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 환아에서 혈청 및 뇌척수액내 Na와 Zn의 변화

        조우제(Woo Jae Cho),손병희(Byeong Hee Son),김성원(Sung Won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2

        목 적 : 열성경련은 소아에서 흔한 경련성 질환으로 그 발생기전이 아직 정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전해질 이상과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및 미량 원소의 농도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져 왔다. 이전의 연구에서 혈청 Na와 CSF의 아연 농도가 열성경련에서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인후염, 무균성 뇌수막염과 열성경련에서 혈청과 뇌척수액 내의 Na와 Zn의 농도 변화의 차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에서 12월까지 경련없이 발열이 있었던 군과 열성경련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37명(남 21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말초정맥혈과 뇌척수액의 Na와 Zn을 측정하였다. 제Ⅰ군은 경련 없이 발열만 있었으며 대부분의 원인이 급성인후염인 군(남 6명, 여 5명), 제Ⅱ군은 무균성 수막염과 발열을 동반한 군 (남 8명, 여 7명), 제Ⅲ군은 열성 경련과 정상 뇌척수액 소견을 보인 군(남 7명, 여 4명)으로 하였다. 통계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Wilcoxon 2-Samplc Test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부분의 원인이 급성 인후염인 열성 질환군인 Ⅰ군은 11명(남 6명, 여 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4.1개월이었으며 말초 혈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43.09±2.84mmol/L과 90.38±9.09㎍/L이었고, 뇌척수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38.72±5.53mmol/L, 41.61±13.03㎍/L이었다. 2) 무균성 뇌수막염인 제Ⅱ군은 15명(남 8명, 여 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5.1개월이었으며 말초혈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41.60±2.49mmol/L과 90.28±13.64㎍/L이었고, 뇌척수액의 Na과 아연 농도늬 평균치는 139.64±4.64mmol/L, 45.80±12.66㎍/L이었다. 3) 열성 경련인 Ⅲ군 경우 11명(남 7명, 여 4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7.4개원이었으며 말초 혈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42.54±1.80mmol/L, 97.16±14.54㎍/L이었고, 뇌척수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38.82±2.25mmol/L, 41.04±11.17㎍/L이었다. 4) 세 군간의 뇌척수액과 말초혈액의 Na와 아연 농도차이는 Wilcoxon 2-Sample test(Normal Approximation)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열성경련 환아에서 혈청과 뇌척수액 내에서 저 나트륨혈증과 저 아연치를 보이지 않았다. 미량원소 검사 시기와 약물 복용등에 따른 측정치의 정상화도 고려할 수 있으며 미량원소의 변화가 중추신경계 일부에 국한되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아직 전해질과 미량원소가 열성경련의 발생에 관여하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열성경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미량원소 그리고 흥분성 또는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 febrile convulsion is a common event during childhood, its pathogenesis is not clear. But there are some hypotheses including electrolyte imbalance, neurotransmitter and metabolic change. Hyponatremia has been thought to decrease the threshold for febrile convulsion and low cerebrospinal zinc level induced by fever or infections causes low cerebrospinal gamma-aminobutyric acid(GABA) which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We therefore carried out a prospective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with serum sodium levels, CSF zinc concentration and febrile convulsions. Methods : Blood and CSF samples for sodium and zinc were taken from 37 children at Pusan Saint Benedict Hospital due to febrile illness from March 1998 to December 1998.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1 with fever but without convulsions(Group I), 15 with aseptic(viral) meningitis(Group II), and 11 with febrile convulsions(Group III).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Wilcoxon 2 Sample Test. Results : The means of serum sodium, Zn level and CSF Na, Zn level in the febrile convulsion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groups(for serum Na : group I 143.09±2.84mmol/L, group II 141.60±2.49mmol/L, group III 142.54±1.80mmol/L; for CSF Na : group I 138.72±5.53mmol/L, group II 139.64±4.64mmol/L, group III 138.82±2.25mmol/L; for serum Zn : group I 90.38±9.09micro gram/L, group II 90.28±13.64micro gram/L, group III 97.16±14.54micro gram/L; for CSF Zn : group I 41.61±13.30micro gram/L, group II 45.80±12.66micro gram/L, group III 41.04±11.17micro gram/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sodium and CSF zinc between the three groups of children. Conclusion : There is no evidence in this study, that hyponatremia may increase the susceptability to febrile convulsion or that zinc deprivation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febrile convulsion in previous study. So, more study of pathophysiology of febrile convulsion is needed.

      • KCI등재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자발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재호 ( Jae Ho Park ),조우제 ( Woo Je Ch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식산업을 대표하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 변수인 쾌적성과 편의성 그리고 공간성이 고객만족과 참여나 협조 등의 고객의 자발적 행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설과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인천지역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방문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분석함으로서 연구모델을 평가하고 가설을 검증하여 실질적인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스케이프의 변수인 쾌적성, 편의성, 공간성은 고객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의성과 공간성 측면이 표준화 경로계수로 비교해 볼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만족은 그들의 레스토랑에 대한 자발적 행위인 협조,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스케이프의 변수인 쾌적성, 편의성, 공간성은 만족을 매개로 하여 협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편의성 또한 만족을 매개로 하여 참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은 그에 맞는 서비스 스케이프가 요구되며, 특히 식사를 할 수 있는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 유지와 고객의 동선을 고려하는 공간적 확보 그리고 여러 편의시설물을 잘 관리함으로서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고, 타인에게 자사의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구전하게 만들어 줌으로서 노력과 시간과 비용상의 효율화를 통해 더 큰 이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scape factors such as comfort, convenience, and space and customers` voluntary behavior in fast food restaurants representing domestic food service industry. For this study I set up a hypothesis and a research model, evaluated the research model by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argeting fast food restaurant customers in Incheon area, verified the hypothesis, and suggested practical marketing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rvicescape factors such as comfort, convenience, and space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Convenience and Space show the highest influence compared by standard path-coefficient. Secondly, customer satisfaction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voluntary behaviors for the restaurant such as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Thirdly, servicescape factors such as comfort, convenience, and space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customers` cooperation through their satisfaction. Therefore, fast food restaurants are required to provide suitable servicescape such as comfortable and pleasant atmosphere for diners, enough space considering customers` movements, customer revisit inducement through various facilities, positive reputation through customer`s word of mouth. With these efforts and time and cost efficiency, fast food restaurants can produce much larger profit.

      • KCI등재
      • KCI등재

        사고방식에 따른 호텔 등급의 고착적 편견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도현옥(Hyun Ok Do),조우제(Woo Jae Cho)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1

        In recently year, the environment of the management is complicated and the uncertainty of the information is increased. So, customer is decision-making based on easy to learn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1) the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of potential customers to use hotels depending on different visual information(differently graded hotels) and anchoring bias(Anchoring Effect) and 2)adjustment effects of Thinking Style. The analysis of data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1) High graded hotel is favored more by potential customers than low graded one, proving the anchoring effect; 2) The adjustment effects of customers’ thinking style is also supported. That is, the high grade of hotels is not affect the willingness of customers to use them. But, the law grades of hotels affect more susceptible analytic thinker than holistic thinker. Unlike existing studies on anchoring effect, this study applies it to the service industry like hotel business, and can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hints to marketing communication plan. This study consider the factor of consumer``s perception that perceived customer(anchoring bias), perceived situation(thinking style), perceived target(hotel grades), so that reveal the more influenced factors of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s result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n the marketing communication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