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물류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조성제,Cho, Sung-Je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5 情報學硏究 Vol.8 No.4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Paradigm of Logistics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competitive factors. Especially, Logistics Outsourcing are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as means of becomming competitive in globally challenging environment So, This paper presents a in-depth analysis for New logistics management recently and suggest that third-party logistic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logistics strategy is most effectively new logistics management.

      • 전자상거래에 있어 전략적 물류관리에 관한 연구

        조성제,Cho, Sung-Je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2 情報學硏究 Vol.5 No.3

        The Understanding of the Electronic Commerce and Strategic Management of Logistics in EC are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as means of becoming competitive in globally challenging environment This paper presents a in-depth analysis for Strategic Management of Logistic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Electronic Commerce Companies.

      • 물류관리 신패러다임 활용전략과 개선과제

        조성제,Cho, Sung-Je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4 情報學硏究 Vol.7 No.4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Paradigm of Logistics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competitive factors. Especially, Logistics Outsourcing are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as means of becomming competitive in globally challenging environment. So, This paper presents a in-depth analysis for New logistics management recently and suggest that third-party logistic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logistics strategy is most effectively new logistics management.

      • KCI등재후보

        페이지-서버 객체지향 DBMS에서의 PLT를 이용한 회복기법

        조성제,Cho, Sung-J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9 No.6

        기존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 DBMS)은 대부분 메인 프레임 컴퓨터 이상의 컴퓨터와 같은 강력한 컴퓨터에 설치되고, 이 컴퓨터에 터미널을 연결하여 운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들어 저렴하고 강력한 워크스테이션과 초고속의 통신장비 등장으로 클라이언트-서버 DBMS구조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서버 DBMS의 고장회복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깊이 있게 연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 중 페이지-서버 환경의 회복기법에 관해서 논한다. 제한된 기법은 서버파손이 발생할 경우 페이지별로 로그일련번호 부여로 신속히 회복을 수행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에서 철회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병렬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방법과 달리 재수행 로그레코드만을 서버로 전송하므로 WAL(Write Ahead log) 규약을 위한 오버헤드가 감소되었다. Recently, with a drop in memory chip price and rapid development of mass storage memory chip technology, research on client-server Database Management Systems has gained wide atten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recovery technique in a page-server OODBMS environment. Although most researchers have studied client-server systems, the recovery technique has been a poor researches. In this paper, client transfers only the completed log records to the server and resolves the problems in the current recovery techniques. In addition, the server manages only the execution of completed log records suggesting a simple recover algorithm, Client uses system concurrency, fully, by acting to abort actions and it suggests a page unit recovery technique to reduce time that is required in the whole database.

      • 산발적인 경성 실시간 태스크를 위한 온라인 스케줄링 알고리즘

        조성제(Seongje Cho),이석균(Suk Kyoon Lee),유해영(Haeyoung Yoo)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5 No.7

        매우 복잡한 분산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실시간 운영체제의 다중처리기 지원이 필수적이다. Earliest Deadline Algorithm(EDA)이나 Least Laxity Algorithm(LLA)과 같은 기존의 온라인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은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비주기적인 실시간 태스크들을 스케줄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EDA는 문맥교환 오버헤드가 낮지만 스케줄링 성공률이 떨어지는 "다중처리기 이상현상"을 나타낸다. LLA는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준최적이라고 알려진 것처럼 스케줄링 성공률이 높지만, 높은 문맥교환 오버헤드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실시간 온라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인 Earliest Deadline Zero Laxity(EDZL)와 EDA2를 제안한다. EDZL은 기본적으로 EDA에 기반하고 있으나 여유시간이 0인 태스크가 발생하면 LLA를 사용하는 기법으로, 두 개의 처리기 시스템에서 준최적인 알고리즘이다. EDZL은 다중처리기 환경에서도 스케줄링 성공률이 뛰어나며 문맥교환 오버헤드도 낮다. 또 다른 알고리즘 EDA2은 EDA에 과부하 처리 기법을 보완한 것으로, 과부하 상태의 스케줄링 시 대기 태스크들 중에서 스케줄 가능하지 않은 모든 태스크를 제거하여 실시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 준다. Multiprocessor support for real-time operating systems will be indispensable to the development of highly sophisticated and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in the near future. The existing on-line scheduling algorithms EDA(Earliest Deadline Algorithm) and LLA(Least Laxity Algorithm) are not sufficient for scheduling real-time sporadic tasks in multiprocessor systems. EDA has low context switching overhead, but suffers from "multiple processor anomalies." LLA shows a high pass rate in task scheduling (shown as suboptimal), but has the potential for high context switching overhead. We propose a new on-line scheduling algorithm EDZL(Earliest Deadline Zero Laxity) which is a suboptimal algorithm for two processors. EDZL is based on EDA fundamentally but uses LLA as soon as laxity value of any task becomes zero EDZL has both a high pass rate in scheduling and low context switching overhead even in multiprocessor systems. We, also, present an efficient algorithm EDA2 under overloaded phases. EDA2 improves EDA in overloaded phase handling technique and enhances performance of real time system by removing infeasible tasks from ready queue at scheduling time.

