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면역성 태아복수 1예

        조영래,전상식,이태호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5 慶北醫大誌 Vol.26 No.2

        저자는 1984년 10월 27세의 경산부 임신 27주의 질식 분만후 즉시 사망한 비면역성 태아복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약간의 관계문헌과 더불어 보고한다. Fetal ascites not associated With ABO and Rh incompatibility is an uncommon occurrence that can be detected in utero by sonography. A case of nonimmunologic fetal ascites, which was experienced in our hospital recently, is presented with brief literatures.

      • 산란계의 복사 Cage (3수용)에 의한 사양 시험

        조영래 진주산업대학교 1970 論文集 Vol.7 No.-

        The results obtained by examining the plural hens in a cage were summerized as follows: ① The test plot was warse with the results thet the rate of laying eggs was 6.6%, the weight of yielding eggs per hen a day was 2.6 g, and the ratio of feed refuirea was 0.13 % ② The test plot was better with the results that the mean weight of egg was 1.1 g and the quantity of feed consumption was 3.2 g ③ The test plot was better with the result that viability was 6% ④ The test plot was cheaper about 80 won in price and more profitable than the control plot

      • 중증자간전증과 자간증환자에서 주산기사망률에 관한 연구

        조영래,전상식,박일수,이태호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2

        A clinical study of perinatal mortality was made of all 42 perinatal deaths associated with 343 severe preeclamptic and eclampt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1978 and June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severe preeclampsia and eclampsia was 8.6% of all deliveries. 2. The overall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118.31 per 1000 births. 3.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lowest in the group of 25-29 ages. 4.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highest in the group of 5 or more parities. 5.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strikingly lowest in the group of 37 more gestational weeks. 6. A striking correlation existed between low birth weight and high perinatal mortality rate. 7. Som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tenatal care and perinatal mortality rate. 8. The edema at admi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perinatal mortality rate significantly. 9.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increased with the severity of hypertension at admission. 10.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24 hours urine protein. 11. The fetal sex was not associated with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12.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highest in the group of 42% more hematocrit level. 13.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edical treatment duration and perinatal mortality rate. 14. The delivery method was not associated with perinatal mortality rate. 15. The number of convulsion was associated with some higher perinatal mortality rate. 16.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increased with 12 hours more duration between the onset of convulsion and delivery. 17. The major causes of perinatal death were prematurity, hypoxia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KCI등재

        『사고전서총목제요』의 「범례」를 통한 『홍씨독서록』 서지분석의 범주 연구 - 『홍씨독서록』 「史部」를 중심으로 -

        조영래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1 No.-

        Hong’s Dokseorok is Hong Seokju’s annotated catalog in which Hong classified 16,000 books of 472 categories he himself had read into classics,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frequent cultural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g. In particular,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Sago Collections and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in Ching.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is fact in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books listed in Hong’s Dokseorok. In this context, this paper studied the classification of books listed in Hong’s Dokseorok and the standards and categories for bibliographic analysis used in Hong’s Dokseorok based on the “Notes on the Use of the Book” of the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considering the temporal relationship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Ching. Through this study, this paper illuminated the uniqueness of Hong’s Dokseorok by comparing Hong’s classification system with that of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and determining what the differences are.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Hong’s two visits to Beijing and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 projects carried out in Joseon and Ching. This paper also studied the historical possibility of knowledge sharing in terms of bibliographic control that may have been present between Joseon and Ching. The importance of the analysis of book classification and knowledge system of Joseon and Ching based on the “Notes on the Use of the Book” of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should be publicized to the global community through the study of Hong’s Dokseorok. At the same time, this paper leaves a challenge for future studies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perspectives and analyses for this subject. 『홍씨독서록』은 洪奭周의 저술로 그가 친히 접했던 472종 16,000여 권에 달하는 도서를 經〮․史․子․集으로 분류해 설명한 해제목록서이다. 본서가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과 청과의 빈번한 문화교류라는 시대배경과 무관하지 않고, 특히 중국의 『사고전서』와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출간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본고는 이점에 주목하고서 『홍씨독서록』을 저술한 당시 본서에 수록한 도서의 선별기준을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서 당시 한중 문화교류의 시간적인 전후 관계의 맥락을 근간으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범례」를 통해 『홍씨독서록』의 수록 도서선별과 서지분석의 기준과 범주를 고찰했다. 이런 고찰을 통해 홍씨의 도서 분류 체계가 중국과 어떻게 구분되는지 『홍씨독서록』의 독창성을 밝혔다. 아울러 홍씨의 두 차례 연행과 한중간의 대규모 편찬사업의 시간적인 선후 관계의 분석했다. 이를 근거로 양국 간에 내재했던 지식체계의 공유라는 가능성을 서지통정(Bibliographic control)의 개념으로 그 역사적 사실에 대해 고찰했다. 『사고전서총목제요』의 「범례」를 통한 한중간의 도서 분류와 지식체계의 분석은 『홍씨독서록』의 가치를 국제화하는 동시에 후학으로 하여금 연구 관점과 분석의 다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과제를 동시 남겨주었다.

