕계에는 견·문·각·지 넷이 있고, 색계에는 미세한 형태의 각이 있고, 무색계에는 미세하게 지가 남아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ǒnch’uk’s interpretation of dŗşta-śruta-mata-jñāta and to identify an example of its understanding in East Asian Buddhism. Wǒnch’uk goes into detail about the meaning of paramārthasatya, in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 In this process, Wǒnch’uk investigates and introduces dŗşta-śruta-mata-jñāta in such detai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mple in East Asian Buddhism. Through the process of hermeneutic work of Wǒnch’uk, the meaning of ŗşta-śruta-mata-jñāta is concretely revealed in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종밀의 원각경주석서에서 교와 선의 관계론

        조윤호(Cho, Yoon-ho)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이 연구는 8~9세기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소위 교와 선, 이론불교와 실천불교의 관계론을 둘러싼 거대담론의 전개 과정에서, 둘의 ‘和會’라는 방향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내용을 구축해 제시하고 있는 하나의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종밀의 초기 저작이라 판단되는 그의 『원각경』 주석서들을 조사하여, 그가 교와 선의 접점을 어디에서 찾고 있는가, 그리고 그 융합의 방식은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확인된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밀의 경우 『선원제전집도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후에 널리 그의 사상적 특징이라고 일컬어지는 교선일치와 같은 이념은 이미 『원각경』 주석서들에서 기본적인 틀이 형성되었다. 이 둘에 대한 회통적 해석의 구체적 방법과 내용은 禪개념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통해 불교의 수행론 특히 중국 선종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인하고, 이에 의해 신회 사상의 진리성 확신을 토대로 모든 불교의 수행론을 재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종밀에게 『원각경』은 교와 선의 화회가 구현된 최고의 매개체로 해석되며, 결과적으로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그의 결론은 『원각경』 교설과 神會사상의 일체화였다. ‘화엄선’ 등에 의해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종밀의 사유지평을 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is commentaries on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early works of Tsungmi. Through this work, the question of where does Tsungmi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nd what is the method of fusion was examined. The confirmed central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sungmi, the idea of unit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presented in the Ch’an-yüan-chü-ch’üan-chi Tu-hsü has already formed a basic framework in his commentaries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both is carried out through a new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Ch’an. He also confirms the Buddhist practice theory, especially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Chinese Ch’an sect. Through this, it was to reinterpret all Buddhist practices since Indian Buddhism, based on the conviction of the truthfulness of Shenhui thought. In this process, for Tsungmi,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is interpreted as the best medium in which the synthesis of teaching and practice is embodied and, consequently, his conclusion on the relational theory of teaching and practice was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ith Shenhui’s thoughts. Re-discussion is needed on defining Tsungmi’s thoughts on the relational theor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s “Huá yuàn-Ch’an”.

      • KCI등재
      • KCI등재

        원측의 육성취(六成就) 이해(Ⅰ) - 경전 교설의 정통성은 어떻게 담보되는가? -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62 No.0

