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의 감성을 수용하는 공공공간 개념연구- 지하철 차량 내부에서 나타는 현상을 중심으로 -

        조윤설,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현대 사회는 많은 공공공간들이 만들어지고, 그 공간속에서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수많은 지각현상을 느끼고, 이것들은 많은 감성들로 발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공간디자인에 있어 공공감성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여, 실질적 공간디자인 적용에 있어 이론적 바탕 정립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감성은 개인의 감성이 공공공간에서 타인들로 인해 발현되는 공공감성을 다루며, 공공공간의 범위는 지하철 차량 내부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감성이 발현되는 뇌의 영역과 진화심리학을 통하여, 공공감성에 대한 개념 정의를 내렸다. 이를 바탕으로 진화 미학, 신경 미학에서 공간 선호에 따른 공간감성 요소를 파악하고, 그 요소들을 적용한 활용사례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공간인 지하철 차량내부에서 나타나는 사람들의 심리현상을 관찰하고, 설문조사를 함으로서 본 연구의 실질적 목적인 공공공간에서의 감성공간 적용에 대하여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지하철좌석의 구석 자리 2 곳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옆 승객과의 마찰이 없을 수 있는 좌석을 선호하였다. 이는 무의식적으로 일어난 인간에게 내재된 공공의 감성에 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한 본 논문의 결과가 향후 공공공간 및 공공시설 디자인 진행에 있어 좋은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진화미학, 신경미학 차원에 다양한 연구로 이어져 실질적인 현대 공공디자인에 적용되길 기대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a number of public spaces are built and people perceive various sensible phenomena, realizing them as another form of sensibility.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oretical fundamentals to apply in designing a physical space by analyzing the influences of public sensibilities on planning a public space. This research deals with public sensibility subdivided into an individual sensibility realized by others in a public space, and the scope of the public space is limited to the inside of subway car. For this, neurological methodology was adopted to identify the brain area in which the sensibility is activated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sensibility, and the core concept of public sensibility was defined through evolution psychology. Based on this, the elements of public sensi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ary aesthetical and neuroaesthetical preference of space were recognized, with case studies including examples upon which applied those elements. The observation of psychological reactions of the people inside the subway car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experiment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sensibility space into the public space.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preferred two corner seats and then the seats where the least contact with others were expected. This is due to inherent individuality in human occurred unconsciously. In conclusion, these research outcomes are in an attempt to be a respectful reference in designing public spaces or public facilities in the future and applied on practical contemporary public design field in respect to other various researches such as evolutionary aesthetics and neuroaesthetics.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

        조윤설,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지금의 소비 트렌드를 변화시키고 있는 소비자들은밀레니얼 세대라고 한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문화적인혜택을 많이 받은 만큼 미적 감각 및 감수성 또한 이전 세대와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높으며, 이러한 특징들이 지금의 핫 플레이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연구와이들이 이용하는 공간 소비와 경험 소비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되어진 자료들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경험적 소비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 소비층으로 부상하고있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간 소비 특징들을 제시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소비 공간 디자인에 적용 할 수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선정을 위해 텍스톰이라는빅데이터 사이트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추정유동인구)를 이용하였다. 실시한 결과 연남동, 을지로, 익선동으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지역에서 네이버 블로그 리뷰와 인스타그램에태그되는 건을 합한 결과 상위 3개의 카페를 선정하고,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명을 텍스트 마이닝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밀레니얼 세대들의 찾아가는 장소와 공간들을 살펴보면 밀레니얼 세대들의 경험적 소비 공간에서 분석된 결과 먼저, 심리적 요소에서는 밀레니얼 세대 특징으로 검색, 행동, 인증, 공유 순에서 검색과 행동에 대한 인식들이 분석 되었으며, 경험적 요소에서는 나만의 공간 욕구와 취향 및 가치에 대한 결과물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들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소적 인식에 대해서는 인증, 공유에 포함되는 요소로 공간에 분위기를 신경 쓰며, 디저트의비주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외적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소비는 아끼지 않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 3가지의 경험적 공간 소비들의 공통점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디지털 매체를 적극 활용한 결과라볼 수 있으며,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는 다양한관계 형성의 수단과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즉,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 관한 연구시 보다 다양한지역, 다양한 공간 종류, 인종 등을 고려하여 다각화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Generation)뿐만 아니라 각 세대(Generation)에 관련한 공간 소비 특징 분석에 대한지속적인 연구를 제시할 계획이다. Consumers who are changing the current consumption trend are called millennial generation. Millennial generations have been culturally benefited, so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sensibility are also incomparably higher than in previous generations, and these features are now being seen in the hot pla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ud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space consumption and the experience consumption that they use, and the data collected by using the Big Data a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ed to present the spa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s, which are emerging as the main consumers, and to serve as a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consumption space design. We used Big Data site called Textom and our village store commercial analysis service (commercial district - estimated floating population) provided by Seoul city for the space selection of Millennium generation. As a result, the top three caf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Naver blog review and tagged in the Instagram.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umption, Big Data We used text mining to identify the consumers’ perception. First, the perceptions of search and behavior in the order of search, behavior, authentication, and sharing were analyzed with the Millennial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perceived place and spa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s were analyzed. In the empirical element, the feature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at pursue novelness as a result of my own space desires, tastes and values have emerged. Finally, as for the place awareness, the atmosphere of the space was considered as the factor to be included in the certification and sharing, and the visual of the dessert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at consume consumption satisfying external gratification have appeared. The commonalities of these three empirical space consumption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active use of digital media as a digital native and the spatial consump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a means of expressing various relationships and expressing oneself as a communication tool.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spatial consump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regions, various kinds of spaces, and races. Based on this research, we plan to present continuous research on spac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ch generation as well as Millennial generation.

