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질환에서 사용된 화학요법약독성에 관한 임상적 고찰

        조용현(YH Cho),두재균(JK Doo),김종덕(JD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3

        1981년 1월1일부터 1987년 12월 31일까지 7년동안 전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융모성질환크리 닉에 등록된 환자 총 200명중단독이나 복합 화학요법을 받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으며, 진 료기록지가 충실했던 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진료기록지 참조형식에 의한 후향성 조 사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요법시 초래된 독성에 대한 임상증상과 검사소견을 분석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호발연령은 20-30세(49.9%)였고, 평균연령은 35.4세이었으며 화학요법 대상자중에서는 융 모상피암이 가장 많았고 (24명, 50%) 2. 발생빈도가 높은 혈액형은 AB형과 B이었다. 3. 내원 당시의 주소는 질 출혈이 32명(66.6%)으로 가장 많았다. 4. 치료결과 완전 경쾌율은 28명(58.3%)이었고, 사망은 4명(8.3%)이엇다. 5. 차기 화학요법약을 투여하기까지의 간격은 평균기간이 17.9+-3.6일 이었고 평균회수는 3.7 회 이었다. 6. 화학요법약 독성에 의한 임상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구내염, 발열 등은 치료시작 3-4일경 에 시작하여 7일 전후에 극심하엿고, 14일이내에 소실되었다. 7. 검사소견으로 골수기능 저하는 치료후 14일에도 완전회복의 양상은 보이지 않고 간 기능 은 치료후 14일이면 회복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신장기능에 대한 독성 영향은 거 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8. 화학요법회수가 반복될수록 잔류독성이 누적되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출현시 기와 소실시기는 서로 비슷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화학요법약 독성은 투여 종료후 최소 2주이상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이 며, 약제에 대한 감수성, 전신 건강상태 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겠지만, 독성을 줄이 고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료간격은 전 치료종료후 2-3주정도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toxicity of chemotherapeutics used in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es of 48 patients were performed by review of chart and questionair amon 200 patients who were enrolled to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clinic of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School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7 years though January 1, 1981 to December ,31 19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sas was found most frequency in 21 to 30 age group (47.9%) with mean age of 35.4 years. The most frequency chemotherapeutics was given to choriocarcinoma (24cases ,50%). 2.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sas was prevalent in AB and A blood type. 3. the most frequency chief complaint at first visit was vaginal bleeding (32cases, 66.6%). 4. Complete remission rate was 58.3%(28cases) and 4 cases (8.3%) were died. 5. The mean log period of chemotherapy was 17.9+-3.6 days and the mean course was 3.7 6. Nausea, vomitting , stomatitis and fever were appeared around 3rd to 4th chemotherapy day with peak at 7th day and disappeareance at 14th day. Alopecia was appeared around 8th day with peak at 25th day and disappearance around 9th week. 7. Suppression of bone marrow function was not completely recovered by 14th postchemotherapy day while the liver funcion test being resumed by 14th postchemotherapy day. 8. Accumulative toxicity was appeared as the course was repeated with similar patter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경막외 마취에 의한 무통분만과 자연분만의 비교연구

        조성남,조용현,이동복,유철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3

        1988년 1월 1일부터 1988년 6월 30일까지 만 6개월동안 전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산모중 지속적 경막외마취를 시행한 임산부 87예(초산부 69예, 경산부 18예)와 대조군 경막외마취를 시행하지 않은 87예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분만 제 1기의 시간은 초산부와 경산부에서 경막외마취를 시행한 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 분만 제 2기의 시간은 초산부에서 경막외마취를 시행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P$lt;0.01)하였고, 경산부에서도 경막외마취를 시행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제왕절개율은 초산부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산부에서는 두 군 모두 질식분만을 하였다. 3. 신생아 Apgar점수와 체중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합병증은 저혈압 9.2%, 전신전율 8.1%, 요통 5.8%, 오조 및 구토 4.6%, 소양증 1.5%로 경미했으며 척추마취는 신경증상은 없었다. 5. 무통효과는 초산부와 경산부에서 대부분 탁월한 만족도를 보였다. In a retrospective study, 87 women (primiparas 69 cases, multiparas 18 cases) who had continuous epidural nalgesia for pain relief during labor and delivery were matched by age, parity and obstetric history with 87 women who did not have epidural analgesia for delivery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during 6 months from Jan. 1, 1988 to Jun. 30,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epidur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rimiparas and multiparas, and that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primiparous epidural group than the primiparous control group (p $lt; 0.01),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ultiparas. 2. The frequency of instrumental delive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t he primiparous epidural group than in the primiparous control group (p $lt; 0.01) and also increased in the multiparous epidural group than in the mulltiparous control group without stastical significance. Cearean section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imiparas. All of the multiparas were delivered vaginally in both groups. 3. The Apgar score and birth weight of the newborn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primiparas and multiparas. 4. The frequency of complications of epidural analgesia was in order of hypotension (9.2 %), shivering (8.1 %), backache (5.8 %), nausea and vomiting (4.6 %), pruritus (1.5 %), respectively. 5. In view of satisfactory degree during labor after epidural analgesia, most of primiparas and multiparas were excellent and good (75.4 % versus 66.6 %, 17.4 % versus 22.2 %, respevtively).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