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

        조숙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4

        This study is aimed at helping kindergarten teachers to plan and conduct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in a balanced and effective manner for each age-specific life theme, and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activities in Teacher's Manual for Ages 3-5 Nuri Curriculum, a part of current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data and programs on multiculturalism to be planned and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us, the following categories of multicultural activities in Teacher's Manual for Ages 3-5 Nuri Curriculum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standards: educational content and area, and type, form, and area of activity, and weight of each life theme.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6 (38.10%) diversity activities for age 3; 318 (61.39%) building relationship activities for age 4; 316 (64.49%) building relationship activities for age 5. Second, as for areas of multicultural activities, there were 7 (38.89%) for age 3, 72 (35.47%) for age 4, and 76 (40%) for age 5. For all ages, social relationship area was dealt with most heavily. Third, in terms of type, form, and area of multicultural activ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3 (33.33%) for age; 12 (14.81%) for age 4; and 13 (16.46%) for age 5. For all ages, conversation was dealt with most heavily in big and small group activities. Fourth, in terms of weight of multicultural activity for each life them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6 activities for age 3 that about ‘Me and my family’; 65 that activities for age 4 about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28 activities for age 5 that about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교사들이 ‘다문화’교육활동을 연령별 생활주제에 따라 균형 있고 효과적으로 계획,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앞으로 국가가 계획・보급하고자 하는 ‘다문화’관련 자료와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의 교육내용, 영역, 활동유형 및 활동형태와 영역 및 유형, 생활주제별 비중을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다문화’관련 활동의 교육내용은 3세 다양성 16개(38.10%), 4세 관계형성 318개(61.39%), 5세 관계형성 316개(64.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관련 활동의 영역은 3세 7개(38.89%), 4세 72개(35.47%), 5세 76개(40%)로 나타난 사회관계영역을 모든 연령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관련 활동의 활동유형 및 활동형태와 영역 및 유형은 3세 3개(33.33%), 4세 12개(14.81%), 5세 13개(16.46%)로 나타난 대・소집단 활동의 이야기 나누기를 모든 연령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넷째, 생활주제별 ‘다문화’관련 활동은 3세 ‘나와 가족’ 6개, 4세 ‘세계 여러 나라’ 65개, 5세 ‘세계 여러 나라’ 28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활동 분석

        조숙영,원혜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활동의 목표, 누리과정 관련 내용 요소, 활동형태 및 유형을 분석준거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3-5세 누리과정 ‘북한’ 관련 교육활동의 목표 수는 총 21개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북한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목표 수는 15개로써 5세를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둘째, 3-5세 누리과정에 나타난 누리과정 관련 내용 요소는 사회관계 11개, 의사소통 10개, 자연탐구 7개, 신체운동․건강 1개, 예술경험 0개의 순으로 나타나 사회관계를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3-5세 누리과정의 활동형태 및 유형은 자유선택활동 5개, 대․소집단활동 3개, 바깥놀이 0개 순으로 나타났으며 ‘북한’ 관련 교육활동에서 바깥놀이 활동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 관련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3-5세 현장의 유치원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며, 앞으로 다가올 남북통일을 준비하는데 바람직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Nuri curriculum related factors, activities form, and type of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North Korea’ contained in teachers’ guidebook of the Nuri curriculum for the ages of 3-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goals of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North Korea’ in Nuri Curriculum for 3-5 year olds totaled 21, and among them, the number of goals with direct correlation with ‘North Korea’ was 15 and mostly covered 5 year olds. Secondly, the Nuri curriculum related factors in the 3-5 year old Nuri curriculum included 11 social relations, 10 communication, 7 nature inquiry, 1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and 0 art experience that was identified to focus mainly on social relations. Thirdly, the activity form and type of Nuri curriculum for the ages of 3-5 included 5 free-choice activies, 3 large and small group activies, and 0 outdoor games that the outdoor activity was not conducted at all for ‘North Korea’ 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This is to provide help to kindergarten teachers of 3-5 year old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North Korea,’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in searching for desirabl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needed in preparing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안전교육’활동의 내용 비교 분석

        조숙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6

        본 연구는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안전교육’관련 내용을 분석준거에 의해 활동유형 및 활동형태별, 생활주제별로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만3세 유아‘안전교육’내용은 총 136개였으며 그 가운데 대・소집단활동에서 71개(52.2%)를 나타내었고 만4세는 총 124개를 보인 가운데 대・소집단 활동에서 58개(46.8%)를 나타내었다. 둘째, 만3세는‘생활도구’에서 25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물건, 도구, 기구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21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는‘건강과 안전’에서 33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질병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12개의 활동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만3, 4세 연령에 따른 유아‘안전교육’활동을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하며 유아‘안전교육’과 관련된 각종 연수를 계획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유아‘안전교육’에 필요한 매뉴얼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체험시설을 확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긴다.

      • KCI등재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조숙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6

        본 연구는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활동 유형 및 흥미영역, 5개영역, 생활주제별로 분석준거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활동 유형 및 흥미영역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대・소집단 활동,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활동순의 빈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교육과 휴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5개 영역 가운데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영역은 사회관계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참여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인권관련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가장 적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신체운동・건강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봄, 여름, 가을, 겨울’이었으며, ‘나와 가족’의 주제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전체 생활주제 가운데 교육과 휴식이 가장 높은 빈도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반면, 학대와 방임(폭력)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전체 생활주제에서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인권 관련활동을 균형 있게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초등학교와 연계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더 나아가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유아인권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장애 영아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동향분석

        조숙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6 papers on 'Integrated Education'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by research contents, research types, and research method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directions for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apply the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research trend analysis by the contents showed that there are ten articles related to inclusive child care education and integrated setting, not in relation with specific disability types, accounting for 62.5% of the total researches, the largest portion of the studie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was performed. Second, i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research type, 9 research papers (56.25%) were identified from 2001 to 2018.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found in seven research papers (43.75%), an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studies were the most important in five research papers (31.25%). On the other h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shows that it deals with four research papers. 본 연구는 장애 영아 ‘통합교육’에 관한 논문 16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별, 연구유형별, 연구방법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 영아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의 방향 제시와 더불어 현장에서 장애 영아 통합교육을 적용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내용별 연구동향분석은 특정한 장애 유형에 관한 내용이 아닌 통합보육․교육 및 통합 환경 등에 관한 내용인 기타의 연구가 10편이었으며 이는 전체 연구의 6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연구유형별 연구동향분석은 기초연구인 인식 및 실태 현황조사연구가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총 9편(56.25%)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어 가장 많은 연구 편수를 보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분석은 질적연구가 7편(43.75%)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심층 면접 및 관찰 연구는 5편(31.25%)으로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양적연구는 4편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