      • KCI우수등재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 지역정체성 활성화 방안 연구 : 부여 장암면 장하 1리(장정마을)를 중심으로

        조윤설,한승석,장충희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8

        This study presented a measure to activate rural villages by preparing a plan to establish regional identity focusing on local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which was based on the concept of Ruritage.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underdeveloped villages of rural areas, the storytelling model to utiliz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theories and cases of rural public design. Based on the the survey, the research site (Jangjeong Village in Buyeo) was selected and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 storytelling model and public design application method were presented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of the target site. Jangjeong Village is an area where the population is declining and aging is progressing. In addition, Treasure No. 184, a three-story stone pagoda in Janghari, is possessed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but its utiliz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storytelling model' was developed that local people could sympathize with by deriving the values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from the target site. To do this, the image of Jangjeong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full of value that overcomes the political severance of Baekje's destruction and remembers Baekje with the power of culture. To this end, using the message of 'The stone pagoda that retains the culture of Baekje', the image of Jangjeong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overflowing with value to overcome the political severance of Baekje's fall and to remember Baekje with the power of culture. By using the developed model to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the local residents in Janghari, we suggested ways to apply public design that can reflect and empathize with the valu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Public design developed around public facilities, information systems, environmental maintenance and streetscap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revitalizing local identity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revitalize rural villages - that have images of 'insufficient', 'undeveloped', and 'fading away'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rural villages and local residents with ‘characteristic’, ‘new’, and ‘sympathetic’ image by utilizing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which are the competitiveness of rural areas. 본 연구는 RURITAGE 개념에 기반,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지역정체성 확립방안을 마련하여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의 대상이 되는 농촌의 낙후마을,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모델, 농촌 공공디자인 이론과 사례를 검토하였다. 검토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지(부여군 장암면 장하 1리)를 선정하고, 대상지의 지역정체성 확립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모델과 공공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부여군 장암면 장하 1리는 농촌마을로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이다. 또한 장하 1리는 보물 184호 장하리 3층석탑을 역사문화자원으로 보유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활용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적 가치를 도출하여 지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백제의 문화를 간직한 백제계 석탑’이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장하 1리의 이미지를 백제멸망이라는 정치적인 단절을 극복하고 문화의 힘으로 백제를 기억하고 있는 ‘가치가 충만한’ 마을로 설정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바탕으로 장하리 지역민들의 정주환경 개선에 적극 활용하여 지역민의 삶 속에 역사문화자원의 가치가 투영되고 공감될 수 있는 공공디자인 적용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 안내시스템, 환경정비 및 가로경관을 중심으로 전개된 공공디자인은 지역민들의 지역정체성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족한’. ‘발전하지 못한’. ‘소멸되어가는’ 등과 같은 이미지를 기반하는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에서, 농촌의 경쟁력인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특색 있는’, ‘새로운’, ‘공감되는’ 이미지의 농촌마을과 지역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시대변화에 따른 세대별 공간 가치추구 변화 연구

