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투(歌鬪)의 시조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가투(歌鬪)는 20세기 초반에 만들어져 널리 성행했던 놀이도구이다. 가투가 만들어진 1920년대는 근대화를 위한 선진 문물의 수용이 가속화된 시기이며, 3.1운동에 의해 새로운 민족 담론이 형성되던 시기였다. 또한 문단에서는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문학 장르로서 시조가 자리 매김하던 시기였다. 우리의 전통시가인 시조는 이러한 다양한 배경 속에서 가투에 수용되었다. 1922년 불선사본 〈가투〉, 1927년 신민사본 〈정선 화가투〉, 1935년 한성도서본 〈시조노리〉의 동일 시조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신민시본 〈정선 화가투〉와 한성도서본 〈시조노리〉는 시조 수용에 있어 어느 정도 동일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가투의 시조 수용에 있어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했던 국민문학파의 입장이 적극적으로 개입했기 때문이다. 또한 각 가투의 시조 수용에 있어 각 제작사들은 대중의 기호를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각 가투에 수용된 시조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후대에 만들어진 가투일수록 애정을 주제로 한 시조가 강호를 주제로 한 시조보다 더욱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1920년대 이후 가투놀이의 연행 주체가 부녀자층으로 변화하면서 그들의 기호가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가투에는 망국에 대한 회고나 나라에 대한 근심, 왕에 대한 충성심을 주제로 한 일군의 시조 작품들이 일정한 비율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당대인들의 고민이 반영된 것이다. 시조를 단지 시조창의 사설로만 인식하고 있던 대중들에게 가투는 시조를 문학의 한 장르로 인식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이러한 가투의 역할은 우리의 시가사 속에서 정당하게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The Ga-Too was created and became well-known as a game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1920's was the period that advanced cultures, and things from many other countries were accepted rapidly for modernization. There also was the 3.1 movement which contributed to making lots of discussions about people. In addition, there was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 that contributed to Si-Jo becoming a typical genre of literature. Therefore one of our traditional forms of poetry, Si-Jo, had been accepted into the Ga-Too with these many backgrounds. Looking into the aspects of this acceptance by Bool-Sun-Sa-Bon 〈The Ga-Too〉 in 1922, Shin-Min-Sa-Bon 〈Jeong-Sun-Hwa-Ga-Too〉 in 1927, Han-Seong-Do-Seo-Bon 〈Si-Jo-No-Ri〉 in 1935, Shin-Min-Sa-Bon 〈Jeong-Sun-Hwa-Ga-Too〉 and Han-Seong-Do-Seo-Bon 〈Si-Jo-No-Ri〉, they all have such similar opinions as they accepted the same Si-Jo. Reasons being that the school of people which contributed to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 influenced the acceptance of Si-Jo in the Ga-Too. And publishers reflected people's tastes when they chose selections of Si-Jo. Classifying all Si-Jos in the Ga-Too according to titles, there are more Si-Jos about love than those about nature, especially among the recent Ga-Too as the Ga-Too players had been changed to women and their tastes were reflected when the Ga-Too accepted Si-Jo. There are numerous Si-Jos about the recollection of colonialization, worries about the country and loyalty to kings in Ga-Too. These are results of reflection of the people's agony about colonialization. Originally, people considered Si-Jo as an explanation of the Si-Jo-Chang, but the Ga-Too had made Si-Jo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Consequently, the Ga-Too should be evaluated correctly throughout the History of Poetry.

