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法眼宗의 등장과 그 海洋佛敎的 전개 : 10세기 중국 東南沿海의 한중 불교교류 An Sect and the Development of Marine Buddhism

        조영록 이화사학연구소 2003 梨花史學硏究 Vol.0 No.30

        法眼宗在禪宗五家中成立最晩, 其勢力一度最盛繁盛. 唐末五代, 在??國統治下的雪峰系統由法眼文益(885~958)創立法眼宗後. 曾廳南唐李王家之請在金陵淸凉山高法眼宗旗幟, 開示向國內外大肆宣揚其宗旨的. 那마其宗旨是什마? 병以此爲中心的韓中交流實況又如何니? 文益, 浙江余杭人. 曾出家受業于越州開元寺與明州育王寺, 后又至福州等處參問于雪峰系統之長慶慧稜及羅漢桂琛, 結果承襲了後者的法統. 因??州羅漢阮的桂琛(867~928)曾向雪峰之弟子玄妙師備參問法眼, 卽等于是雪峰之三傳弟子. 后來文益于應江西撫州(臨川)州牧之請, 住錫于崇壽阮. 及至李昇于937年建立南唐后, 將其延請至金陵建立法席. 法眼宗之宗旨, 最能表現于『宗門十規論』, 其重點是 "理事不二, 貴在圓融". 所謂 "理事圓融", 一方繼承禪宗之 "自證于心", 一方又攝合了華嚴宗之 "理事無涯觀". 亦卽標榜禪敎融和, 修正了其間由南宗禪所敎誨之 "敎外別傳"之軌道. 反映了五代以後禪較一致的綜合趨勢. 法眼文益曾展開活動的浙江話福建, 以及江西地方, 是羅末麗初, 僧侶來往求法的中心地區. 其中江西爲南禪宗之本源地, 求法僧侶進出頻仍. 浙江吳越國則不僅有普陀山和天台山, 幷且屬于東南海港, 是求法僧往來之交通要衝. 至于福州和泉州, 由于五代??國王家之支援, 雪峰禪極爲繁盛. 在雪峰門下, 亦曾有如靈照玄訥等東國高僧. 當桂琛住錫??州羅漢阮時, 該等在泉州的活動亦極普遍 : 玄訥曾開辦福淸阮, 進行敎化(該福淸阮規模雖已縮少但??今猶存) ; 在超慶阮亦由擬似出身東國之禪德精與筠編纂禪宗史書 『祖堂集』, 該『祖堂集』在中國, 因五代十國之亂未有流傳而傳至韓國, 附錄于『八萬大藏經』木刻板內, 而得以流傳于世. 在法眼文益門下, 直接事師之高麗僧有慧炬. 『景德傳燈錄』文益傳亦將其嗣法弟子列爲 : 天台德韶和文遂, 以及高麗慧炬等14人. 其中天台德韶(891~972)是在臨川參問后成爲法眼宗第二代祖師, 幷以吳越國忠??王之國師身分, 于與文化政策. 而忠관??之接受國淸寺義寂之咨請, 派使臣赴高麗求取因唐末爭亂而失傳之佛敎典籍, 亦得力于德昭之幇助. 其實在文益門下曾與德韶同門嗣法之高麗慧炬, 後來貴國後曾住錫道峰山傳燈幷被延請爲國師. 於是該兩位同門禪師. 似形成兩國之間佛敎交流之軸心. 例如 : 在吳越忠??王卽位時期, 入天台山德韶門下爲弟子之義通和尙, 亦흔可能由道峰山之慧炬??旋而踏上求道之路. 嗣后高麗之改革政治家光宗, 曾將年輕僧侶36人派至法眼宗第三代祖永明延壽門下, 學習法眼宗. 又將天台典籍和天台僧諦觀派往天台山, 爲復興天台山做貢獻等. 對奠定韓中佛敎交流基礎似乎扮演重要角色. 如此, 法眼宗曾以福建, 江蘇, 浙江等中國東南沿海地區爲中心, 淵源流長和發展. 値得注目的時, 該地區自第九世紀以來, 農業發達, 國際間貿易盛行. 而第九世紀中葉普陀山之開山. 亦在此種趨勢下由韓國商人和日本僧侶所促成. 據測, 在此一時期, 張保皐船隊亦可能隨張保皐之死, 面臨瓦解之危機, 一方面則將其活動舞台遷往南部沿海進行改組. 唐末五代發源于福州, 泉州之雪峰禪, 南唐時由法眼文益在南京淸凉山誕生爲法眼宗. 至此, 敎外別傳至南宗禪, 産生了禪敎融合的法眼宗旨. 而且由于文益之弟子天台德昭及其弟子永明延壽都成爲吳越國之國師, 使法眼宗在吳越地區大放異彩. 同時在高麗方面, 由于慧炬國師之活動, 亦使法眼宗之傳燈極爲活躍. 在第十世紀中葉, 兩國法眼宗如天台宗之交涉與發達. 都建立于張保皐以來海上貿易及海洋佛敎之持續發展基礎上.