        조윤설 ( Yoonseol Jo ),조택연 ( Taigyoun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획일적인 아파트에서 삶을 보낸 20대~ 30대 들은 1980~1990년대에 지어진 주거용 건물이 상업용으로 바뀌면서 이전까지는 낡은 것으로 치부되던 것들이 ‘현재’의 표준 바깥으로 벗어나면서 독특한 공간으로 여겨질 수 있게 되었다. 이들 세대는 문화적인 혜택을 많이 받은 만큼 미적 감각 및 감수성 또한 이전 세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 1970~80년대 건축 공간이 신기하고 놀라운 것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외국인들이 한국에 오면 한옥을 경험하고 싶어 하는 것과 같은 이유다. 이런 배경에 본 연구는 각 세대마다 추구했던 핫 플레이스가 있지 않을까란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의 시대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세대별마다의 특징에 따른 장소 지역들의 공간을 구분하고 변화를 분석하여, 세대별 공간에 대한 가치 추구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적 자료를 통해서 시대의 특성을 도출하고 사회적 배경과 각 시대의 세대들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1960년대 이후 세대 변화의 과정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X세대, Y세대, Z세대로 구분하여 각 세대별 특징에 대한 연구와 시대변화 과정, 사회분위기에 대해서 논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1960년대 이후의 사회와 시대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세대별마다의 특징에 따른 장소 지역들의 공간을 구분하고 변화를 분석하였다. 2장과 3장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만들고, 4장에서는 각 세대마다 즐겨 찾던 핫 플레이스들을 선정하고 구분하여 시대변화에 따른 경제, 정치, 문화 등의 급속한 변화가 세대별 핫 플레이스 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세대에 따른 공간가치 변화를 도출한 후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X세대의 사회특성으로 생산과 소비사회로 과시적 소비와 제화를 소유하고자 하는 소비가 공간 가치에 드러났으며, Y세대의 사회특성으로 복합, 문화사회로 소비의 가치추구가 문화의 소비로 나타났다. Y세대들의 핫 플레이스 들을 살펴보면 X세대와는 다르게 장소에서 가지고 있는 이미지들은 문화적 소비가 공간에서 나탔지만 최근에는 문화 소비에서 경험소비로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아 Y세대와 Z세대의 공간 가치추구가 중첩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 Z세대는 202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비세대로 장소에 대해서는 특정 짓지 못하였지만 Z세대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사회특성으로는 경험과 연결사회로 경험을 소비하는 공간들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었다. (결론) 트렌드가 없다는 말까지 나올 만큼 다양한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는 시대이다. 기존 세대에서는 하나의 유행에 하나의 흐름을 탔지만 Y세대와 Z세대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인정하며, 어느 특정인의 취향이나 특정인의 삶의 방식을 그대로 쫓는 시대는 지나갔다. 최근 핫 플레이스에 유독 ‘골목길’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시대변화에 따른 세대별 공간 가치 추구 변화에 대해 분석한 본 연구 결과가 향후 나타날 새로운 세대, 또는 기존 세대에 대한 공간 가치 추구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쓰임 되길 바라며, 후속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Study Background & Purpose)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began to be conducted with the question of hot popular places pursued by each gene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pla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that appear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fter 1960s, to analyze changes, and to find a change in the value pursuit for space in each generation. (Study Method) In this analysis, generations were categorized into Generation X, Generation Y, and Generation Z,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social atmosphere in each period were discussed. Therefore, spatial plac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that appeared after 1960s, and a change in the spatial places was analyz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drawn in chapters 2 and 3, an analytic framework was created. In chapter 4 was selected and categorized the favorite hot popular places of each generation; the influence of the rapid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hanges on hot popular places of each generation was analyzed (Results) The people of Generation X experienced the societ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their show-off consumption of goods were found in spatial value. The people of Generation Y experienced the complex and cultural society, and their value pursuit of consumption was found in cultural consumption. Unlike the hot popular places of Generation X, the hot popular places of Generation Y had the image of cultural consumption spatially. Given that cultural consumption changes to experience consumption, the spatial value pursuit of Generation Y and Generation Z is considered to be overlapped. Generation is the generation showing their activities in earnest after 2020, and it is hard to define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atial pla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relevant works of Generation Z, the people of Generation Z have the society of experience and connection and are expected to pursue the spatial places for experience consumption. (Conclusion) This is the times when a variety of trends coexist. For this reason, some people say that there is no trend. In previous generation, there was one trend and one flow. On contrary, the people of Generation Y and Generation Z accept a variety of lifestyles, and do not follow a particular person’s taste or lifestyle any more. That is the reason why there are many ‘alleys’ as hot popular places recent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a change in the spatial value pursuit of each generation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for studying the spatial value pursuit of the new future generation or previous generations, and follow-up resear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공공의 감성을 수용하는 공공공간 개념연구 -지하철 차량내부에서 나타는 현상을 중심으로-