      • 음원의 a지수를 이용한 생산성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유영(Young-Jo Yoo),김정민(Jung-Min Kim),김명호(Myung-Ho Kim),김종민(Jong-M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3가지 음원의 a지수가 피험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피험자의 안정성, 집중력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최적의 음원의 a지수를 찾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피험자는 건강상태를 점검하여 남자 5명과 여자 5명의 대학생 10명으로 선별하였고 실험기간은 약 2달간 진행되었다. 뇌파(EEG), 심박동변이(HRV) 및 진동이미지를 측정하여 안정성, 집중력, 스트레스 및 심장박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온도 25[℃], 상대습도 50[%], 조도 1.000[lux] 및 기류속도 0.02[m/sec]의 인공기후실 에서 음원의 a지수 a=1.106, a=1.749 및 a=2.227 의 음원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a=1.106에서 음원에 노출되기 전에 비하여 상대 Sα파, 상대  및 상대 파가 활성화 되었으며 비대칭지수, 스트레스지수 및 심박변이도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변동리듬 a=1.106의 음원이 안정성, 집중력 및 생산성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누에 품종에 따른 눈꽃동충하초 배양 특성

        조유영 ( You Young Jo ),권해용 ( Haeyong Kweon ),이광길 ( Kwang Gill Lee ),김현복 ( Hyun Bok Kim ),김기영 ( Kee Young Kim ) 한국잠사학회 201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3 No.2

        동충하초는 곤충의 몸속에 들어가 버섯이 발생하는 곤충 기생성 약용 버섯으로 세계적으로 인체에 유용한 활성물질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누에를 이용하여 인공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누에 품종에 따른 동충하초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려품종 3품종(백옥잠, 금옥잠, 대성잠)과 특수품종 2품종(연록잠, 골든실크)을 이용하여 눈꽃동충하초의 재배조건과 특징을 조사하였다. 눈꽃동충하초 균주(P. tenuipes)에 대한 감염율은 금옥잠이 가장 높았으며, 백옥잠, 대성잠, 골든실크, 연록잠 순으로 감염율이 높았다. 눈꽃동충하초를 재배하기 위한 최적조건은 어두운 장소에서 번데기 당 약 4 cm2의 재배밀도로 22oC ± 1를 유지해 주는 것이었다. 또한 우리는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동충하초의 수요가 있을 때 마다 수시로 재배할 수 있는 연중재배 기술을 개발하였다. 연중재배 방법은 먼저 동충하초균에 감염된 번데기 체내의 수분함량을 자연건조로 3% 이하로 낮추고, 이를 진공포장 후 4oC 이하에서 보관하는 3단계의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저온에 보관되어 있는 감염번데기는 언제든지 물에 침지하여 번데기 내의 함수율을 원래대로 복원 시킨 다음 최적 재배조건에서 재배하여 동충하초를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 연중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충하초 재배농가가 누에 품종 중 금옥잠을 이용하고 연중생산 기술을 활용하여 소득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is no specific data on Entomogenous fungus (DongChungHaCho) in accordance with the silkworm varieties, despite of very high value industrial use as functional materials at domestic and abroa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lture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ecilomyces tenuipes in 3 silkworm cultivars and 2 specific silkworm breeds. Infection rate of P. tenuipes for silkworm varieties was the highest Kumokjam, followed by Baegokjam, Daeseongjam, Golden silk, Yeonnokjam in that ord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were as follows: dark condition, 22oC ± 1, and about 4 cm2 in planting density per pupa. Also, we have developed annual production technologies of P. tenuipes. First, in order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fection pupa became 3% or less in the natural condition. Second, the dried pupa must be vacuum-packed and was kept under 4oC. Finally, by resto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pupa and culture in optimal condition, the technique for annual production of the P. tenuipes was achieved.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use of Kumokjam and annual production techniqu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farm income.

      • 인체적용을 위한 실크 스펀지의 제조 및 특성

        조유영 ( You Young Jo ),권해용 ( Hae Yong Kweon ),이광길 ( Kwang Gill Lee ),여주홍 ( Joo Hong Yeo ),이희삼 ( Heui Sam Lee ) 한국잠사학회 2013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1 No.1

        Fibroin and sericin are natural proteins obtained from cocoon and one of the spotlight materials for medical device. Medical device made of these proteins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is material is biodegradable in to amino acid. In this study, we prepared silk sponges using fibroin, sericin and additives. The characterizations of the silk sponges such as morphology, stability, and blood absorbency were observe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ilk sponge de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sericin contents. The effect on the concentrations of ethanol to induce crystallization was observed to be superior to 70% ethanol. Structural stability of silk sponges containing additives was very lower than those not containing additives. The blood absorbency of the silk sponges was found to be excellent, regardless of the composition of sericin and fibroin. The resilient power of these sponges was also very good, in spite of the repeated soaking and drying.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silk sponges can be used medical supplies such as plastic implants and hemostatic cotton.