      • KCI등재

        濟州 法華寺 三尊佛의 南京 移置와 滿空의 入明 傳法

        조영록 명청사학회 2011 명청사연구 Vol.0 No.35

        In 1406, Emperor yung-lo of Ming dynasty sent a Korean eunuch as a royal envoy to King Tae Taejong of Yi dynasty, Korea asking him to send the Samjondong buddha's image to China. The Samjondong Buddha's image was originally installed at Bupwha temple in Jejiu island, and the stately status was tranported Nanjing, China with full cooperation of the Korean authorities. The stated reason of such a request was to offer prayers for the deceased parents of Emperor Yung-lo. In 1407, Korean envoy to China reported to home country that eleven Korean monks had smuggled themselves into China. But they had audience with Emperor Yung-lo and they were escorted to Tienju temple(Tienchieh temple). There is an epitaph of a Korean monk, named Mangong(1388〜1463) at Buchauchan temple, in Tai-an city, Shan-tung provinc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pitaph, Venerable Mangong arrived in China in 1415 and was appointed to abbotship of Tien-chieh temple in Nanjing. After the patron Emperor Yung-lo's death, Venerable Mangong made a round of calls on those nation's famed masters, and then he built Buchauchan temple in Mount Taishan where he devoted himself to the missionary works for the rest of his life. therefore, Venerable Mangong is recorded as a highly respected master of Buddhism and also known as a Korean monk who pursued buddhist truth indefatigably in China. The capital city of Nanjing was reduced to ruin by the internal war in 1402. After moving his capital to Beijing, Emperor Yung-lo built three more temples in Nanjing in addition to five great temples which were already there. Tienchieh temple was one of the three newly built temples where Samjondong Buddihst statue was installed for good. In conclusion, there were historical concidences that Samjondong buddha's image was transported from Korea to China, and Samjondong Buddha's image was placed at the newly built Tienchieh temple in Nanjing, and then Emperor Yung-lo made a Korean monk, Venerable Mangong, into head of the esteemed institution. There had been a speculation that Emperor Yung-lo was originally son by Queen Kung, a Korean lady. If so, it was highly likely that Tienchieh temple and Samjondong buddha's image were to consecrate the spirit of Quin kung.

      • KCI등재

        普照?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조영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 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 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 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 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 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 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里山 慧徹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台宗 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 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 ?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 禪師 法嗣, 新羅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 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 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 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 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 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 ?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台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