        조윤설(주저자) ( Yoon Seol Jo ),조택연(교신저자) ( Taig Young C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형이상학적 변혁을 주장하는 탈구조주의 생태학의 주장에 궤를 같이 하여 자연에 대한 심미적ㆍ정신적 차원에서 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모색해 보고 지향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의 교육적 접근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바탕으로 생태학 담론과 과학주의의 한계, 그리고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철학에 대해 고찰한가. 둘째, 미술교육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모색을 위해 먼저 자연과 미술의 관계를 탐색하고 미술교육의 내재적 목적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이러한 생태학적 미술교육에 관한 논의를 종합하여 생태학적 미술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제시한다. 이는 1)자연의 교감과 생명력, 2)감수성과 생태적 상상력, 3)생태적 각성과 영성회복을 지향점으로 하는 미술교육이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태교육은 모든 존재가 우주적 생명체계 내에서 서로 상생하며 항구적 의존관계에 있음을 깨닫게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In contemporary society, a number of public spaces are built and people perceive various sensible phenomena, realizing them as another form of sensibility.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oretical fundamentals to apply in designing a physical space by analyzing the influences of public sensibilities on planning a public space. This research deals with public sensibility subdivided into an individual sensibility realized by others in a public space, and the scope of the public space is limited to the inside of subway car. For this, neurological methodology was adopted to identify the brain area in which the sensibility is activated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sensibility, and the core concept of public sensibility was defined through evolution psychology. Based on this, the elements of public sensi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ary aesthetical and neuroaesthetical preference of space were recognized, with case studies including examples upon which applied those elements. The observation of psychological reactions of the people inside the subway car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experiment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sensibility space into the public space.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preferred two corner seats and then the seats where the least contact with others were expected. This is due to inherent individuality in human occurred unconsciously. In conclusion, these research outcomes are in an attempt to be a respectful reference in designing public spaces or public facilities in the future and applied on practical contemporary public design field in respect to other various researches such as evolutionary aesthetics and neuroaesthetics.

      • KCI등재후보

        자연의 형상 발생 구조에 내재한 미의식 연구

        조윤설 ( Yoon Seol Jo ),윤자정 ( Ja Jung Yoon ),조택연 ( Taig Youn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4

        (연구의 목적) 인류는 자연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들의 의미를 이해하는 두뇌를 가짐으로서 생존 가능성을 높였다. 이러한 두뇌의 지능으로 어떤 형상이 생존자원이고, 잠재적 위험이며, 안전한 서식지인지를 감성적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감성은 특정 형상에 대한 호감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형상에 관한 지능을 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방법) 자연은 대칭성의 질서를 따라 생성되고, 이를 인지하는 지능으로서 미의식(美意識)이 생성되었다. 자연의 형상 발생 구조를 정리하고, 이를 인지하는 두뇌의 형상 지능을 정리한다. 자연의 형상 질서를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프로그램을 사용해 형태로 생성하고, 어떠한 형태 질서에 대해 가장 호감을 느끼는지 파악한다. (연구의 결론) 인간의 미의식은, 특정 형상의 시각 정보에 대해 더 호감을 느낀다. 이는 특히 유전자의 형상 발생 질서로 생산된 형태에 대해 더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형상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human brain`s capacity to understand various forms in nature promotes survival possibilities. Through the exercising of emotions, the humanbrain can differentiate survival resources or safe habitats from potential risks. These emotions favor particular forms. Therefore, a study for utilizing intelligence (specifically, form and design) is needed. (Method) Nature is generated by order; furthermore, its aesthetics indicate an underlying perceptible intelligence. This study arranges the form generation algorithm of nature and form intelligence of the perceptible brain. This creates the form order in nature using the genetic algorithm program and understands the kind of form order that is most likeable. (Result)Humans have more affection for aesthetics and virtual information of a particular form. Affection is strong for forms with effective design shapes that are generated with the genetic algorithm.