        원측의 『해심밀경소』 「서품」은 육성취와 관련하여 동아시아불교권의 경전 해석사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상세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육성취에 대한 원측의 해석을 검토하여 경전 교설의 정통성 확보 문제에 대한 이해의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해심밀경소』 「서품」의 전반부, 즉 “如是, 我聞, 一時, 薄伽梵” 구절에 대응하는 ①신성취, ②문성취, ③시성취, ④주성취에 해당한다. 원측에 의하면 육성취에서 ①신성취는 ‘如是’의 의미와 관련하여 검토되며, 그는 인도와 중국에서 교설의 정통성 및 진실성에 대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언표로서 다양한 맥락적 의미가 설정되어 해석되고 있었음을 확인한다. ②문성취는 ‘我聞’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에 의하면 ‘我聞’은 ‘전법 보살과 아난 등이 오온의 몸에 我를 가립하여 그들의 이근에 식이 발생해 설법을 들은 것’이며, 이것을 호법·현장·친광 등의 유식교학적 이해에 따라 엄밀히 정의하면 ‘여래의 식에 발생한 언어적 표상이 아난의 식에 유사하게 전변하여 현현한 것에 대한 진술’이 된다. ③시성취는 ‘一時’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은 먼저 길장을 비롯해 보리유지·장이·진제 등에 주목하여 그 해석학적 의미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그는 대표적으로 진제가 열 가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처럼 ‘一時’는 단순한 물리적 층위를 넘어 여래의 출세에서부터 불법의 전승·수행·공덕 등에 걸친 불법의 시작과 끝이라는 전반적 상황과 관련하여 그 의미가 확장되어 해석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더불어 원측은 유부·중관·유식교학의 시간관을 검토하여, 유부에서 시간은 유위법들의 삼세에 걸친 변화 양태에 의거해 가립된 개념이며, 중관교학에서는 본체가 없는 것으로 규정되며, 유식교학에서는 유위법 상의 분위에 가립된 것임을 확인한다. ④주성취는 ‘佛’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은 한역 경전들에 보이는 설법 주체의 불일치 상황으로 인해 제기될 수 있는 불법의 권위 및 정통성 문제에 대해, 서역의 원전이나 원어 층위에서는 문제가 없으며 단지 번역 과정에서의 문제임을 확인한다.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육성취와 관련한 원측의 논의 방식 및 이해 내용에 보이는 특징들을 확인하는 것에 논의를 한정하였다. 다만 원측의 논의와 이해 과정에는 당시의 대표적 이해 방식들이 전체적으로 포괄되어 있다는 점에서 8세기 이전 중국에서 육성취에 대한 논의와 이해 방식은 그의 작업에 의해 일단의 완결을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원측 이후의 육성취 논의 및 이해와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겠으나 현재로서는 주목할 만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원측의 활동기를 전후해 중국불교계는 불전의 한역과 연구 등 불교의 수용과 이해 방식 정립 등에 대한 관심이 정점에 달하던 시기이며, 이후 육성취 자체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볼 때 원측의 작업과 성과는 동아시아불교권에서 불전의 정통성 문제와 관련한 가장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Won-chk's(圓測)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解深密經疏) discusses the Six Accomplishments in such detai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in the history of scriptural interpretation in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examines Won-chk's interpretation of the Six Accomplishments, examining how he understands the issue of securing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thus(如是)’ relates to the fulfillment of faith(信成就), which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contextual contexts as a direct statement of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in India and China. According to Won-chk, ‘what I heard(我聞)’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listening(聞成就), and its meaning is 'Bodhisattvas, Ananda, etc. set ātman in their bodies made of panca khandha(五蘊), so that they can hear in their ears. The ability to hear was developed, and the ears heard the teachings. Also, if the meaning of thi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Yogācāra School, it becomes ‘a statement about what appears in Ananda’s perception when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that occurred in the Buddha’s perception changes similarly.’ According to Won-chk, ‘onetime(一時)’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time(時成就), and its meaning goes beyond the physical level. In other words, it is related to the overall situation from the appearance of Tathagata in the world to the beginning and end of Buddhist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Buddha(佛)’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stay(住時就), and the discrepancy in the name of the preacher that appears in Chinese Buddhist sutras is not a problem in the Indian original text or at the original language level. It is a problem that arose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orthodoxy of the doctrine.

      • KCI우수등재

        불교 안에서의 다원주의

        조윤호(Cho, Yoon-ho)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7 No.-

        This paper aims at tracing a pluralistic element in the Buddhist intellectual tradition, and suggesting the Buddhist model of ‘a limited pluralism’ that helps us to go beyond essentialism and to overcome a threat of nihilism. For this aim, the author opposes Buddhism against the Hindu traditional thoughts that have a essentialist and a nihilistic characteristic, and defines Buddhism as a philosophical attitude of pluralism. This is because Buddhism sees beings or phenomena including understanding through ‘beings within causal relations,’ namely, the unique way of thinking of dependent arising. Also this is because Buddhism neither absolutize nor universalize one’s own subjective judgment, and opens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understandings and judgments. Besides the middle path(madhyama pratipad), as an attitude not committing both moral scepticism and ontological nihilism, is a restraint mechanism for both a nihilistic and a dogmatic attitude, and is a Buddhist perspective on the problem of a limited pluralism.

      • KCI등재

        공통 Phrase의 관계 그래프와 Suffix Tree 문서 모델을 이용한 문서 군집화 기법

        조윤호(Yoon-Ho Cho),이상근(SangK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2

        기존의 문서 군집화 기법 NSTC은 문서 군집화 과정 내에서 TF-IDF를 이용하여 문서간 유사도를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TF-IDF가 아닌, 공통 Phrase의 관계 그래프를 이용한 새로운 문서간 유사도 측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문서 집합 내의 공통 Phrase들의 관계를 나타낸 관계 그래프를 통해 공통 Phrase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NSTC와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서간 유사도 측정 기법이 문서 군집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Previous document clustering method, NSTC measures similarities between two document pairs using TF-IDF during web document clustering.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similarity measure using common phrase-based relational graph, not TF-IDF. This method suggests that weighting common phrases by relational graph presenting relationship among common phrases in document collec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in clustering document collection than NSTC.