      • KCI등재

        일반논문 : 철도폐선부지 활성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조성제 ( Sung Je Cho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4

        최근 들어 철도의 전철화와 복선화에 대한 기반시설 투자가 증가하면서 기존에 이용되어 오던 단선철도와 철도역들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폐지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산업구조가 개편되면서 그동안 산업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자원이나 물자의 수송수요가 감소하고 새로운 기술의 출현으로 운송수단이 변화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철도폐선부지가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이유로 철도폐선부지가 증가하고 향후에도 상당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철도폐선부지에 대한 뚜렷한 활용방안이 없고 버려진 상태로 방치되어 도시미관이나 자원이용의 효율성 저하 등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형편이다. 더욱이 현재 철도폐선부지에 대한 활용상태를 보면 지역의 특성이나 도시 활성화 방안과 연계되지 못한 채 자전거도로, 공원, 레일바이크 등 근시안적이고 소극적으로 진행되어 토지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철도부지는 행정재산 중 공공용재산에 해당하며, 철도폐선부지는 용도폐지되는 경우 일반재산으로 전환될 것이나, 국토교통부에서는 철도 특성상 용도폐지하지 않고 사용중지 상태로 보므로 일반재산으로 전환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활성화하는 입법개선방안으로 관련 개별법(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과 국유재산특례제한법을 동시에 개정하는 방안, 철도폐선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양여 및 사용기준의 조정을 요하는 국유재산법의 개정방안, 무상 양여의 통일적인 기준을 갖추는 특별법의 제정방안이 있다. 첫째 입법방안은 국유재산특례제한법 제4조의 통제방식이 기존과 달리 위에서 열거한 개별법에 국유재산 양여 규정을 두더라도 동법 제4조에 따라 별표 개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별법 제정에 있어서는 다양한 상황만큼이나 통일적인 기준 제정이 어렵다는 점 및 특별법을 제정한다 하더라도 국유재산특례제한법과 상충될 수밖에 없으며 개별 법률을 일부 개정하는 것에 비하여 입안 및 국회 심의 과정에서 장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사업추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행 국유재산법에 철도폐선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양여 및 사용기준을 조정하는 방안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행령을 개정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양여 가능한 국유재산에 철도폐선부지를 포함하고 사용기준을 정하는 방안 내지는 오히려 시행령에 규정된 양여 가능한 국유재산 및 사용기준을 법률에 상향 규정하면서 철도폐선부지를 포함하는 방안이 가능할 것이다. A steady increase in soc investment for rail elec rification and double-track line has caused a significant growth of disused or abandoned railroad in Korea., and therefore a nwnber of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have tried to find various methods to use the disused railroad and stations effectively. However, a few case studies recently conducted have showed that most development projects \l ere passively carried ou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s for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rban renewal.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methods for urban renewal using disused railroad. and to propos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direct these development effectively. Korean used Railroads are administrative property and public property. There are three kinds of methods in Legislation for Revitalization of Korean Disused Railroads. First, At the same time the specific law is revised with Restriction of Special State Property Act. Second, State Properties Ac is amended in Requirements to mitigate of State Property Permission for Use or Transfer. Lastly, Special Act on Korean Disused Railroads Promotion is enacted. The second method is more appropriate for a variety of reason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urban environment of the underdeveloped regions through local governments` efficient utilization of abandoned railroads and contributes 0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maximizing the resource values of abandoned railroads.

      • KCI등재
      • 병렬 수행을 위한 다중 처리기의 커널 구조

        조성제(Seong J Cho),임성락(Seong R Rim),조유근(Yoo K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는 다중 처리기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범용의 병렬 운영체제 개발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밀결합된 다중 처리기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병렬 수행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병렬 운영체제의 모델을 제시하고, 운영체제의 커널이 지원해야 할 기본 개념 및 기능을 설계하였다. 병렬 운영체제의 구조화를 위해 정책(policy)/기법(mechanism) 기준에 따라 시스템을 계층화했다. 이 기준에 의해 최소 커널을 구성하여 여러 가지 수행 모델이 구축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커널의 상위계층에 사용자 수준의 스래드와 스케쥴러같은 시스템 서비스가 필요한 정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안전도시 구축과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경상남도 진주시를 중심으로-

        조성제 ( Sungje Cho ),한동효 ( Donghyo Ha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4