      • KCI등재

        해외건축가 작품에서 표현된 제주 지역성 연구

        조윤설(Jo, Yoon Seol),오창윤(Oh, Cha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다양한 장소들의 탄생과 이동성의 증가로 장소들은 밀접한 관계들을 맺고 있다. 여러 도시의 호텔, 공항, 쇼핑몰 등 생활 어디에나 존재하는 장소가 많아지며, 이에 세계는 급속히 동질화되어 가고 있다. 이는 장소성의 결핍으로 이어지고 있다. 장소성의 결핍은 환경과의 관계를 맺고 있는 건축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장소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소성의 결핍 해결방안을 지역성에서 찾고자 한다. 장소성과 지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장소성과 지역성에 대한 개념과 장소성의 구성요소 3가지(물리적, 행태적, 의미적 요소)로 나누고 있으며, 물리적 요소에서 포함 된 지역성을 더 세분화하여 제주도 지역성을 자연환경, 인문사회 환경, 건축환경으로 나누어,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에 지어진 여러 건축물 중 해외 건축가 작품 중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준 작품에서 나타난 지역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 준 작가의 제주도에 있는 건축물 총 6개의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풍토에 적합한 조형물은 억지를 부려서는 안 된다.’라는 말은 이타미 준작가의 말이지만 작가 두 명의 건축물들의 구성요소 중 대지환경에서 제주도의 경관을 거스르지 않고 대지로 스며들고 있다. 이 6개의 건축은 제주도의 지역성을 충분히 인지함과 동시에 건축가 개인이 제주도에서 느낀 장소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이다. 많은 관광객들과 전문가들은 제주도와 어울리는 건축물을 생각 할 때, 대표적으로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 준 작가의 건축물을 떠올리며, 방문한다. 작가는 지역성과 토착성을 바탕으로 건축물로 표현하고 있다. Places now have closer relations thanks to the births of various places and the increase of mobility. There are a variety of places in cities, such as hotels, airports, shopping malls, etc., which ubiquitously exist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 world is rapidly becoming homogeneous. However, this rather causes a lack of place features. A lack of place feature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architecture field, as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such reality, the importance of researches on place features has grown. This research also intends to identify solutions for the deficiency of place features from locali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lace features and localities, the concepts of place features and localit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elements). In addition, the physical element of the localities of Jeju Island ar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humanities & social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Based on thos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n the architectural works done by Ando Tadado and Itami Jun among the numerous buildings built by foreign architects on Jeju Island.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ver the six buildings built by Ando Tadao and Itami Jun on Jeju Island. As Itami Jun once said that “Sculptures, which are well suited to the natural characteristics, should not persist stubbornly,” those buildings built by those two architects are naturally permeated into the Mother Earth without going against the landscape of Jeju Island. Those six buildings were constructed over the architects’ full recognition of the localities and the place features, as they felt on Jeju Island. Indeed, many tourists and experts come to visit Jeju Island, thinking of the buildings built by Ando Tadao and Itami Jun. Localities and indigenousness are well expressed through those buildings by the architects.