      • KCI등재

        강낭콩 키틴분해효소 유전자의 클로닝

        조유영 ( Jo Yu Yeong ),지명심 ( Ji Myeong Sim ),정우진 ( Jeong U Jin ),국주희 ( Gug Ju Hui ),박노동 ( Park No Dong ),김옥란 ( Kim Og Lan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04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9 No.1

        식물-미생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하나로 병저항성 단백질인 키틴분해효소(chitinase, EC 3.2.1.14)의 유전자를 강낭콩 잎에서 cloning하였다. 강낭콩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Sau3AI으로 소화시킨 후 pUC19에 삽입시키고 E. coli JM109에 형질전환시켰다. 이를 rice chitinase cDNA (1.1 kb)를 probe로 이용하여 cology hybridization과 Southern blotting을 통해 8개의 clone을 획득하였다. Chitinase의 hevein domain 가운데 10개의 아미노산의 서열을 지령하는 30 mer ologonucleotide를 둥 labelling하여 이를 probe로 사용해서 앞에서 획득한 8개의 clone 가운데 강한 signal을 띠는 4개의 clone을 선발하였다. 이 clone들을 각각 pCHTs, pCHT5, pCHT7, pCHT8 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들의 insert 크기는 각각 7kb, 5.61 kb, 5.3 kb, 4.5 kb였다. Clone pCHT3, pCHT5, pCHT8를 배양하면 이들은 균체내에 chitinase를 발현하였다. 이중, pCHT3은 4개의 EcoR1 부위와 1개의 HindⅢ, 그리고 각각 2개의 BarnHI과 Kph1 부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Genomic DNA from bean (Phaseolus vulgaris L) leaves was prepared, digested with Sau3AI, ligated with the dephosphorylated pUC19, and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JM109. The chitinase gene-harboring transformants were confirmed by colony hybridization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Four positive clones were obtained and named pCHT3, pCHT5, pCHT7, and pCHT8, and their insert size was 7 kb, 5.6kb and 4.5kb, respectively. The insert DNA of pCHT3 has four EcoFI sites, one Hind III site, two BamHI site and two KpnI sites. The chitinase activities were intracellularly located in the E. coli transformants harboring the genomic chitinase DNA.