        안전도시는 국가 및 지역사회가 완전히 안전한 도시를 의미하기보다 해당 지역 구성원 모두의 지속적 노력으로 실현하는 안전한 도시를 의미한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지역특성에 맞는 안전도시 모델을 구축할 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담당기관뿐만 아니라 유관기관의 협조를 통해 정보공유를 활성화하여 사고손상에 대한 분석 및 대처능력, 예방대책, 사후관리 등이 사전에 수립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선진국의 재난관리체계나 안전도시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안전역량은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 실현되지 않는다. 먼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지역의 사회단체나 기업, 시민 등 지역공동체가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안전역량 강화에 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안전도시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어떤 새로운 기구나 조직보다 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안전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 등이 수반될 때 안전 도시로서의 충분한 역량이 갖추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재난관리체계와 안전도시를 중심으로 국내외 현황 및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국제안전도시 공인절차 등을 고찰하였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와 관련하여 면밀한 분석은 하지 못했지만, 향후 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자치단체 차원의 부서 간 업무와 역할에 대해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고 재난현장 대응자의 입장에서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재난담당 공무원에 대한 사기진작과 적절한 교육훈련도 필요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무엇보다 재난관리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밖에도 재난의 합동대응을 위한 대응자원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재난대응 사례의 평가를 통한 피드백을 상시 실시하여 교훈을 얻는 자세도 필요하다. As the residents’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needs for safety increase, the residents`` interest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safety also increases.52) Along with this trend, the joining of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quire the authorization of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by WHO is a global trend. presently, the ratio of urbanization is higher than 90 percent in our nation. in spite of the important thing of convenience and a pleasant for city, so urban safety has become central to construction of a safe society. but the safety city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most basic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consequence of the rapid advance of urbanization, as aging and over-crowding, expanding of city environment, safety city project has been accelerated. but the lack of outcome in test run and legislation also aspects of the situation being necessary maintenance. the conversion of the super ordinate concept as a new safety paradigm away from the traditional safety management is required for a response and recovery from centered on traditional and natural disasters, and the safety city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stance of the ``safety`` will also review the need for the legislation and its activation based authentication system. These days safe city project is a basic policy for building a secure society. but specific information and driving direction for safety city is insufficient. so the central governmen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incentives to support it with legal system maintenance to be successful operation of safety city and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is required among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experts, the ministry especially local government. This study, based on these, aims to make Jinju-Si safe community, and a safe home wanted by the local community and establish Jinju-Si as the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by WHO.

      • KCI등재

        지방분권화 시대 지자체 주민 안전을 위한 제(諸) 법령ㆍ조례의 정비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방안전사업의 분석

        조성제 ( Cho Sung-j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1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안전 내지 안전보장의 역할이 더 중요한 현 시점에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범죄예방활동 강화가 요청된다. 이를 위하여 범죄예방 기본법의 제정이 시급하다. 주무부처의 결정 문제는 법무부와 행정안전부(경찰청)를 공동 주무 부처로 하되, 실질적 운영에 있어서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범죄예방정책위원회의 활성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그 내용으로 목적·정의·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무, 다른 법률과의 관계 등을 총칙으로 규정함은 물론 ‘범죄예방’이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에 대한 각종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고, 기본원칙으로 지역균형 원칙, 재원마련 원칙, 상호 협력 원칙 등을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다른 법률과의 관계에서는 범죄예방에 관한 기본 법임을 명시하여야 할 것이다. 각칙으로 기본계획 수립 등의 규정과 이를 담당하는 범죄 예방정책위원회,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법적 근거를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기존 법무부 주도, 경찰청 주도의 논의에 더하여 2021년 1월 1일부로 자치경찰 제도가 시행됨에 따른 고려요소가 더하여졌다. 자치경찰제에 있어 일원화 모델과 이원화 모델 논의가 있었고, 종국적으로 “경찰법”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전부개정 되었다. 대표적인 치안활동인 순찰과 주민참여 방범활동의 경우 상기 법률에 명문으로 자치경찰사무임을 규정하였기에 이를 고려한 범죄예방기본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과정에서 지역치안에 있어 다자간협력 모델을 또한 고려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지역안전지수는 안전에 관한 각종 통계를 활용하여 자치단체별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등급임에도 불구하고 재량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동법의 취지에 반하기에 개정이 필요하며, 지역안전지수 산출의 기준이 되는 조사방법, 조사항목, 공표절차 등의 필요한 사항 명문화 역시 시급하다 하겠다. 그리고 광역 및 기초 지자체 불문하고 대동소이한 내용의 조례 상황에 비추어 다양한 형태의 분석과 지자체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반영하는 조례로의 개정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role of safety or security guarante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s more important, it is requested to strengthe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 this end, it is urgent to enact a basic law on crime prevention. In addition to establishing legal grounds for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e purpos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laws are defined as all activities to prevent crimes against people's lives, bodies, and property. In relation to other laws, it should be stated that it is the basic law on crime prevention. In the case of patrols an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which are representative securit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the Prevention of Crime as early as possible because it stipulates that it is a local police office. In addition, it is deemed reasonable to consider a multilateral cooperation model in regional security during this coordination process. Under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 regional safety index is defined as discretionary, even though the safety level of each local government is quantified by utilizing various statistics on safe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se it against the purpose of this Act, and it is also urgent to specify necessary matters such as investigation methods, survey items, and publication procedures that are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regional safety index. The analysis of various forms and the revision to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also be carried out in light of the circumstances of the ordinances, which are generally simi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