      • KCI등재

        서울형 도시 재생 활성화 대상지의 장소성 빅 데이터 분석

        조윤설 ( Jo Yoon Seol ),조택연 ( Cho Taig 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과거에 만들어 졌던 공간에 대해서 어떠한 경험과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빅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소성과 장소 이미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장소를 서울이라는 도시로 정했으며,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 도시 재생 활성화 대상지 중 4가지 지역을 선정 하였다. 이 지역들을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장소성에 대한 공간 인식 분석을 한 후, 지역 특성에 맞는 장소성을 형성하는 요소들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통해 급변하는 현대의 도시 환경 속에서 각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공간 가치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론 서울형 도시재생 활성화 대상지들을 살펴보고, 도시 경제 기반형으로 저이용 저개발 중심지역, 근린 재생형(중심시가지형)에서는 쇠퇴 낙후 산업지역, 역사 문화 자원 특화 지역, 마지막으로 근린 재생형(일반형)에서는 노후 주거지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장소성과 장소 이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장소성 구성요소와 장소의 이미지의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고찰을 진행하였으며, 4장에 빅데이터를 분석할 틀로 장소 이미지를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으로 분류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텍스톰과 소셜매트릭스라는 빅데이터 사이트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어는 한국어, 검색어는 해당지역 + 재생, 공간, 도시, 정제방법은 명사, 형용사, 동사 모두 선택, 분석모듈은 Mecab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위 4개 지역의 빅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들은 각 지역마다 다른 인지적 요인을 바탕으로 정서적 요인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정서적 요인이 인지적 요인보다 이미지 형성에 보다 직접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지적 요인이 정서적 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점으로 나타난 것은 각 지역이 만들어질 당시의 분위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재생공간이라는 장소는 지어진 시대배경 공유와 사람들이 다양한 추억과 경험을 만들어준 장소이자 세대와 세대를 연결해주는 창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앞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공간 가치에 대한 방향성 가이드라인과 기초자료로서 좋은 활용되길 바란다. Using Big Data, we analyzed and studi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ace that had been created in the past based on prior studies of locality and location image. The study chose a place called Seoul and selected four areas of government-promoted urban regeneration targets. Using Big Data, these regions were analyzed for spatial perception of their locality, and then elements that formed their location according to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n today's rapidly changing urban environment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the spatial values being reproduc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research. Under the research method, the areas subject to the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were classified as areas underdeveloped with urban economic infrastructure, areas underdeveloped in the nearby areas, areas specialized i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finally areas with the neighboring areas (general type). To examine their location and location image, we conduct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preceding study of the location components and image of the location, divided the location image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in Chapter 4 under the framework for analyzing big data, and finally, the keywords for analysis through a big data site called Dextom and social matrix were all selected in Korean, space, urban, orthogonal, adjectives, and verb. Research has shown that emotional factors are formed based on different cognitive factors in each region, and emotional factors play a more direct and important role in image formation than cognitive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indirectly influence image formation through emotional factors. What appeared in common was the atmosphere at the time each region was created, which had a positive effect. A place called "recycling space" can be a place where people created a variety of memories and experiences, and a window that connects generations.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and us

      • KCI등재

        제주 목축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연구

        오창윤(Chang Yoon Oh),조윤설(Yoon Seol J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제주는 천해의 자연환경과 독특한 문화 자원을 중심으로 지난해 입도(入道) 관광객 1200만명 시대를 열며, 세계적인 관광제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환경속에서 관광의 패턴 변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제주의 관광 변화 욕구로 이어지며, 새로운 물적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의 대표산업인 관광산업과 말(馬)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광객의 변화욕구 충족과제 환경을 배경으로 새로운 물적 환경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독특한 제주문화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문화관광상품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제주에 문화 중 목축문화라는 범위를 설정하고, 말(馬)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상품 개발연구를 함으로서 조랑말박물관의 활성화와 말(馬)산업, 제주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목축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문화관광상품의 개념 및 역할, 제주목축문화 자원을 조사·정리하였다. 둘째, 현재제주조랑말박물관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화관광상품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은 설문지를 작성하여 총 15일간 설문을 진행한 후 상품구매자의 구매성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 문화관광상품은 관광지가 갖는 고유 컨텐츠 활용부제, 저가상품위주의 상품개발로 인한 질적 저하, 세련되지 못한 디자인, 독특한 문화자원을 문화관광상품에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점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셋째,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재료의 혼합, 캐릭터개발과 자연형상 중심, 편집디자인 중심으로 구분하여 상품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적 특징과 목축문화의 특성이 담긴 문화관광상품을 개발·제시하였다. With its attractive natural environment and unique cultural resources, Jeju have had about 12 million visitors visiting the island, transforming as a world class tourist attraction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changes in tourism patterns and lifestyles led to the change of tourisms in Jeju, requiring a new physical environment. It must be devised afresh according to the changing needs of tourists based on the exist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tourist products to hold the unique culture of Jeju are essential in order to advance the horse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industries of Jeju. In this sense, this research sets the nomadic culture as a study scope among many other cultures of Jeju in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Jeju Horse Museum and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of Jeju by researching to produce proper cultural tourist products concentrated on a horse. The process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ncept of nomadic culture was defined, and a concept and a roles of a cultural tourist product and nomadic cultural resources of Jeju were researched and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tourist products being sold at the Jeju Horse Museum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For this, th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otal 15 days and the purchasing dispositions of the products consumer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ultural tourist products of Jeju demonstrated numerous problems including the absence of unequalled contents application, poor qualities due to the development focused on the aspect of low price, and unsophisticated design, failing to contain an exclusive cultural resources. Third, based on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course of analysis, the product development direction was set as categorizing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of materials, development of characters and natural shapes, and editorial design, and the cultural tourism product was developed/suggested with localities and features of the nomadic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