      • KCI등재

        < 하서도통가(河西道統歌) >의 서술 양상과 창작배경

        조유영 ( Yu Young J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6 No.-

        본고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던 조선 후기 사대부 가사인 < 하서도통가 >의 서술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창작 배경을 고찰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 하서도통가 >는 서사-본사-결사로 이루어진 가사 작품으로 여타의 도통가계가사와는 달리 도통의 계보를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김인후의 학덕과 절의를 생애사의 구체적 사건을 통해 서술하고있는 것, 다양한 선현들의 인물평을 인용하여 김인후의 학덕과 절의를 돋보이게한 것, 문묘 종사의 과정과 문묘 종사를 허락한 정조에 대한 찬양을 서술하고있는 것은 하서도통의 정당성을 합리화하기 위한 작자의 의도에 의한 것이다. < 하서도통가 >에서 나타난 이러한 서술 양상은 김방휘 사건에 의해 흔들리고 있던 하서학맥의 위기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김방휘 사건은 당대에 큰 사회적 파장을불러왔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하서가문과 하서학맥을 추종했던 호남 사림들이있었다. 김방휘 사건은 하서가문과 하서 김인후를 추종하는 호남 사림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켰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반론과 사건의 축소라는 과제가그들에게 주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이 < 하서도통가 >를 창작하게 된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문묘종사가 절의와 도학적 명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조선 후기의 상황은 정치 세력의 영향력이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조의정치적 후원에 의해 김인후의 문묘종사가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정조 사후 더욱경직되어 가는 사회 분위기에서 그 영향력을 확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김인후의 후손 김방휘는 하서문집 간행에 종사하면서 당대 지배층인 서인 노론 계열에 도전하였지만 결국 패배로 귀결되었다. < 하서도통가 > 는 이러한 조선 후기 사회사적 맥락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또한 정치권력에의해 교조화되고, 독점화된 도통 담론이 겉으로는 도학적 순수성을 지향하는 것처럼 포장되었지만, 조선 후기 정치·사회사적 변화 속에서 더욱 권력 지향적인모습으로 변모해 갔음을 < 하서도통가 >를 통해 우리는 읽어 낼 수 있다. < Haseo-dotongga > hasn`t received attention ``gasa`` of ``Dotongga`` system in late Joseon dynasty for the Korean literature circles. This paper will study description aspects of < Haseo-dotongga > and consider purpose for writing of < Haseo-dotongga >. It provide understanding of presence aspec of gentry gasa in late Josion dynasty. < Haseo-dotongga > consist of prologue-body-epilogue. Its description aspects is very unique by describe concretely. The description aspects reflect awareness of crisis of haseo-dotong by KIM Bangwhi affair. And created for justify and establish haseo-dotong`s legitimacy. The KIM Bangwhi affair take serious damage KIM inhoo`s academic legacy and haseo academic line. So set forth a counterargument and reduction of problem are the purpose of the creation background of < Haseo-dotongga > Social Implication of < Haseo-dotongga > and dotong are including one aspect of social history of politics of late Josion dynasty

      • KCI등재

        일반논문 : 『남행록(南行錄)』소재 퇴계 기행시의 특징과 의미

        조유영 ( Yu Young J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東方學 Vol.32 No.-

        본고에서는 퇴계 이황이 계사년 남행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들을 대상으로 여행 일정과 장소, 여행 기간 동안 교류했던 인물들을 재구성하였다. 퇴계의 남행은 대략 두 달 간의 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그는 다양한 사람들과 만남을 가졌고, 여행지의 풍물들을 다채롭게 경험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여정 체험들을 기행시로 창작하였다. 『남행록』 소재 기행시의 특징은 두 가지 정도로 제시할 수 있다. 먼저 퇴계는 계사년 남행에서 만난 여러 사람들과 시로써 교류하기도 하고, 옛 선현들과 관련된 장소를 유람하면서 시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만남을 통해 퇴계는 그들이 가진 가치관이나 삶의 태도를 긍정하고 공감하면서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만남 속에서 형성된 긍정적 가치는 기행시에서 자아와 세계의 일체감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다. 이와 함께 그는 남행에서 발견한 새로운 세계를 섬세한 감성과 그만의 시적 상상력으로 재구성하여 형상화하였다. 『남행록』 소재 기행시는 두 가지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첫째, 청년기 퇴계에게 계사년 남행은 자신이 살아왔던 삶을 되돌아보고, 내면을 성찰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으며, 이러한 내적 성찰의 결과가 기행시에 투영되었다. 둘째, 계사년 남행 중 창작한 기행시들은 여정 체험의 감성적 기록이었으며, 청년기 퇴계의 시 세계를 온전하게 보여줄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recast journey``s schedule, place, and peaple who were meet on journey by Toegye``s poems was written at the southern provinces journey on Year of Gye-Sa(癸巳). He met many people and the institutions and customs of southern provinces on two month journey. Then he write travel poetries by journey experience. Travel poetries in Nam-hang-rok(南行錄) have two features. First, Toegye interact with people who were met on southern provinces journey, by poem, and verse at the place was related with ancient sages. Through these, Toegye internalize by affirm and sympathy people``s values or life attitude, the poems seek identity with object. For this his poetic imagination recast and embody new world what he detected on the journey. Travel poetries in Nam-hang-rok have two meaning. First, the journey was an opportunity that could life rumination and introspect inside, and the results are travel poetries in Nam-hang-rok. Second, these poems are the journey``s product of esthetics and emotional record. Furthermore Toegye make collection of travel poems show Wa-yu(臥遊) culture``s the actual figure of the time.

