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일본의 근대화와 민중사상

        조성환(번역자),기타지마 기신(北島義信)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남아프리카에서의 토착적인 ‘우분투’ 사상은 식민지주의・제국주의적 지배와의 투쟁 속에서 그 내용을 심화시켜. 상호관계성. 상생과 비폭력, 타자존중, 외부성으로서의 타자를 축으로 한 자기상대화, 평등과 차이의 병존을 체계화하였다. ‘우분투’는 사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구체화를 보장하는 아프리카적 공동체와 일체화한 것이다. ‘서양근대사회’에는 자기중심적 이분법에 의한 인간의 분단・차별・억압이 존재한다. 이에 대해 우분투에는 토착적 사상・문화에 내재하는 보편성과 근현대 극복 문제와의 결합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서구 근대를 뛰어넘은 ‘토착적 근대’라 불리는 것이다. 일본의 막말유신기에서 ‘통속도덕’을 기반으로 한 민중의 사소한 생활이 파괴되었을 때, 그 분노는 토착적 미륵신앙이나 신도계 사상과 결합하여 민중종교가 되어 ‘근대천황제국가’를 넘어서고자 하는 방향성을 지니기에 이른다. 민중종교는 토착성에서는 ‘우분투’와 공통점을 지닌다. 천황제국가와의 대립・투쟁 과정에서 국가의 상대화, 평등과 연대, 비폭력평화사상은 생겨났지만, 아시아침략이 강력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민중종교는 굴복을 강요당하고, 그 발전은 저지되게 된다. 한국의 근대민중사상의 경우에도, 동학에서 볼 수 있듯이, 침략・억압과의 싸움속에서 ‘하늘님’의 종교사상의 이론적 체계화와 민중의 조직화를 도모함으로써 ‘토착적 근대’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거기에는 우분투와 공통되는 인간의 평등, 비폭력, 상생사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 사상은 3・1독립운동, 1980년대 민주화 투쟁을 거쳐 현재에도 계승되고 있다. 소론에서는 남아프리카의 토착적 근대 사상은 동아시아의 민중종교 사상과도 공통성을 지니고, 서양근대를 넘어서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Ubuntu, as an indigenous concept in South Africa, through the struggle against colonialist and imperialist suppression, has deepened and systematized such categories as interconnectedness, symbiosis and non-violence, respect for others, self-objectification based on the others beyond oneself, and a coexistent relationship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ce. Ubuntu is not only just an idea but has also promoted unification among African communities where it has been actualized. Even today, there exists separation, segregation, and the oppression of human beings that stem from the Egocentric dichotomy in ‘European modern societies.’ On the other hand, in Ubuntu we can find universality inherent in indigenous thoughts and cultures and the clarification of modern issues to be addressed, where Indigenous Modernity exists beyond European Modernity. In the last days of the Tokugawa regime and the Meiji Restoration, once the people’s modest life on ‘Popular Morality (通俗道徳)’ was violated, their outrage, combined with indigenous Maitreya faith and Shintoist thinking, developed into popular religions and some of them inclined to go beyond the Modern Japanese Imperial State (近代天皇制国家). In this context, there are some points at which African Ubuntu and Japanese popular religions meet on common ground. Such thinking as the relativity of the nation state, equality and solidarity, peace based on non-violence that were found in Japanese popular religions, had been generated in the opposition and struggle against the Modern Japanese Imperial State; however, these religions were forcefully subjugated and prevented from developing as a result of the Japanese invasion of Asian countries. As for modern popular ideas in Korea, we can see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Modernity’ in the Donghak (東學) movement that had systematized its Hanurnim concept and organized common people, there exists the thought of human equality, non-violence and symbiosis that is similar to Ubuntu. This Donghak Thought was inherited from the 3.1 Independent Movement and the Democratizing Movement in the 1980s through the course of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lucidate how the South African notion of ‘Indigenous Modernity’ has similarities with East Asian popular religious thoughts and has a kind of universality that goes beyond European Moder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후 일본에서의 ‘토착적 근대성’의 발견

        쮸린(Zhu Lin),진종현(번역자),조성환(번역자)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메이지유신을 계기로 일본은 엄청난 스피드로 근대화로의 전환을 이루었다. 그 결과 정치제도의 혁신과 과학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사회적 풍모가 일신되고, 사람들은 보다 풍요로운 생활스타일을 손에 넣은 한편, 전전(戰前)의 일본은 ‘부국강병’이라는 슬로건 하에 식민지주의에 돌입하고, 전후에는 공해문제, 원전사고나 자원을 둘러싼 국제적 대립을 야기하는 등, 근대화가 초래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들은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라 서양적 근대주의의 노선을 따라 발전해 온 나라들 및 발전도상국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는 근대화의 이러한 ‘부정적인 유산들’을 염두에 두면서, 전후의 일본의 근대화론을 돌아보고, 츠루미 카즈코(鶴見和子)의 내발적 발전론의 형성과 변천을 개관하였다. 츠루미 카즈코는 일본민속학이나 미나마타병(水俣病)에 관한 조사등으로부터 주체성, 공동체로서의 지역의 연대관계 및 공생사상을 찾아냈는데, 이 글에서는 그 과정을 추적하면서 전후 일본에서의 토착적 근대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By the Meiji Restoration, Japan accomplished its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nation state with tremendous speed. As a consequence, the appearance of society changed greatly and people enjoyed a more abundant and prosperous life-style as a result of the reform of politic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technology. However, on the other hand, Japa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rushed to become a colonial power under the slogan of ‘rich nation and strong army,’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was affected by the negative effects produced by modernization such as pollution, nuclear plant accidents, and international antagonisms resulting from the competition for resources. However, these problems are not only faced by Japan all nations that have developed along the lines of the Western model of modernization. Considering this ‘negative legacy,’ this paper looked back on the theory of modernization adopted by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outlin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theory of development from within the country as proposed by Tsurumi Kazuko (鶴見和子; 1918~2006). Tsurumi Kazuko uncovered new meanings of identity based on solidarity and coexistence through investigation of Japanese folklore and by confronting the severe health problems caused by industrial pollution. This paper traced this process of re-evaluation and examined the pattern of indigenous modernity in post Second World War Japan.