      • KCI등재

        중국역사지리 문헌의 목록학적 분류와 그 기원의 연구 - 正史의 「地理志」와 「四庫全書總目提要」 「史部」의 地理類 중심으로 -

        조영래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The Paper discussed the origin of basic geographical ideas in Geographical classification of ancient Chinese literature. Sought through the perspective of bibliometrics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四庫全書總目提要>) of Literature Geography basis of its origin were analyzed. On the other hand, an affair with a historical perspective history books written is biographical style(正史) of Comprehensive geographic information (地理志)Dynasty around geography(王朝地理) and evolution of Geography(沿革地理) changes noted. Geographical origin of the objective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natural phenomena, and that prediction has begun. Came to the Suishu․Jingjizhi(<隋書・經籍志>) Geography and came to settle in the formal literature has classified items. According to the idea, basing on the public and private bibliographies, the article tried the best reconstrect the landscape of the geography on the Song dynasty. While the ancient geography tradition of the Sanhaijing(<山海經>) has been gradually to downplay consciously. Historical Geography of China for a long time history department ha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Literature Geography and came to the Qing Dynasty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was bound to both the historical part was divided into 10 categories. Scientific bibliography of the geo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rather than the classification of an independent dynasty geography and history have been enslaved strongly. 문헌의 분류라는 서지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전통시기 중국의 문헌 분류 중에 地理類는 항상 史學에 예속되어 학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紀傳體라는 史體의 특성에서 기원한 것으로, 역사학적인 관점에서 보아도 二十四史 正史에 수록된 「地理志」의 내용은 절대 다수가 행정단위, 강역의 범위, 호구와 산천과 지형 상황을 수록했다. 「地理志」는 특정한 왕조의 통치를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王朝地理”와 “沿革地理”의 성격을 갖는다. 그래서 정사 「地理志」 저술의 전통은 隋唐에 이르러 一統志와 地方志 등이 출현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淸代에 편찬된 「四庫全書總目提要」 역시 지리 문헌을 史部에 아래에 편재해 배열했다. 원래 지리라는 학술은 兩漢시기에는 주로 자연현상을 관찰하여 획득된 경험을 근거로 이를 일상생활에 활용하거나, 미래를 예측했던 “術”의 지식체계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隋書․經籍志」에 이르러 ‘地理’라는 정식 명칭의 분류항목이 四部 분류법의 정착과 함께 정식으로 史部에 편제, 점차 이질적, 통합적 요소를 지닌 문헌들을 종합했다. 宋代에 이르러 地理類의 문헌은 王朝와 沿革地理, 疆理天下의 성격은 더욱 강화되었지만, 반면에 전통지리학의 가치를 대변하는 신화와 허구적 내용이 수록된 「山海經」의 가치를 부정하며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기도 했다. 淸代에 편찬된 「四庫全書總目提要」는 전대의 분류법을 집대성해 지리 문헌의 종류를 모두 10가지로 항목으로 분류했다. 이러한 문헌 분류는 중국 지리학과 지리 문헌의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 <TEX>$\pi$</TEX>형 단면을 가지는 교량 거더의 플루터 해석

        조영래,조재영,노남균,이학은,Cho. Young-Rae,Cho. Jae-Young,Roh. Nam-Kyun,Lee. Hak-Eun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교량의 플러터 발생풍속을 예측할 경우에는 주로 주형의 2차원 단면실험을 통하여 추정하고, 전체교량의 3차원 모형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 주형단면의 2차원 단면모형 실험에서는 교량거더의 수직방향과 비틀림 방향의 2자유도계로 간략화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살펴보게 된다. 전산풍공학적 방법에 의하여 구조물의 공기력을 산정하는 방법은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풍동실험을 대치하는 방법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교량의 플리터 발생풍속 예측을 위한 산정기법 역시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형상비를 가지는 <TEX>$\pi$</TEX>형 단면 거더의 플러터 발생풍속을 비교하였으며, 교량단면의 2차원 단면실험을 통하여 그 결과값을 비교,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