      • LED광을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생산

        조유영 ( You Young Jo ),권해용 ( Haeyong Kweon ),이광길 ( Kwang Gill Lee ),이희삼 ( Heui Sam Lee ),여주홍 ( Joo Hong Yeo ) 한국잠사학회 201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2 No.1

        최근 다양한 파장의 LED를 이용한 작물의 생장과 기능성 물질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ED 조사가 눈꽃동충하초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청색LED, 적색LED, 형광등 아래에서 눈꽃동충하초를 재배하여, 자실체 형성율, 자실체 개수, 자실체 길이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적색 LED 광에서 재배한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발생율은 100%에 달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형성된 자실체의 개수가 37%까지 증가하는 등 자실체 무게, 자실체 길이 등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청색 LED광에서는 오히려 생육을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눈꽃동충하초 재배 시, 적색 LED를 조사한다면 농가의 소득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The effects of LED irradiation on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rops are actively being studie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 LED on the cordyceps cultivation because Cordyceps is very difficult to find in the wild and to cultivation. The synnemata formation rate of P. tenuipes was 100% under red LED. Also weight, length, and number of the synnemat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e expect that the red LED treatment will be of help to improve farm income.

      • KCI등재

        조선 후기 향촌사족의 이상향 지향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이관빈(李寬彬)(1759~?)의 〈황남별곡(黃南別曲)〉은 서사-본사-결사로 이루어진 가사 작품이다. 본사는 본사1과 본사2가 병렬적으로 구성된다. 본사1은 작자가 황남구곡을 찾게 되는 원인이 되고, 본사2는 그 결과로 이어짐으로써, 이들은 작품 내에서 인과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작자의 산수 유람과 구곡 찾기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 작품이 조선 후기 향촌사족인 이관빈의 이상향 찾기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발견한 황남구곡이라는 이상향은 산수가 가진 실체적 아름다움보다 성리학적 이념을 체현할 수 있고 투사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그러한 까닭으로 〈황남별곡〉의 구곡은 산수라는 실체는 사라지고 성리학적 이념에 경도된 관념적 이미지로만 형상화되고 있다. 그가 찾은 〈황남구곡〉은 사족으로서의 자기 정체성 찾기라는 과정 속에서 발견된 이상향이었다. 그리고 조선 후기 향촌 사족의 이러한 이상향 찾기는 결국 사대부 계층의 분화라는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와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향촌사족으로서의 내적 갈등과 고뇌가 만들어낸 결과였다. 그들은 성리학적 관념의 강한 견인력 속에서 세계를 바라보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향 지향에는 현실인식의 관념적 내면화가 그 기저가 되었다. This study suggested the meaning of aiming for utopia of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dynasty for Gugok imagery that examine descriptive aspect 〈Hwangnambyeolgok(黃南別曲)〉 was written by Iee gwan-bin(李寬彬, 1759~?) 〈黃南別曲〉 be composed of prologue-interlude-epilogue, and interlude has juxtaposition of interludeⅰ & interludeⅱ. Interludeⅰ is cause of visiting 〈黃南別曲〉 and interludeⅱ is result of the visiting, so we know these two paragraphs are established by causality. Therefor these descriptive aspect and composition function as propose Sollen of landscape sightseeing and finding Gugok. Ultimately 〈黃南別曲〉 show finding utopia process for 李寬彬 who is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黃南九曲’ was found 李寬彬’s landscape sightseeing is not ontic picturesque of landscape but area of embody and project his Neo-Confucianism ideology. This being so 〈黃南別曲〉’s Gugok is embodied ideational image too much Neo-Confucianism ideology without substance landscape despite utopia of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dynasty. 〈黃南別曲〉―the utopia was he found― is the area was discovered process on finding identity. In this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dynasty’s finding identity was the result of change of society in late Joeson dynasty which is internal differentiation of gentry class, and country aristocrat’s inner conflict • anguish who was living in th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