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면적 원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

        조수선 ( Joe Susan ),주라헬 ( Ju Rache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이라는 새로운 학습상황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콘텐츠와의 상호작용, 편리성 인식, 서비스 품질, 학습분량의 적절성으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요인과 학습몰입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와의 상호작용, 편리성 인식, 서비스 품질,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분량의 적절성 순으로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불안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는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콘텐츠와의 상호작용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코로나 불안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반면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원격수업 환경에서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요인이자 교수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한 전면적 원격수업의 상황에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가운데 특히 코로나 불안이라는 요인을 조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로 인한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ffects the university’s novel remote learning setting, due to Coronavirus, has on students’ learning flow. The study categorizes factors of influences into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 interaction, perceived convenience, service quality, and appropriate volume of learning to understand the effects. With each category, the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n how these factors interact to influence the learning flow and show the relationship to Coronavirus anxiety’s moderating effec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learner-content interaction, perceived convenience, service quality,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arning flow. Also, Coronavirus anxiety reflec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flow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content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flow. Consequently, Coronavirus anxiety de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 on the learning flow but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f content-learner interaction on the learning flow. In sum, this result suggested that content-learner interaction is a key factor to maximizing learning flow, as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design in remote academic settings.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shed light on Coronavirus anxiety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the pandemic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various ways to improve learning flow in a remote class situation due to the moderating effect of Coronavirus anxiety.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조수선(Susan Joe),김봉현(Bong Hyu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최근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유튜브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튜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이용방식,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중재방식을 설정하고, 연령대별 이들 변인들을 비교하고 유튜브 이용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령대별 이용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용방식 중 구독채널 유무와 일반채널 이용,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그리고 중재방식 중 기술통제와 감독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3-4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와 감독이, 5-6세 집단은 구독유무, 조절능력, 일반채널, 부모감독, 대화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7-9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 조절능력,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별 유의미한 변인들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발견함으로서 유튜브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다르게 구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그동안 덜 다루어진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류와 이들 방식들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have impacts on the amount of YouTube viewing. In doing so, usage type, children’s levels of self-control on viewing, parent’s perception of media contents, and parental mediation style were investigated by ag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mount of use by the different age groups.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ubscription status(non subscription based vs. subscription-based viewing), level of self-control, perception of content, and parent’s mediations (technology, supervision, and guidance). Given the amount of YouTube use, the subscription status and parent’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 group of 3-4 years old. For the age group of 5-6, subscription status, levels of self-control, and mediation of parent’s supervision and guidance we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 of 7-9, subscription status, the level of self control, and premium service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in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aningful variables by age group suggests tha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children’s YouTube use. In addition, it raises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children’s YouTube usage methods,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so far,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se methods.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의 편리성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수선(Joe, Susan),주라헬(Ju, Rache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자발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경험한 편리성이 인지된 이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과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편리성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 학업성취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자발적 학습 환경에서도 편리성은 온라인 학습의 주요한 긍정적 측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편리성과 학업성취 인식간의 관계에 있어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은 단일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함께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편리성을 경험할 경우 이용 용이성을 높이고 이는 유용성으로 이어져 학습만족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 인식으로까지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성공을 좌우하는 학습자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혜택과 수행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 설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호환, 학습자료 및 녹화물에 대한 접근성 강화, 방역기준 내에서 적절한 학습 시설 지원 등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연하고 편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nvenience experienced by learners in involuntary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aused by Coronavirus 19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ven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was confirmed that convenience can be a major positive aspect of online learning even in involuntary learning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both single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If learners experience convenienc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ease of use increases, which leads to usefulness, improves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and creates virtuous circulation that leads to a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f online learning, it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and various benefits through onlin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re flexible and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learners, such as compatibility with various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reinforcement of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and recordings, and support of appropriate learning facilities within quarantine standards.