      • KCI등재
      • KCI등재

        道義의 在唐 求法行程에 관한 연구 -祖堂集 관련기사의 비판적 검토-

        조영록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7 No.-

        It is Zen Master Doui (道義禪師) who introduced the southern Zen school of Buddhism (南宗禪) to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Although he spent a long time (784∼821) in China searching for the Dharma, there are only a few historical materials which contain records related to his Pilgrimage. A book entitled Zutangji (祖堂集) has a chapter about Zen Master Doui (道義傳), but it contains only brief description of the Master and the early period of his pilgrimage. The epitaph of Jingam-hyeso (眞鑑慧昭 774〜850) as well as other materials should be consul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ter part of his pilgrimage. The Doui chapter of Zutangji contains records of the names of the places and temples, but many of them are unclear or miswritten. For example, it mistakenly records that Doui received upasampada (具足戒) at Baotansi Temple in Cangfu (廣府 寶壇寺) and he received Dharma from Xitang-jijang (西堂智藏 735〜814) at Kaiyuansi Temple in Hongzhou (洪州 開元寺). These miswritten records are so important that they should be corrected. The present writer has traveled around these areas and written travel essays. With the information he has gathered so far, it is possible to correct those miswritten records. Evidence exists that Doui received upasampada at Daifansi Temple in Shaoguan (韶關 大梵寺), the cradle of Fabaotanching (法寶壇經). In addition, Doui received Dharma at Baohuasi Temple in Qianzhou (虔州 寶華寺) where Xitang-jijang stayed in, not Kaiyuansi Temple in Hongzhou. Since there is no mention about the later part of Doui’s pilgrimage in the Doui chapter of Zutangji, the epitaph of Jingam-hyeso which was written by Choi Chi-won (崔致遠)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According to this epitaph, Hyeso went to China 20 years later than Doui, and met Shenjian (神鑒) in Cangnzhou (滄州) on the west coast of Bohai (渤海). He met Doui and accompanied him to search for the Dharma.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records from the Tangzhou Shenjian chapter in Sung-gaosheng-zuan(宋高僧傳 唐州 神鑒傳), Shenjian was originally from Jiangxi Jiujiang (江西 九江). He devoted himself to Buddhist Chants called Beompae (梵唄) when he was young, and after he became a monk, he studied under the guidance of Maju (馬祖). These facts show that he had a lot in common with Hyeso. However, I have the plan to research further about the accompaning Pilgrimage for the search of Dharma by both Hyeso and Doui. 南宗禪을 최초로 도입한 道義禪師는 구법기간(784〜821)이 매우 오래임에도, 그의 구법활동이나 過程을 알려주는 자료는『祖堂集』 道義傳이 유일하다. 그러나『조당집』 도의전은 내용이 소략한 위에 地名이나 寺名이 불분명하거나 주요한 부분에 오류들이 있어 이를 바로잡아야 할 대목들이 있다. 그 가운데 구명해야할 중요한 문제로서 첫째 ‘도의가 具足戒를 受戒한 곳(受戒處)을 廣府 寶壇寺’라고 하며, 둘째 ‘도의가 西堂智藏(735〜814)으로부터 法을 받은 곳[得法處]이 洪州 開元寺’라고 한 것 등이 그것이다. 필자는 이들 관련지역의 답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의선사의 수계처는『法寶壇經』의 산실인 ‘韶關의 大梵寺’이며, 또한 그의 득법처는 洪州 開元寺가 아니라 서당지장의 주석처인 ‘虔州 寶華寺’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학계 일각에서『壇經』이 육조의 저작이 아니라 제자 신회의 假作이며, 도의의 득법처가 홍주 개원사라는 등의 부당한 주장들에 대한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베일에 가려져있던 사실의 확인만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신라에서 도입한 초기의 남종선이 육조 혜능에서 홍주 마조로, 다시 서당 지장으로 이어지는 홍주종의 적통이 성립 전개되는 역사현장을 재확인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그리고 道義의 후기 구법에 관해서는『조당집』 도의전에는 언급이 없기 때문에 崔致遠이 쓴 慧昭禪師의 碑文 등을 중심으로 한 보조 자료에서 관련내용을 참고하여 일정한 해답을 구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준비 중에 있는 다음 논고로 미루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갑상선 MALT 림프종으로부터 전환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1예