      • 보현행원사상 연구를 위한 문헌학적 접근

        조윤호(Cho Yoon-ho) 불교학연구회 2002 불교학연구 Vol.4 No.-

          As an elementary work for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the ideal of Samantabhadra-Bodhisattva-Cary?-Pra?idh?na(普賢菩薩行願) in East Asia, and its the ideological and religious meaning, the present thesis tries the approach of literature reviews of the idea and relevant materials. Particularly, P"u-xian hsing-yuan p"in(普賢行願品) and its commentaries, which are central material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dea of Samantabhadra-Bodhisattva-Cary?-Pranidh?na, are mainly considered for reviewing currently popular views.<BR>  The outcome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BR>  ① The concept of "Samantabhadra-Bodhisattva-Cary?-Pranidh?na" was recognized as the symbol of Bodhisattva"s practice in Hwa-yen Buddhism or Hwa-yen S?tra, and the contents included specifically noticeable "10 Cary?-Pra?idh?nas(十種行願)".<BR>  ② P"u-xian hsing-yuan p"in bie-xing shu(普賢行願品別行疏) of Ch"eng-kuan(澄觀) was not just a shorter edition of P"u-xian hsing-yuan p"in shu.<BR>  ③ The existence and circulation of P"u-xian hsing-yuan p"in could be traced, and P"u-xian hsing-yuan p"in bie-xing shu was an interpretation of the book.<BR>  ④ It was revealed that it was incorrect that P"u-xian hsing-yuan p"in shu or P"u-xian hsing-yuan p"in shu ch"ao(普賢行願品疏?) was understood to be written by Tsung-mi(宗密), and that it was out of misunderstanding that P"u-xian hsing-yuan p"in shu ch"ao was recognized as a nickname of P"u-xian hsing-yuan p"in bie-xing shu ch"ao.<BR>  ⑤ It was confirmed that P"u-xian hsing-yuan p"in bie-xing shu ch"ao had been written by Tsung-mi 1-2 years before his death.<BR>  ⑥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Ch"eng-kuan of East Asian Buddhism centering on the idea of Samantabhadra-Bodhisattva-Cary?-Pra?idh?na and the belief of Samantabhadra-Bodhisattva, and the ideological and religious efforts of Tsung-mi.

      • KCI등재

        『화엄경』 의 여래장적 해석과 성불론

        조윤호(Cho Yoon-Ho)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7 No.1

        이 글은 중국에서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을 통한 수용 과정에 보이는 성불론의 형성과 변용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화엄경』에는 여래장설이 직접적으로 설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의 『화엄경』연구자들은 자신이 이미 수용하고 있던 여래장사상을 토대로 이경을 해석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당연히 둘 사이의 거리가 발생할 것이 예상되며 해석의 정당성과 근거가 문제로 등장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와는 별개로 이 둘의 만남은 중국의 화엄교학 및 여래장설의 사상형성과 전개에 큰 흔적을 남기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화엄교학 해탈·성불론의 형성과 관련해서는 화엄불교가 현실계와의 접점을 강화하는 한 계기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화엄불교가 여래의 진실계를 배경으로 하는 것에 반해 여래장설은 기본적으로 중생에 대한 주목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화엄의 불지·불신이 일체중생에 내재된 성불의 근거인 불성으로 해석될 경우 불지·불신이 보다 주체화되고, 나아가 실천주체의 설정이 여래에서 중생 자신으로 중심 이동하게 되어 주체적 실천이 강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여래장설의 성불론과 관련해서는 여래장설은 『화엄경』의 중심 이념인 여래의 공덕·위신력이라는 외적 요인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성불의 조건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는 일체중생의 성불에 대한 강력한 담보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여래장설의 성불 이념을 강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여래장설은 『화엄경』의 여래지·법신 등 중생 성불의 내적 근거 및 그것의 활동성을 확고하게 담보하게 되며, 여래의 위신력은 중생성불의 외적 조건을 적극적으로 담보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화엄경』사상의 여래장적 해석과 전개과정에 드러나는 중국여래장설의 한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동시에 여래장설의 중국적 전개과정에서 드러나는 화엄교학의 역할과 사상사적 의의를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 화엄교학 및 여래장설의 해탈·성불론 형성과 전개에는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과 수용이라는 사상사적 계기가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의 여래장설 및 이의 수용 위에 형성된 화엄교학에서는 불성이라는 이념적 근거를 토대로 해탈·성불론이 강화된 듯 보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념적 층위의 전개일 뿐, 실제에 있어서는 해탈·성불에 대한 관심과 추구 노력은 도리어 약화되는 역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This treatise is to consider how the theory of Buddhahood by the Buddha-nature was transform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in China. Certain thoughts are made based on a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products i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ought. Chinese annotators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interpret it based on the Buddha-nature thought which was already accepted to themselves. Therefore, it is foreseen that there occur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By the way, its interpretational legitimacy and ground comes into question. The Buddha-nature thought of China involves a change of content by accepting the Gaṇḍa-vyūha-sūtra with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Especially, with concerns about the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Buddha-nature theory, it can be said that the Buddha-nature position and the truth body ensure solidly internal grounds and its activities for humankind to attain Buddhahood, and Buddha-nature's dignity power of good deeds and merciful actions 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Gaṇḍa-vyūha-sūtra ensures actively the absolute of external conditions for humankind to attain Buddhahood. It means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is recreated as the powerful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with accepting the thought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