      • KCI등재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조수선(Susan Jo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과 구성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젠더 이미지 및 선정성 유형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각 연도별로 뮤직비디오가 있는 30위까지의 노래 총 300개와 각 노래의 뮤직비디오 상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남녀 한명씩, 총 517명의 등장인물이 선정되었다. 등장인물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노래 장르와 성별로 구분하여 젠더 이미지의 유형과 선정성(신체노출, 성적표현)의 유무로 측정되었다. 젠더 이미지는 여성은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남성은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이미지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남성 이미지의 경우 중성적 이미지는 가장 적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고전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R&B와 발라드였고 순정적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난 장르는 발라드, R&B와 록이었다. 선정성은 댄스곡과 힙합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신체노출에 있어서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성적표현에 있어서 여성은 표정유혹이 남성은 성적자세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ereotype of gender role in music video, comparing of gender image, sexuality(body exposure & sexual expression) by genre and gender difference. A content analysis of 300 songs and 517 characters was conduct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s were including followings. While women engaged in classic image, man engaged in naive image. R&B and Ballad demonstrated more classic image of women. Ballad, R&B, and Rock demonstrated more naive image of men than other genre. Sexuality was more prominent in dance and hip-hop genre. Compared to male character, female character was more sexually objectified, held to exposer herself and more likely to demonstrated sexually alluring behavior.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방송의 문자정보 유형과 표현사례 연구

        조수선(Susan Joe) 동서언론학회 2013 동서언론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오락 프로그램의 자막을 서술 주체와 상황에 근거하여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내포하고 있는 언어적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자막의 부정적 영향 관련 문제점에 대한 해결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나의 사례연구로써 자막의 유형과 표현형식을 적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자막 유형별로 볼 때 어휘적 측면의 문제점은 "제작자 의도적 제시형" 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 "대화발화 제시형" 이었다 비문법적 조어는 제작자 의도적 제시형 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 "혼합적 의도적 제시형" 으로 나타났다 자막의 수는 출연자의 대사를 그대로 옮겨 적은 자막인 대화발화 제시형 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락 프로그램의 자막 관련 부정적 측면은 제작자가 의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자막인 "제작자 의도적 제시형" 이 더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자막의 문제점이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산자인 제작자 측면에서의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problems related to text in entertainment program. To do this, a content analysis of text is conducted to a entertainment program, <Moo Han Do Jun>. As a aspect of problems of using vocabularies, the largest number of text patterns is producers" intention and second largest number of text patterns is performers" talk. In using non-grammatical creation of words, the largest number of text patterns is Producers" Intention and second largest number of text patterns is hybrid of performers" talk and producers" intention. Although the frequency of performers" talk is higher than producers" intention in terms of a total number of text patterns, the frequency of producers" intention is higher than performers" talk in terms of problems of using vocabularies and non-grammatical creation of words.

      •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성역할과 폭력성에 관한 연구

        조수선(Joe, Susan) 동서언론학회 2015 동서언론 Vol.17 No.-

        본 연구는 뮤직 비디오에 나타난 폭력의 양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직업적 그리고 성별 고정관념과 관련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인터넷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뮤직비디오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한 사이트의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각 연도별 상위 30개 뮤직비디오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폭력의 유형, 노래 장르별 차이, 등장인물의 직업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동시에 네 가지 폭력의 유형별 성별 폭력의 주체와 피해자로 나타나는 비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폭력적 장면의 양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 폭력의 주체와 피해자간의 차이는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여성은 폭력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폭력성과 관련된 성역할 고정관념을 공고히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iolence in music video in terms of gender stereo types and occupational roles. A representative sample of music video contents from 2004 to 2013 was selected in top 30 ranking of a music video service site via internet and mobile base. Basically types of violence, difference of music genre, and occupational role of characters were analyzed. Moreover, the subject and object of four types of viole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quantity of violence is not much featured, but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emerged in subject and object role of violence. It is discussed in terms of risk that exposure to music video violence may be posing to adolescent’s learning gender stereo typ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