      • KCI등재

        변천하는 ‘혁명’ 개념의 초극

        이타가키 유조(Itagaki Yuzo),조성환(번역자)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이 글은 2011년에 중동에서 세계화되고, 2016년 이후에는 한국의 ‘촛불혁명’으로 드러난 새로운 시민혁명-필자는 이것을 ‘무와틴혁명’이라고 부른다-의 인류사적 획기성을 밝히는 작업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착수 단계이다. 먼저 〈2. 우롱당하는‘혁명’개념〉에서는, 현재의 ‘혁명’개념의 혼란상황을 개관한다. 여기에서는 민주주의 · 법 · 정의가 승리하고 혁명의 시대는 끝났다는 의식 내지는 다음은 ‘문명충돌의 시대’라는 예측으로부터, (a) ‘반(反)테러전쟁’을 조작하고 싶어서 인공혁명으로서의 레짐 체인지를 예정하는 정치학적 사고, (b) 법과 폭력에 대한 의존으로부터의 탈피나 ‘삶’의 근원적 국면들의 변혁에 대한 착안으로부터 영성에 눈을 뜨는 포스트모던적 사고, (c) 색깔이나 표지로 명명하는 혁명군양상(革命群量産)의 ‘자유화’선전을 개관하고, 이것들을 구(舊)시민혁명시대의 종말현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의 아베 수상이 선전하는 ‘생산성혁명’이나 ‘사람만들기혁명’의 경우에는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이어서 〈3. 구(舊)시민혁명이 돌파하지 못한 허망 · 일탈 · 편향 · 한계〉에서는 17세기 이래의 구(舊)시민혁명이 현재에 실로 변혁의 필연성에 노출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낳은 원흉이라는 증거를 열거한 다음에, 20세기 사회주의의 혁명들도 구시민혁명의 커다란 틀 속에 집어넣어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시각을 제안한다. 촛불혁명은 위에서 열거한 표지 달린 혁명에 들어가서는 안 되고, 남북이 통일로 향하는 과정에서 20세기 사회주의비판이라는 피해갈 수 없는 과제가 있고, 이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4. 영속혁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는 이란세계와 중국이라는 두개의 전통적 ‘제국’편성형 국가에서의 영속혁명의 모습을 서구중심주의사관에서 해방시켜 새롭게 보고, 다원성 · 다양성을 살리는 보편주의적인 세계네트워크 정치체(polity)에 대한 구상으로 탈구축하는 여정으로 가는 힌트를 탐색한다. 현실의 타개가 엄청난 미로와 애로에 둘러싸여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무와틴혁명이 젠더나 장래세대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초근대’를 소생시킬 필연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 글은 끝이 난다. This paper seeks to initiate a program to elucidate the elements of the new civil revolution, I call as the revolution of Muwatin, that commenced in the Middle East in 2011 and became a global phenomenon and which was also revealed dur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of Korea in 2016. This new civil revolution has the potential to bring about profound changes in history. First, ‘Chapter 2: The Concept of “Revolution” That Is Ridiculed’ outlines the confused situation regarding the current concept of ‘Revolution.’ Furthermore, ‘Chapter 3: Vanity, Deviation, Bias, and Limitations That Past Civil Revolutions Could Not Break Through’ documents evidence that past civil revolutions since 17 century generated many problems that are really exposed to the necessity of revolution toda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alist revolutions of 20<SUP>th</SUP> century also should be included in the broad frame of past civil revolutions and should be reviewed critically. Howev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se types of revolutions mentioned above. Instead, this paper asserts the necessity of reflecting critically on the socialism of 20<SUP>th</SUP> century as we seek to move towards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us, ‘Chapter 4: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Permanent Revolution?’ sees in a new manner permanent revolution in the traditional imperial formation of the two nations of Iran and China by moving away from a West-centered historical view, and seeks ways to deconstruct the conception regarding the universal polity of a world network to renew multiplicity and diversity. This paper ends focusing on the Muwatin Revolution, though it is certain that making breakthroughs to see a new type of reality will be hampered by many difficulties. Nevertheless, the Muwatin Revolution has the power to revive ‘super modernity’ in all fields including gender and issues related to future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