        조영록,조윤진,표주연,이혜란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2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9 No.2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DLBCL) is main subtype of primary thyroid lymphoma and can be histologically transformed from a low-grade B-cell lymphoma.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guidelines of these particular DLBCL have not been fully established. The mainstay of treatment of primary thyroid DLBCL is multimodality treatment with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Meanwhile, surgery can be considered only for diagnosis or alleviation of airway compressive symptoms. A 57-year-old female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for recently enlarged long-held anterior neck mass. A thyroid mass compressing the airway and esophagus was identified on imaging, which was diagnosed as MALT lymphoma by excisional biopsy. After staging, the patient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ith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for treatment of stage IIE MALT lymphoma and relieving airway compromise symptoms. The final diagnosis was DLBCL transformed from MALT Lymphoma, and chemotherapy was additionally performed. We report this rare experienc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普照体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조영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体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体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崛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里山 慧徹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台宗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萼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禪師 法嗣, 新羅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台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로 성황이었으나 839년에 향년 88세로 示寂하였다. 법상의 傳法 3년 사이에 体澄이 입당하였으므로 그 문하로 들어갈 수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둘째 법계상의 문제다.『전등록』 권7, 「대매산법상선사전」에 따르면, 법상은 “大寂(馬祖) 의 ‘마음이 부처’라는 한마디에 大悟하였다”고 한다. 체징이 본국에서 염거를 통하여 배운 道義祖師의 가르침 역시 馬祖-西堂으로 전한 馬祖의 嫡統이다. 兩浙地方에서 각각 이름을 얻은 大梅法常과 鹽官齊安이 모두 마조의 直傳弟子였으니 같은 법통이다. 셋째 구법 지역상의 문제다. 明州는 중국 동남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외국인들이 쉽게 드나들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승려와 상인들이 드나들기 용이한 海港으로서 중국에서 가장 오랜 동안 양국의 구법승들의 출입이 가장 잦았던 곳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보면 체징은 入唐하자 중국 江南의 여러 叢林을 巡歷하기에 앞서 아마도 明州 大梅山 법상의 문하를 찾았을 개연 ... A Silia monk, Do'ui 道義, went to Tang China and attained Southern Chan teaching in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 from Xitang Zhizang 西堂智藏. But the Southern Chan teaching was considered to be the devil’s, and excluded from the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Because of this refusal, Do'ui languished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re, he had conveyed the Southern teaching to Yeomgeo 廉居, and then Yeomge conveyed it to Chejing 體澄. After Chejing had studied in Shilla, he entered Tang again, traveled various regions preaching the Buddhism, then he returned Silla and opened new Chan[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According to his stele, he was born in the Kim family, at 804, in Ungjin 熊津. When he was young, he read the buddhist books. At 827, he had become the proper monk. After then, he was taught by Yeomgeo in the northern mountains. In the year of 837, he entered Tang with his fellows. He traveled various regions and met a lot of Chan masters to study the teaching. But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add to what he had learned in Silla, he came back to Silla in 840. The literatures including Chejing's stel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s of his “trying to have a Buddhism’s law” while he was traveling around the regions of Tang. But there are some mentions about someone named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大梅法常, who might be Chejing in the volume 10 of Zhandenglu 傳燈錄. Isn’t there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Chan masters are same person ? If one wants to accept the possibility, one should consider the conditions which the possibility makes happen. First, it should be the time of the searching of the law of Chejing and the time of his Chinese teacher, Damei Fachang, are in same position of timeline. Second, are the thought of Fachang and that of Gajisanmun identical? Third, was it easy to access to Damei mountain 大梅山 in the Mingzhou 明州 for the foreign Monks?The answer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bring the subsequent questions. First subsequent question is the timeline.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Damei Fachang in the Sung gaosengchan 宋高僧傳, Fachang was moving to Damei mountain in 796, where he was hiding from the world and studied. In 836, when he was the age of 85, Fachang was finally able to built his own temple and teach monks, but he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after shortly. In this short three years, Chejing entered Tang and could be studied under the presence of Fachang. Secon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Chan lineage. According to Zhandenglu 傳燈錄, Fachang succeeded the teaching of Mazu Daoyi 馬祖道一. The teaching of Do'ui, which Chejinf learned was also the same line of Mazu Daoyi. The Thir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regions of “searching the law”. Mingzhou 明州, whicih was main port city of east-southern china, was the port which could be easy access for foreigners, especially to the monks and traders of Korea and Japan. All the answers combined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Chejing could be a student of Fachang is probable. The year before the arrival of Chejing, Fachang built his own temple and have the fame around the areas. It could be possible that Chejing heard the fame and then became a student of Fachang. After the return from Tang, he gave the teachings in his homeland. Then the king asked him to move to a temple in Gajisan, in the spring of 860, to be the abbot of it. And he was given the title of Bojo Chan Master after his death by the Government. As the time passed, the news of his achievement spread to the Chinese Buddhism, it could be possible to say that he was recorded as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